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손정섭 원문보기 글쓴이: 와룡산
◇ 負兒覓三面(부아멱삼면) 가까이 두고 찾지 못함을 이름. -송남잡식-
◇ 俯仰廊廟(부앙낭묘) 항상(恒常) 낭묘(廊廟)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머리를 숙여 예의(禮儀)를 지켜야 함.
◇ 俯仰無傀(부앙무괴) 하늘을 우러러보나 땅을 굽어보나 양심(良心)에 부끄러움이 없음을 이르는 말.
◇ 俯仰不愧(부앙불괴) 굽어보나 우러러보나 부끄럽지 않다라는 뜻으로, 마음가짐에 있어서나, 행동에 있어서나 양심에 아무 부끄러울 것이 없는 대장부의 공명정대한 심경을 비유해서 한 말이다. -맹자 진심상-
◇ 俯仰一世(부앙일세) 俯:구부릴 부, 仰:우러를 앙, 一:한 일, 世:대 세. 세상에 순응하여 행동하는 것을 뜻하는 말. -왕희지의 난정기-
◇ 富於千篇貧於一字(부어천편빈어일자) 富:부자 부, 於:어조사 어, 千:일천 천, 篇:첵 편, 貧:가난할 빈, 一:한 일, 字:글자 자. 문장력(문장력)이 풍부한 사람일지라도 때에 따라서 적당한 글자 한 자를 발견 못하는 수가 있음을 이름. -문심조용-
◇ 浮言浪說(부언낭설) ①아무 근거(根據)없이 널리 퍼진 소문(所聞). ②터무니없이 떠도는 말.
◇ 婦言是用(부언시용) 아녀자의 말은 무조건 옳다고 여겨 쓴다는 뜻으로, 줏대없이 여자의 말을 잘 듣는 사람이나 행동을 비유하는 말이다. -서경 주서편-
◇ 富與貴是人之所欲也(부여귀시인지소욕야)不以其道德之不處也(불이기도덕지불처야) 부귀는 누구나 바라는 바이다. 그러나 그것이 정당한 방법으로 얻는 것이 아니라면 나는 누리지 않겠다. -공자-
◇ 膚如凝脂(부여응지) 미인을 말하는 형용. 좋은 기름처럼 매끄러운 살갗의 아름다운 여성을 비유. -시경,위풍-
◇ 賦役黃冊(부역황책) 황책(黃冊)을 부역(賦役)의 대장(臺帳)으로 삼기 위(爲)해 만들어졌다는 뜻에서 일컬어진 말.
▣ 附炎棄寒(부염기한) 附:붙을 부, 炎;불곷 염, 棄:버릴 기, 寒:찰 한. 권세가 떨칠 때는 붙좇다가 권세가 쇠할 때는 떠난다는 뜻으로, 인정의 경박함을 이르는 말.
▣ 芙蓉出水(부용출수) 芙:연꽃 부, 蓉:연꽃 용, 出:날 출, 水:물 수. 연꽃이 수면에 피는 모습을 형용하는 말로, 문장이 청아(淸雅)하고 수려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負嵎(부우) 負:짐질 부, 嵎;산굽이 우. 유리한 지형을 얻어 기세가 활발한 형용, 또는 영웅이 요해(要害)의 땅에 할거하여 기세가 등등함의 형용. -맹자-
◇ 浮雲自體本無實(부운자체본무실) 하늘에 떠도는 구름 그 자체는 본래 그 실체가 아니다. -원효대사-
◇ 浮雲朝露(부운조로) 뜬구름과 아침이슬이라는 뜻으로, 덧없는 인생이나 세상을 비유해 이르는 말. -주서-
◇ 浮雲踪迹(부운종적) 浮:뜰 부, 雲:구름 운, 踪:자취 종, 迹:자취 적. 뜬 구름의 종적과 같이 막연하여 걷잡을 수 없음을 이름.
◇ 浮雲之志(부운지지) 浮:뜰 부, 雲:구름 운, 之:갈 지, 志:뜻 지. 하늘에 떠도는 구름처럼 부귀공명에 사로 잡히지 않는 마음. -양웅의 답빈희-
◇ 斧鉞當前(부월당전) 斧:도끼 부, 鉞:도끼 월, 當:마땅할 당, 前:앞 전. 도끼를 눈 앞에 당하였다 함은 중형(重刑)으로 곧 죽음을 받게 되,었다는 뜻으로 하는 말.
