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난척 아는척 하는거 싫어하는데 좋아하기 위해 노력중이에요 ㅎㅎㅎ
아는거 적어볼게요 ㅋㅋㅋ
몇가지만 적어볼게요
첫번째 인간은 감탄은 한다는거에요
꽃을 보거나 자연을 보면 우와~~ 하고 감탄을 한다고 해요
두번째 인간은 동물의 왕 사자 호랑이를 잡을 수 있어요 혼자서 살 수 없어요 - 집에 있지 말고 나와줄래염?
혼자서는 불가능하지만 집단이나 여러 명이 모여서 의논을 하고 힘을 합치면 생태계에서 제일 위에 있는 포식자가 되요
그만큼 인간은 소속되어서 살고 타인과 교류를 해야지 살 수 있는 동물인거 같아요
그리고 심리적 안정을 가지기 위해서는 소속감이 중요한거 아시죠? 마음의 단절은 지옥으로 가는 티켓을 가지고
인생을 사는거에요 또한 그 지옥이 힘들수록 자기를 사랑하는 만큼 지옥으로 가는거에요
세번째 자동차 칼치기를 잘할때면 내 마음은 저 분이 양보해줘서 감사하다 덕뿐에 재미있어요 하는 마음이었어요
나에게 그리고 타인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좋은 마음을 가지면 좋은거 같아요
반대로 칼치기할때 여유가 있지만 겁을 먹고 어떻게든 집어 넣어야지 하면 클락션 울리고 그러더군요 ㅎㅎㅎ
네번째 무언가 쫒아가고 찾으면 절대 그 일이나 그 사람을 잡을 수 없어요 나는 누구의 인정과 사랑을 받지 않겠다
경험상 제가 처음 경일대학교 다닐때 학교에 있는 모든 여자들이 내 여자처럼 느껴졌는데 내 마음은 싫어 였어요
나는 공부해서 회계사가 되고 싶고 좋은 차 사야지 열심히 살아서 꼭 이루리라 그리고 내 친구들은 하나같이 다들
공무원이나 공사, 대기업에 들어가 있고 장사를 하는 친구는 입지 좋은 곳에서 장사 잘하는 모습이 보였죠
근데, 여자들이 왜 이렇게 나를 아는척하고 나를 좋아한다는 듯 자꾸 쳐다보고 해서 기분은 좋았지만
제 마음은 싫어했죠 ㅎㅎㅎ 그리고 회계원리 시험에서 수학으로 인해 한문제 못푼거 빼고는 책을 다 외웠던거 같아요
교수님도 왜 그렇게 싫었던지요 ㅎㅎㅎ 공부가 되서 재미있었고 기숙사 형들도 열심히 살고 장학생도 2명이 있었죠 ㅎㅎㅎ
이 때 교수님하고 서점에서 만나서 커피 먹고 싶다는 시나리오가 있었고 서점에서 교수님 만났으나 말 못걸었네요 ㅎㅎㅎ
다섯번째 싫어하는 행동에 대해 싫어하는 마음이 생기면 현실로 일어나요
양아치 같이 이런거 싫은데 욕하는거 싫은데 이모랑 같이 있기 싫은데 재수해서 대구대를 왜가? 싫은데 하는 마음과
우울한 기분이 만나면 현실에서 일어나요 어떤거든 싫어하는 행동이 있으면 이걸 좋아해야 되요
감사캠프에서 어떤 분이 어떤 행동에 대해 옳고 그름이 없다는 말이 마음에 와닿았어요
여섯번째 좋아하는 사람과 좋아하는 일과 취미가 많아야 재미있고 즐겁게 살 수 있어요
고2때 공부잘하는 여자 아이를 좋아했는데 나도 공부하고 싶었고 사촌 누나가 식탁에서 공부하는 모습이 이뻐보여서
나도 공부하고 싶었어요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면 좋은걸 보게 되는거 같아요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걸 해야 내가 나를
좋아할 수 있는거 같아요
일곱번째 내가 보고 싶은거만 내가 생각해서 본다
우울하고 기분이 안좋을때는 9시 뉴스를 보게 되고 즐거운 기분일때는 경제뉴스를 보게 되요 저 경제학 좋아해요 ㅎㅎㅎ
환경미화원을 보면 3D직업으로 분류되어 힘든 직업이라고 보게 되어 힘들겠다 라는 생각으로 보거나
환경미화원을 보면 뉴스에서 경재율이 높고 지원자도 많다 부산 시의원은 환경미화원 연봉이 너무 높은거 아니냐?며
질의했다가 욕을 먹었고 연봉이 낮지는 않은거 같아요 심리학 강연을 보면 너무 즐겁게 환경미화원이 청소를 하길래
심리학 교수가 물었다고 해요 왜 그렇게 즐겁나요? 그 청소부는 이렇게 말을 했다고 해요
지구 한 모퉁이를 쓸게 되어 기쁘다라고... 아마 거시적인 관점으로 이 세상을 보는거 같아요 이 미화원은 즐겁게 살고
있구나 ㅎㅎㅎ 처럼 내가 똑같은걸 보더라도 나는 똑같이 생각하지 않아요
여덞번째 필요없는 생각이나 고민, 걱정이 많아요 나에게 필요하고 유익하게 보기
1+1=2 인데요 물방울이 하나 하나 합쳐져서 1이 되었다 이 세상에 완벽하게 이건 이거야 라고 할 수 있는건 없다
기적이라고 사람들은 말을 한다 근데 그 기적이라는것도 상황이나 상태에 따라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근데 그 횟수나
정도가 극히 드물뿐이다 고로 기적이 일어났다고 그렇게 좋아할 일인가? 일어날 수 있는 일이 일어났는데...
