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S 오늘의 부처님 말씀]
아기가 엄마의 품에 안기듯이 그 사람을 의지하고, 다른 사람 때문에 그 사이가 멀어지지 않는 사람이야말로 진정한 친구다.
<숫타니파타>
------------
[일요선어록 산책]
성철스님의 신심명 · 증도가 강설_ 증도가(115-1)
http://support.bbsi.co.kr/S1774
증도가證道歌 115
마치면 업장이 본래 공함이요
마치치 못하면
도리어 묵은 빚 갚으리로다.
了卽業障이 本來空이요
요즉업장 본래공
未了還須償宿債로다
미료환수상숙채
우리가 공부를 다해 마치면
업장이 본래 공하다는 말입니다.
앞에서 '찰나에 아비지옥의
업을 없애버린다'고 했듯이
눈 깜짝할 사이에 자성을 깨치면
깨침과 동시에 모든 업이 본래 공해서
모두가 다 무너지고 업이
거기에 설 수 없어서
영원토록 자유자재한
부사의해탈경계만이
현전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거기서는 업이니 뭐니 하는 것은
찾아볼 수 없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공부를 다 마치지 못하면
자기가 전생에 지어 놓은
업에 따라서
자기의 빚을
다 갚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구경각을 성취하여
진여본성을 바로 깨치면
자유자재한 해탈경계 속에서
업이든 뭣이든 다 얼음덩이가
부서져 녹아내리듯이 되는데
그러기 전에는 모든 지은 업을
다 갚아야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조금 문제가 붙는 것이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정해진 업은
면하기 어렵다[定業難免]'고 하셨는데,
그러면 이 말씀과 영가스님의 말씀과
모순이 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의문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이조(二祖) 혜가(慧可)대사가
달마대사의 정법을 받아서
삼조 승찬대사에게 전한 뒤에,
"나는 업도(業都)로 가서
묵은 빚을 갚으리라."
하고는 업도로 훌쩍 떠났습니다.
거기 가서 형편에 따라 설법을 하니,
한마디를 법문함에 사부대중이
모두 귀의하였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중생을 교화하기 3~4년을 지내고는
드디어 자취를 감추고
겉모양을 바꾸어 술집도 드나들고
푸줏간에도 찾아가고 거리의 잡담도 익히고
품팔이도 하면서
처소를 가리지 아니하고
호호탕탕하게 자재한 생활을 했습니다.
사람들이 이상히 생각하여
묻기를, "스님은 도인이신데
왜 이런 일을 하십니까?"
하니, 혜가스님이
"내 스스로 마음을 조복시키기 위함이요
다른 뜻은 없느니라." 고 하였습니다.
그 당시 업도에서 가까운 안현(安縣)의 광구사(匡救寺)에
변화(辯和)법사라는 이가 있어서
『열반경』을 강의하고 있었습니다.
마침 혜가스님이 그 절 삼문(三門) 밖에 와서 무상정법(無上正法)을 설하니,
대중이 『열반경』을 듣다가 혜가스님 법문하는 곳으로 가버리고
변화법사의 강석에는 사람이 없다시피 되었습니다.
변화법사는 죽자 하고
애써서 『열반경』을 설해 왔는데
대중들이 이제 자기의 법문을 듣지 않고
혜가스님이 법문하는 곳으로 가버리니
속으로 어찌나 화가 났는지 분함을 참지 못하고
현령인 적중간(翟仲侃)에게 가서 무고를 했습니다.
"저 중은 미친놈이고 삿된 견해를 가진 외도입니다.
앞으로 그냥 놓아두면 불법에만 해독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세속에도 큰 해를 끼칠 테니
저런 놈은 살려 두어서는 안 됩니다.
저 놈은 나의 강석(講席)도 무너뜨렸습니다." 고하니,
이에 적중간은 사실을 자세히 살피지도 않고
거짓말에 속아서 혜가대사를 목을 베어 죽여버렸습니다.
그것이 서기 593년이고
혜가스님의 당시 세수는 107세라고 합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혜가스님은 비명에 죽었으니
그 이유는 무엇인가?
빚을 갚는다고 했으니 빚을 갚았다고 해야 될 것인가,
아니면 어떻게 말해야 될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흔히 전생 빚이 있어서 빚을 갚은 것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그렇게 말하면 뜻이 정반대가 되어 버립니다.
누구든지 구경각을 성취해서
자유자재한 해탈경계에 들어갈 것 같으면
업장이 본래 공해서 업보를 받으려야 받을 수 없으며
거기서는 업장을 찾아보려야 찾아볼 수 없는 것인데
만약 빚을 갚았다고 하면 혜가스님이 공부를 다 마쳐서
대법을 성취하지 못한 사람이 되고,
빚을 갚지 않았다고 하면
분명히 맞아 죽었으니
그것은 또 어떻게 할 것이냐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모순이 생깁니다.
그러나 이것은 모르는 사람이 하는 말입니다.
혜가스님을 중생들이 볼 때는 분명히 맞아 죽었지만
혜가스님이 구경각을 성취해서
업장이 본래 공하다고 하는 데
대해서는 추호도 모순이 없습니다.
만약 모순이 있다고 본다면
원융무애한 중도정견을 갖추지 못한 사람이
변견으로 자기의 사량복탁(思量卜度)으로 오해하는 것이지
실제로 알고 보면 혜가스님에게는 부족함이나 흠이 없는 것입니다.
......
<다음주 2편으로 이어집니다>
<성철스님의 신심명.증도가 강설 중에서 >
------------
(마음을 깨우는 오늘의 부처님 말씀 )
“세존께서는 항상 선법(善法)으로
중생을 이롭게 하고
항상 좋은 말로 중생을 가르쳐 이끌었네.
항상 선한 힘으로 중생을 돌보고
기뻐하고 즐거워하며
항상 법보시(法普施)를 행하고 질투하지 않았네.”
<우바이정행법문경>
불기 2569년 3월 23일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3번)
♣법신진언 : 옴 아비라 훔 캄 스바하(3번)
♣참회진언(懺悔眞言)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3번)
♣소원성취진언(所願成就眞言)
옴 아모카 살바다라 사다야 시베훔(3번)
♣광명진언(光明眞言)
옴 아모카 바이로차나 마하무드라 마니 파드마 즈바라 프라바릍 타야훔(108번)
♣보회향진언(普回向眞言)
옴 삼마라 삼마라 미만나 사라 마하 자거라 바라훔 (3번)
"명상하라, 비구여,
방일하지 말라.
그대의 마음을 감각적 쾌락 속에서
빙빙 돌게 하지 말라.
방일하여 (뜨거운) 쇳덩이를 삼키지 말라.
불타면서 ’이것은 괴로움이다’라고
울부짖지 말라."
<담마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