◇ 斧鉞之下(부월지하) 斧:도끼 부, 鉞:도끼 월, 之:갈 지, 下:아래 하. 임금의 위엄의 무서움을 부월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父爲子隱(부위자은) 아버지가 그 자식을 위해 나쁜 일이나 허물을 숨겨줌. -논어-
◇ 蜉蝣校巨鼇(부유고거오) 蜉:하루살이 부, 蝣:하루살이 유, 校:학교 교, 巨:클 거, 鰲:자라 오. 하루살이가 커다란 자라와 힘을 겨룬다는 말로서, 도저히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실력의 차이가 있다는 비유. -포박자-
◇ 蜉蝣戴盆(부유대분) 蜉:하루살이 부, 蝣:하루살이 유, 戴:일 대, 盆:동이 분. 책임이 무겁다는 비유. -역림-
▣ 蜉蝣一生(부유일생) 蜉:하루살이 부, 蝣:하루살이 유, 生:날 생. 하루살이와 같은 일생이라 함이니 사람의 생애가 짧고 덧없음을 이름.
◇ 婦有長舌(부유장설) 여자가 말이 많음은 화(禍)의 발단이 된다는 뜻. -시경-
◇ 蜉蝣之命(부유지명) 蜉:하루살이 부, 蝣:하루살이 유, 之:갈 지, 命:목숨 명.하루살이의 목숨이라는 뜻으로, 짧고 덧없는 인생의 비유. -소식 전적벽부-
◇ 富潤屋德潤身(부윤옥덕윤신) 내면이 충실하면 자연 외면에 나타나게 된다. 경제적으로 윤택한 사람이 살고 있는 집은 훌륭하고 덕이 단단히 몸이 밴 사람은 행동거지도 훌륭해진다는 말. -대학-
◇ 浮渭據涇(부위거경) 위수(渭水)에 뜨고 경수(涇水)를 눌렀으니, 장안(長安)은 서북(西北)에 위천, 경수, 두 물이 있음. ◇ 附耳細語(부이세어) 귀에 대고 소곤거리며 말하다, 즉 남의 장단점을 함부로 말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지붕유설-
◇ 婦人從人者(부인종인자) 婦:아내 부, 人:사람 인, 從:좇을 종, 人:사람 인, 者:사람 자. 여자는 성품이 온후하여 남자를 잘 따라야 좋다는 뜻. -예기-
◇ 婦人之仁(부인지인) 婦:아내 부, 人:사람 인, 之:갈 지, 仁:어질 인. 부녀자의 어짊이란 뜻으로, 소견이 좁은 정, 하찮은 일에는 시시콜콜 동정하면서도 진짜 중요한 대목에서는 배려가 결여됨의 비유. -사기-
◇ 父子經明行脩(부자경명행수) 父:아비 부, 子:아들 자, 經:지날 경, 明:밝을 명, 行:다닐 행, 脩:포 수. 부자(父子)가 함께 경학(經學)에 밝고 품행(品行)이 단정(端正)한 것. -한서-
◇ 不自量力(부자량력) 不:아닐 부, 自:스스로 자, 量:헤아릴 량, 力:힘 력, 자신의 힘은 고려하지도 않고 섣부르게 행동하는 것을 이르는 말. -좌전 은공11년-
◇ 父慈子孝(부자자효) 父:아비 부, 慈:사랑 자, 子:아들 자, 孝:효도 효. 아비된 자는 자애를 주로 하며 자식된 자는 효행을 주로 함. -예기-
◇ 父子之間不責善(부자지간불책선) 父:아비 부, 子:아들 자, 之;갈 지, 間:사이 간, 不:아닐 불, 責:꾸짖을 책, 善:착할 선. 부자지간에는 선행을 하라고 책망하지 않음을 이름. -맹자-
◇ 腐腸之藥(부장지약) 창자를 썩히는 약이라는 뜻으로, 맛 좋은 음식물(飮食物)과 술을 이르는 말.
◇ 富在之足(부재지족) 富;부자 부, 在:있을 재, 之;갈 지, 足;발 족. 부는 족한 것을 아는데 잇다는 뜻으로, 분수를 알아야 함을 이르는 말.
◇ 不在此限(부재차한) 어떠한 한계(限界)에 얽매이지 않고 그 구속(拘束)을 벗어날 수가 있음.
◇ 釜底笑鼎底(부저소정저)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 보고 검다한다는 뜻으로, 제 흉 모르고 남의 흉 본다는 뜻.
◇ 父前子名(부전자명) 父:아비 부, 前:앞 전, 子:아들 자, 名:이름 명. 아버지의 슬하(膝下)에서 자식된 자는 그 이름을 말하는 것이 예의임. -예의-
◇ 父傳子傳(부전자전) 父:아비 부, 傳:전할 전, 子:아들 자. 자자손손이 전하여 가진다는 뜻으로, 대대로 아버지가 아들에게 전함.
◇ 不絶如縷(부절여루) 실같이 가늘면서 끊어지지 않음.
◇ 斧正(부정) 斧:도끼 부, 正:바를 정. 귀신도 탄복할 만한 뛰어난 솜씨를 말한다. -장자 서무귀편-
◇ 不正名色(부정명색) 不:아닐 부, 正:바를 정, 名;이름 명, 色:빛 색. 부정한 방법으로 얻은 깨끗하지 못한 재물.