이런 필요없는 생각이 저는 많이 있네요
그리고 고민이나 걱정, 후회는 많이 한들 좋을게 없어요 이 점이 인간에게 최대의 약점이에요
100도씨 라는 강연을 보면 어떤 남자가 나는 개처럼 살고 싶다는 주제로 강연을 했어요 그 사람은 이런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개처럼 지금 내 앞에 있는 상황에 집중하고 열심히 살고 싶다는 이야기였어요
아홉번째 죽을때까지 내가 나한테 태교해야 하는거 같아요 좋은거 찾아서 보기
여자가 임신을 하면 이쁜 배우, 이쁜 환경, 이쁜 과일, 등등 좋은거만 보라고 조언을 하잖아요
자기 마음 자기가 바꾸기 쉽지 않아요 그릿 이라는 책을 보면 마음을 좋게 할려면 좋은걸 보라고 하더라고요
열번째 인간은 학습과 습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릴때 야영을 가서 1박을 하고 일어나면 어떤 아이는 책을 보고 어떤 아니는 산책을 어떤 아이는 양치질을 하고
어떤 아이는 이불정리를 하고 어떤 아이는 일어날까 말까 하며 잠을 자고 나는 티비보고 하는걸 보고 왜 다 다를까?
아빠는 아침드라마 보고 출근을 합니다 ㅎㅎㅎ
이건 부모가 하는걸 배운거라고 생각해요 배워서 사용하고 있는거죠 이건 10번 100번을 하면서 습관이 되고
이 습관은 죽을때까지 갈꺼 같아요 ㅎㅎㅎ
솔직히 이 습관 많이 바꿨어요 ㅋㅋㅋ
열한번째 이 사회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어느 기간동안 자기에게 가혹할 만큼 독하게 열심히 노력한 시간이 있다
이 독하게 노력한 시간을 만들려면 자기애가 필요하다
ebs 강사가 고3으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자기는 너무 치열했고 너무 고생해서 다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하더라고요
서울대학교를 갔고 강사로 잘 살고 있는거 같아요
열두번째 그래도 돼 안돼도 돼 예스맨
어떤 청년이 축구를 했고 잘하는거 같았어요 공격수였던거 같고 자신감도 있었어요 드리블을 하면서 수비수들에게
들어와 들어와 라는 말을 하더군요
나라면 오지마라 오지마라 했을텐데요 ㅎㅎㅎ
내가 이래서 망했어요
사업을 하면서 잘 나가다가 망하는 케이스는 잘되고 있어서 망하면 안돼는데 라는 마음이 있기 때문일거라고 생각해요
망해도 돼 여자가 싫어해도 돼 감옥가도 돼 공부 못해도 돼 같은 마음은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일도 잘될 수 있어욤
열세번째 착하게 살기 다른 사람 말 잘들어주기 (경청은 사랑이에요)
교수님은 강연을 들어보면 착해서 그렇고 참고 마음에 담은게 많아서 정신적인 병이 생긴거라고 하지만
저는 밖에 표면적인 모습만 착하고 속마음은 착하지 않아서 말이 올라오고 하는거 같아요
남이 내 말 안들어준다는 나도 남의 말을 안들어주고 있다는거에요
열네번째 좋은 마음 가지기 (싫어하고 잘해주는 마음 가지기)
내가 속마음으로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서 잘해주고 싶은 마음으로 만나면 내가 얻어먹고 오고
다음에 내가 만나면 진짜 잘해줘야지 비싼거 사줘야지 하면 내가 얻어먹고 오고
아! 이거 왜 이러지? 뭐가 문제가 있나? 어떻게 해야 내가 밖에서 잘해줄 수있지? 라는 고민을 했어요
그리고 마음으로 상상한 시나리오가 현실에서 펼쳐짐
근데, 착한병이 발생해요 이래서 그 사람 못만나요
그냥 좋아하고 잘해주고 싶은 마음 가지고 살께욤
열다섯번째 별거 아닌데... 별거 아니에요
저는 회계사 같은 전문직이 대단해 보였어요 선뜻 뭘 할 수가 없어요
그나마 감정평가사 라는 자격증 공부를 한건 만만해 보였거든요 이 직업은 뭐 하는것도 없는데 시험은 어려워?
이런 마음이 있었기에 공부를 시도할 수 있었던거 같아욤
열여섯번째 완벽한 성공이나 완벽한 계획은 이 세상에 이뤄지지 않는다
내 마음이 뭔가 불안하고 힘들고 뭔가 완벽하게 좋은 마음으로 이 세상에서 열심히 살고 싶다
응 아니야~~ 그런거 가진 사람 이 세상에 한명도 없어요 그 과정 속에 있는 해야 하는 일을 열심히 하면 돼욤
지금까지 미친놈도 논리는 있다 개똥철학이었어요 ㅎㅎㅎ
공감가는것도 아닌것도 있겠죠
악플 정중히 사양하지 않아요 싸울래? ㅋㅋㅋ
감사합니다 ㅎㅎㅎ
첫댓글 아 제목만 보고 광고글인줄 알았어요 ㅋㅋ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잼있네요.~~ 감정평가사 이신가요..?
유쾌한 당사자 이신듯~~^^
백수에요
건강하게 살아가려는 모습도 보이네요 나도 밝게 행복하게 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