3). 강해(講解) - 효사(爻辭) - 4
九四는 臀无膚며 其行次且니 牽羊하면
(구사) (둔무부) (기행자저) (견양)
悔 亡하련마는 聞言하야도 不信하리로다
(회 망) (문언) (불신)
象曰其行次且는 位不當也오 聞言不信은 聰不明也라.
(상왈기행자저) (위부당야) (문언불신) (총불명야)
●구사는 볼기에 살이 없으며 그 행함이 머뭇거리니, 끌면 뉘우침이
없으련마는 말을 듣더라도 믿지 않으리라.
상에 가로되 '기행자저' 는 位가 당치 않음이요, '문언불신' 은 귀밝음이
밝지 않음이라.
(臀 - 볼기 둔. 膚 - 살갗 부. 次 - 버금 차. 머뭇거릴 자.
且 - 버금 차. 머뭇걸릴 저. 牽 - 끌 견. 聰 - 귀밝을 총. )
★뜻풀이
택천쾌괘 아래로 부터 네번째 효에 대한 풀이이다.
구사는 결단하는 때에 陰자리에 있으니, 결단력이 부족한데다, 상육과 같
은 兌체에 있으니, 결단하려는 뜻이 희미한 자이다.
그러나 아래의 세 陽이 뜻을 같이하여 결단하고자 오니, 그 마음이 불안하
여 볼기에 살이 없는 듯 하며, 그 행함을 머뭇거리는 것이다.
뭇 陽들을 몰고 상육을 치러가면 후회가 없으련마는, 마음도 없으면서 앞서
려고 하고 충고해도 듣지 않으니, 총명하지 못한 것이다.
①臀无膚(둔무부)
초구, 구이, 구삼을 깔고 앉아 불편해 하는 모습이다.
구사는 양이 대신자리에 있으니, 구오를 도와 상육을 결단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있지만, 음자리에 있기 때문에 유약한 성격이 있다.
아래의 세 양이 자꾸 구사를 자극하므로, 구사가 자리에 있기 불안해 하는
형상이다.
좌불안석 격으로 볼기에 살이 없으니, 앉는데 딱딱하여 불편할 수 밖에 없다.
②牽羊悔亡聞言不信(견양회망문언불신)
양떼는 앞에서 잡아 끌려고 하면 따라오지 않기 때문에 뒤에서 살살 몰아야
한다.
그러므로 구사가 양떼를 몰 듯 뒤에서 陽들을 몰아 갈것 같으면 후회가 없으
련만, 앞에서 억지로 끌려고 하니 아래 陽들이 반발하여 '그렇게 하면 안된다'
고 말을 하나, 그 말을 들어도 듣지를 않는 것이다.
첫댓글 주역 택천쾌를 봅니다~^^
주역을 봅니다.
고맙습니다
텍천쾌의 효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