◇ 父精母血(부정모혈) 父;압비 부, 精:정할 정, 母:어미 모, 血:피 혈. 자식은 정신과 몸을 부모에게서 물려 받아 태어나 성장했다는 뜻으로, 부모님의 은혜를 잊지 않는 자세를 말한다. -삼국지-
◇ 釜鼎之屬(부정지속) 釜:가마 부, 鼎:솥 정, 之:갈 지, 屬:이을 속. 솥, 가마, 냄비, 번철 따위의 부엌에서 쓰는 그릇을 통틀어 일컬음.
◇ 不足掛齒(부족괘치) 함께 말할 가치(價値)가 없음.
◇ 不足懸齒牙(부족현치아) 不:아닐 부, 足:발 족, 懸:매달 현, 齒:이 치, 牙:어금니 아. 치아 사이에 두기 부족하다. 문제삼을 필요조차 없거나 말할 가치가 없을 때 쓴다. -사기 숙손통전-
◇ 不足回旋(부족회선) 不:아닐 부, 足:발 족, 回:돌아올 회, 旋:돌 선. 처지가 어려워 몸 돌리기조차 어렵다, 돌이킬 여지가 없다. -한서-
◇ 不酒草肉(부주초육) 승니가 술, 담배, 고기를 입에 대지 아니하는 일.
◇ 釜中生魚(부중생어) 釜;가마 부, 中:가운데 중, 生:날 생, 魚:고기 어, 오래 밥을 하지 못해 솥 안에 고기가 생겨났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함의 비유.
◇ 釜中之魚(부중지어) 가마솥 속의 물고기가 곧 삶겨 죽을 줄도 모르고 즐겁게 헤엄치고 있다는 뜻으로, 눈앞에 닥칠 위험도 모른 채 쾌락에 빠져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자치통감-
◇ 負重致遠(부중치원) 負:짐질 부, 重:무거울 중, 致:이를 치, 遠:멀 원, 무거운 짐을 지고 먼 곳을 향해 간다는 뜻으로, 중요한 직책을 맡은 것을 말한다. -삼국지 촉지 방통전-
◇ 富卽多事(부즉다사) 재산이 있으면 일이 많음.
◇ 不卽不離(부즉불리) 不:아닐 부, 卽:곧 즉, 離:떠날 리. 붙지도 않고 떨어지지도 않음, 찬성도 하지 않고 그렇다고 반대도 하지 않음. 불리부즉.
◇ 不知甘苦(부지감고) 不:아닐 부, 知:알 지, 甘:달 감, 苦:괴로울 고. 단지 쓴지를 모른다는 뜻으로, 사리에 어두운 사람의 비유, 또는 극히 쉬운 이치도 알지 못하는 사람의 비유. -묵자-
▣ 不知輕重(부지경중) 不:아닐 부, 知:알 지, 輕:가벼울 경, 重:무거울 중. 사물의 경중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판단을 그르침의 비유.
◇ 不知其人視其友(부지기인시기우) 그 사람을 알지 못하면 그 벗을 봐라.
◇ 不知其子視其友(부지기자시기우) 不:아닐 부, 知;알 지, 其;그 기, 子:아들 자, 視:볼 시, 友:벗 우. 자식의 사람됨을 알지 못하겠거든 그 사귀는 친구를 보라는 뜻으로, 사람의 선악은 그 친구를 보면 안다는 말.
◇ 不知端倪(부지단예) 단예는 일의 본말시중(本末始終) 곧 일의 본말과 시종을 알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 不知類(부지류) 不:아닐 부, 知:알 지, 類:무리 류. 류(類)는 사물의 경중(輕重), 비교의 뜻, 곧 사물의 가치 판단을 할 수 없음. -맹자-
◇ 不知所云(부지소운) 무어라고 말해야 좋을지 모름.
◇ 不知手之舞足之蹈(부지수지무족지도) 不:아닐 부, 知:알 지, 手:손 수, 之:갈 지, 舞;춤출 무, 足:발 족, 蹈:밟을 도. 기쁨에 넘쳐 저절로 춤을 추게 됨. -맹자-
◇ 不知手之舞之足之蹈之(부지수지무지족지도지) 不:아닐 부, 知:알 지, 手:손 수, 之:갈 지, 舞;춤출 무, 足:발 족, 蹈:밟을 도. 즐거움이 극에 다다른 모양을 나타내는 말. -예기-
◇ 不知肉味(부지육미) 不:아닐 부, 知:알 지, 肉:고기 육, 味:맛 미, 고기를 먹고 있으면서 고기맛을 모른다는 뜻으로, 일에 몰두하여 다른 일은 건성으로 함을 비유한 말. -논어-
◇ 不知人間有羞耻事(부지인간유수치사) 자기의 수치를 스스로 깨닫지 못한다는 뜻으로 파렴치한 사람을 비웃는 말. -구양수의 시-
◇ 不知足(부지족) 不:아닐 부, 知:알 지, 足:발 족. 자기 분수를 모르고 만족할 줄을 모름. -유교경-
▣ 不知足而爲屨(부지족이위구) 不;아닐 부, 知:알 지, 足:발 족, 而:말이을 이, 爲:할 위, 屨:신 구, 같은 종류의 것은 모두가 대체로 같다, 또 사람은 누구나 엇비슷하다.
