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각종 무기 때문에 러시아군이 고전(苦戰) 중이다. 여기에 대전차 미사일의 활약으로 ‘전차 무용론(無用論)’이 재등장했다. 기갑병과 출신 군사 전문가는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를 어떻게 볼까.
© 3b1a5afb-1da2-416b-8bd7-b3c3e8b1fff6[월간조선] “나폴레옹·히틀러·김일성이 벌인 실수, 푸틴이 반복했다”
지난 4월 8일 육군 제1기갑여단장을 지낸 주은식(한국전략문제연구소 부소장‧육사 36기) 예비역 준장을 만났다. 그는 “전차는 지상전에서 여전히 중요한 무기”라며 “러시아가 전차를 제대로 운용하지 못했을 뿐”이라고 했다. 주 예비역 장군은 2001년부터 2년간 러시아 총참모대학(우리나라의 국방대)에서 공부했다.
주 부소장은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러시아의 사활적 이익(vital interest)을 침해하기에 러시아가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며 “미국이 전쟁을 충분히 막을 수 있었음에도 각종 무기만을 지원한 채 정작 군대는 배치하지 않아 전쟁을 부추긴 면도 있다”고 주장했다.
'택이 아빠' 최무성, 97kg에서 2달만에 -15kg 감량 비결은
쥬비스다이어트
그러면서 “약자에 대한 동정심만으로 푸틴을 악마화하거나 러시아를 적대시해선 안 된다”며 “국익의 관점에서 이번 사태를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주 부소장은 ‘루스키 미르(Russkiy mir)’라는 관점에서 이번 사태에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루스키 미르는 ‘러시아 세계(Russian World)’를 말한다. 러시아 정교회를 정신적 기반으로 한 범슬라브 국가를 건설해 서방의 도덕적 부패로부터 문명을 구원한다는 사상이다. ‘팍스 로마나(Pax Romana)’, 중국의 중화(中華)사상, 지금의 ‘중국몽(中國夢)’과 유사하다.
주 부소장은 “러시아가 루스키 미르 때문에 ‘스스로 제한된 군사 작전’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 때문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대규모 공습은 하지 않았고 공습을 벌였으면 러시아군의 피해도 지금보다는 적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2014년 이후 도입한 ‘대대전술단(BTG)’에 기반한 작전에도 문제가 있다”고 했다.
BTG는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전쟁을 치르며 고안한 새로운 부대 편제(編制)다. 특징은 대대급(600~800명) 부대가 현장 지휘관(대대장·중령)의 재량권을 바탕으로 기동성 있게 운용된다는 점이다.
문제는 여단(병력 약 3000명)에 바탕을 둔 BTG가 규모와 병과의 한계로 합동작전(타군과 연계)과 협동작전(동일 군 내 다른 병과와 연계)에서 제약을 받는다는 점이다. 사단(약 1만 명)이나 군단(5만 명)은 각종 병과가 한데 모여 전투를 치르기 때문에 시너지 효과와 집중 효과를 낼 수 있다.
◇히틀러의 실수 되풀이한 푸틴
— 푸틴은 왜 기습과 집중이라는 전쟁의 대원칙을 지키지 않았나.
“베이징 동계 올림픽 때문이다. 중국 시진핑을 배려하느라 적기(適期)를 놓쳐 기습의 원칙을 지키지 못 했다. 전쟁을 실제로 할 생각이었다면 올림픽이 열리기 전인 1~2월경에 예고 없이 행동해야 했다. 또 집중의 원칙도 사라졌다. 광활한 우크라이나를 공격하는 데 고작 병력 15만 명을 동원했다. 문제는 이 병력이 키이우(북부), 돈바스(동부), 크름반도(남부) 등으로 분산돼 투입돼 BTG 단위로 따로 움직였다.”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