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효사(爻辭) - 6
上六은 无號니 終有凶하니라.
(상육) (무호) (종유흉)
象曰无號之凶은 終不可長也니라.
(상왈무호지흉) (종불가장야)
●상육은 호소할 데가 없으니, 마침내 흉함이 있느니라.
상에 가로되, '무호지흉' 은 끝까지 길지 못하니라.
★뜻풀이
택천쾌괘 아래로 부터 여섯번째 효에 대한 풀이이다.
소인이 세도를 얻어 모든 惡을 거리낌 없이 행하다가, 마지막에
몰린 것이 상육이다.
군자가 세력을 되찾아 소인의 잔당을 몰아내는 때에 , 상육은 지
탄을 받고 심판을 받는 당사자이다.
따라서 호소할 데가 없는 것이다.
①종불가장야(終不可長也)
마지막 남은 유일한 陰인 상육마저 결단하면 결국은 純陽인 乾
으로 변하게 된다.
②여기서 소인을 결단한다는 것은 형벌이나 물리적인 힘으로 없애는
것이 아니라, 교화시켜서 善을 힘써 행하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복괘에서 쾌에 이르기 까지 모두 음을 교화시켜 陽이 되도록 하는 것
이다.
첫댓글 주역을 봅니다.
잘 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