◇ 不知何歲月(부지하세월) 不:아닐 부, 知:알 지, 何:어찌 하, 歲:해 세, 月:달 월. (무슨 일이) 엉제 이루어질지 그 기한을 알 수 없다.
◇ 不知香臭(부지향취) 不:아닐 부, 知:알 지, 香:향기 향, 臭:냄새 취. 가부(可否)와 선악을 분별할 줄 모름을 이름. -초씨역림-
◇ 不脂戶(부지호) 不:아닐 부, 脂:기름 지, 戶:지게 호. 기름을 바르지 않은 문, 사,람의 말이 적은 것을 이름. -준남자-
◇ 父執尊長(부집존장) 父:아비 부, 執:잡을 집, 尊:높을 존, 長:긴 장. 아버지의 친구로 아버지와 나이와 비슷한 어른, 부교(父交).
◇ 斧鑿痕(부착흔) 斧:도끼 부, 鑿:뚫을 착, 痕:흔적 흔. 시문이나 서화를 제작하는 데에 신중히 여러 번 손질하는 것, 부착은 도끼와 끌로, 여러 가지 가공이나 수정을 가한다는 뜻.
◇俯察仰觀(부찰앙관) 아랫사람을 두루 굽어 살피고, 윗사람을 존경(尊敬)하는 마음으로 우러러봄.
◇ 夫唱婦隨(부창부수) 夫:사내 부, 唱:노래할 창, 婦:아내 부, 隨;따를 수. 남편 주장에 아내가 따르는 것이 부부 화합의 도(道)라는 뜻. -관윤자-
◇ 負債如山(부채여산) 負:짐질 부, 債:빚 채, 如:같을 여, 山:뫼 산. 남에게 진 빚이 매우 많다는 뜻.
◇ 浮沈之慮(부침지려) 浮:뜰 부, 沈:잠길 침, 之:갈 지, 慮:생각할 려. 물 위에 떴다 잠겼다 함으로 인한 심려이니, 세상의 무상함을 슬퍼한다는 말.
◇ 赴湯蹈火(부탕도화) 어려움이나 위험을 가리지 않는 자세를 비유하는 말로, 물불을 가리지 않고 뛰어든다는 뜻이다, 부탕은 부글부글 끓는 뜨거운 물 속으로 뛰어들어간다는 뜻이고, 도화는 활활 타오르는 열화 속으로 뛰어들어간다는 말. -한서 조조전-
◇ 浮萍轉蓬(부평전봉) 浮:뜰 부, 萍:부평초 평, 轉:그를 전, 蓬:쑥 봉. 부평포처럼 바람 부는 대로 굴러다니는 쑥과 같다는 뜻으로, 살 도리 없이 정처 없이 떠 다니는 낙오된 신세를 비유하는 말.
◇ 父風母習(부풍모습) 父:아비 부, 風:바람 풍, 母:어미 모, 習:익힐 습. 생김새나 말, 행동 등이 아버지와 어머니를 골고루 닮음.
◇ 浮虛之說(부허지설) 浮:뜰 부, 虛:빌 허, 之:갈 지, 說:말씀 설. 떠돌아 다니는 허황한 말.
◇ 負荊(부형) 負:짐 질 부, 荊:광대싸리 형. 가시나무를 등에 지고 매질해 주기를 청한다는 뜻으로, 깊은 사죄의 뜻을 나타내는 말. -사기-
◇ 負荊請罪(부형청죄)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면서 엄격한 처벌을 요구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사기 염파인상여열전-
◇ 附和雷同(부화뇌동) 자기의 주장없이 무조건 남의 의견을 따름. -예기,곡례-
◇ 夫和婦順家和之本(부화부순가화지본) 남편(男便)은 온화(溫和)하고 아내는 양순한 것이 가정(家庭) 화목(和睦)의 근본(根本)임.
◇ 附和隨行(부화수행) 자기 주견이 없이 남의 의견(意見)에 따라 움직임.
◇ 附會(부회) 부회(部會). 이치(理致)에 닿지 않는 것을 억지로 끌어대어 이치(理致)에 맞게 하는 것. 말이나 이론(理論)을 억지로 끌어다 붙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