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진실
글 德田 이응철(수필가)
조승우라는 배우를 아시나요? 단국대학 시절 사부님의 권유로 춘향뎐 오디션 경쟁에 나가 1,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뮤지컬에서 배우로 가는 열차를 탄 청년 배우시다. 자신의 꿈과 이상을 혁명처럼 이루어낸 장인 匠人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아 오죽하면 그 후, 그의 몸짓 하나하나가 배역을 온전히 자기 것으로 체화 體化해 낸 배우라고 극찬하였다. 그는 한국 대중 문화사의 한 페이지를 써가는 배우로 아니 오죽하면 “조승우가 곧 장르다‘라는 대중문화의 중핵이라는 신조어가 나오기까지 했을까!
내 경우 그의 영화 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클래식이다. 2003년 클래식에서 적절한 멜로 연기를 선보여 대중의 주목을 받은 이 작품은 오준하 역으로 등장하는 고교생 조승우, 154만 관객 흥행을 세운 성공한 영화이다. 귀신이 나오는 집에 여름방학 때였다. 요양차 내려간 시골에서 순박한 준하를 만나 어렴풋이 사랑을 느낀 애틋한 첫사랑, 그 달콤한 기억을 평생 가슴에 묻고 사는 국회의원 딸인 주희-, 발표회 때 비가 쏟아지는 속에서 그를 위한 사랑의 꽃다발이 눈물겹다. 유년기 때 아래 면장집에 방학이면 오던 손녀와의 사랑과도 오버랩되어 조승우의 작품이 더욱 뇌리에 생생하다. 천재적인 연기력의 소유자, 말아톤을 찍기 위해 허벅지 옆 갈라지는 근육을 위해 하루에 7킬로를 뛸 정도로 올인하는 배우이며, 군 입대하기 7시간 전에 어머니께 말했을 정도로 내성적인 성격이다. 그는 부친이 가수 조경수임을 단 한 번도 인터뷰에서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실력보다 그 후광이란 뜬소문이 싫었기 때문이리라. 키워준 엄마와 뮤지컬에 대학교수인 누나만이 오로지 한 식구임을 늘 강조한다.
언젠가 우연히 그를 모셔 인터뷰하는 유재석의 유퀴즈! 프로를 시청한 적이 있다. 영화 촬영 전에 장난을 치며 개구지게 리허설에 임한다고 하지만, 그날 시청 소감은 조심성이 다분했다.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보고 꿈과 이상을 포기한 자신을 돌아보았다느니, 부모 이혼이 주는 영향으로 아직 혼인을 못 하고 개와 고양이를 키우며 나는 고양이라고 할 정도로 사랑을 주며 눈물을 흘린다고 한다. 그는 말한다. 최근 자신의 역할에 대해 진실을 외면하고 있는 껍데기 자신을 보며 이렇게 흘러가고 있음이 한스럽다고ㅡ. 오상아(吾喪我)! 또 다른 자신을 발견한 것이 아닌가! 놀랍다. 물론 모든 것은 대본에 충실하지만, 아니다. 상대편이 설움이 복받쳐 눈물을 펑펑 흘리는데, 자신은 외람되게 이 장면이 끝나면 점심 메뉴는 무엇일까 하는 얼토당토 않은 생각들이 자신을 움직인다고 실토한다. 이것이야말로 순간 진실을 외면하는 사막처럼 말라가는 감정이 분명하다고 몇 번씩 크게 정색한다. 뮤지컬도 좋고 배우도 좋지만, 어느새 이런 세계에서 진짜 자신의 속마음도 없는 껍데기 인생으로 전락하는 것이 무엇보다 큰 슬픈 걱정거리라고 흉금을 털어놓는다.
장자 고전에서 나오는 오상아(吳喪我)를 직역하면 내가 나를 장사 지낸다라는 뜻이다. 순간 나를 돌아본다. 역시 그렇다고 동감이다. 퇴직하고 문학의 길을 걸으면서 많은 선배 문인들을 만난다. 처음에는 정성을 다해 극진히 예우하며 그의 문학세계를 흠모하며 지냈다. 어느새 칠순을 넘어서 문학 모임에 참석하면 지난번에 관심도 없던 작가들이 곁을 두고 가까이 접근함을 느낀다. 어느 아동문학가의 경우, 그런 연유로 가깝게 지내게 되었다. 식사도 하고 시간을 정해 만남도 예약한다. 몇년간 그와 가까이 생활하면서도 늘 이분이 나와의 진정한 만남 목적이 무엇일까? 하며 나도 모르게 저울질하곤 했다. 그는 3~4년 사생활까지 주고받으며 문학과 그림과 삶을 주고받았다. 그러던 그해 겨울 뜻하지 않은 급성폐렴으로 세상을 떠나셨다. 설왕설래하며 진실을 진실로 받아들이기에 불편했던 자신을 돌아본다. 코로나로 갑자기 곁을 떠난 유명 장로 작가님도 마찬가지다. 세간에 그분에 평은 칼 같은 처세라 모두 조심조심하며 불편했던 만남 또한 사실이다. 전국 유명 목사들을 모신 출판기념회에 두 번째 발표 좌석을 마련해 제 위상을 크게 빛내주셨음에도, 당시 진정한 감사보다는 설왕설래였던 것이 솔직한 고백이다. 요즘 부쩍 문학 선후배들과 모임이 잦은 편이다. 삶은 소풍이고 인생은 여행이라고 한다. 미래가 불확실해지면서 하루의 삶에 관심이 높다. 문인들이 점심을 초대받는다. 그럴 때도 예전엔 주마간산 격이던 문학 선배가 유난히 가까이한다. 진실이겠지 하면서도 자꾸 반신반의하니 자신이 조승우의 껍데기 인생이 아닐까? 진실을 진실로 받아들이지 않은 나의 처세-. 내안에 또다른 나를 발견한다. 곁을 떠난 문학 선배님들께 면구스럽다. 언제부터 이렇게 불편한 진실이었나? 보이스 피싱이 기승을 부리니 그것으로 하늘을 가릴 수는 없다. 자신을 겸허히 돌아보며 인간관계는 결코 녹록치 않지만 그렇다고 킬러 문항 역시 아님을 고쳐 먹는다. 당신은 어떠하신지? (끝)
,<약력> - 김유정문학공모 최우수(‘95) - 강원일보 신춘문예 동화(‘96)입상 - 수필과 비평지 신인상(‘97) - 강원수필문학상(‘14.11) - 제 9회 백교문학상 수상 - 강원수필문학회장 역임, 현 강원수필문학고문 - 수필집-어머니의 빈손(2008) 바다는 강을 거부하지 않는다. - (2011) 달을 낚고 구름밭을 갈다(수필화집)(2014) - 감로개화송(甘露開花頌) 수필화집 발간(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