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이 민간단체인 한국 해양구조협회의 수익사업을 지원하라고 공문으로 지시한 사실이 드러나 파장이 일고 있다. 6일 <SBS>는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의 명의로 지난 1월 전국 해양경찰서장에 내려보낸 공문을 입수해 단독보도했다. 공문에서 김 청장은 전국 해경에 한국 해양구조협회의 회원모집과 수익사업개발, 재정확보를 적극 지원하라고 지시하면서 별도로 구체적이고 계량적인 목표치를 설정하고 달성 방안에 대한 계획까지 수립하라고 강조했다. 또 지방자치단체 지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 정치인과 지자체장의 관심을 이끌어 내라는 등 구체적으로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문은 최상환 해양경찰청 차장이 전결 처리한 것으로 돼 있으며, 공문이 내려온 두 달 뒤 제주 해양서 등 일선에선 해경과 협회 간부들이 관련 회의를 개최했다. 해경이 이처럼 발 벗고 수익 사업까지 챙기는 해양구조협회 구성원을 살펴보니, 해경 출신 간부 6명이나 재취업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이 단체는 구조관련 특혜 논란을 받고 있는 '언딘'의 김윤상 대표가 부총재직을 맡고 있다. 이에 해양경찰 관계자는 “협회가 자립할 수 있도록 일선에서 지원해주라는 취지”라며 “(해경 출신 간부들의 재취업은) 퇴직 후에 봉사활동 개념으로 하는 것”이라고 <SBS>에 해명했다. 그러나 해양경찰청과 한국 해양구조협회 사이의 유착관계에 대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어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은 이번 세월호 사태에 대한 책임을 면키 어려워 보인다. 해당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퇴직 후 일자리 만들어 주려고 혈안이 돼버렸네 결국 공존 공생하면서 알아서 해먹자 이 말이구만”(수렁****), “도대체 해경은 뭐하는 집단이길래 민간인 협회를 지원하라고 공무원을 동원하냐?”(b4s***), “청장이 숨어서도 아니고 공문으로 내려보낼 정도면 이미 공직 사회에선 이런 일이 만연하다는 얘기네요~ 너무 썩었다”(myun*****), “국민이 위임해준 권력과 세금으로 자기들 잇속만 챙기다 정작 국민이 정부를 필요할 때 나몰라라 한거네.. 이것들이 해적인지, 경찰인지..”(옥**), “해경청장부터 구속수사가 맞다고 본다”(학**), “국민 목숨 팔아서 퇴직 후 자리 만드려고 했냐?”(하늘**) 등의 반응을 보이며 비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