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록 5장 31절 상제께서 二十三일 오전에 여러 종도들에게 가라사대 “이제 때가 바쁘니라. 너희들 가운데 임술생(壬戌生)으로서, 누이나 딸이 있거든 수부(首婦)로 내세우라.” 형렬이 “수부로서 저의 딸을 세우겠나이다”고 아뢰니 말씀하시기를 “세수시키고 빤 옷으로 갈아입혀서 데려오라” 하시니라. 형렬이 명하신 대로 하여 딸을 상제 앞에 데려오니라. 상제께서 종도들로 하여금 약장을 방 한가운데 옮겨 놓게 하시고 그의 딸에게 약장을 세 번 돌고 그 옆에 서게 하고 경석에게 “대시 태조 출세 제왕 장상 방백 수령 창생점고 후비소(大時太祖出世帝王將相 方伯守令蒼生點考后妃所)”를 쓰라 이르시니라. 경석이 받아 쓸 제 비(妃)를 비(妣)로 잘못 쓴지라. 상제께서 그 쓴 종이를 불사르고 다시 쓰게 하여 그것을 약장에 붙이게 하고 “이것이 예식이니 너희들이 증인이니라”고 말씀을 끝내고 그의 딸을 돌려보내시니라. 상제께서 경석에게 그 글을 거둬 불사르게 하셨도다.
..................................................................
“이것이 예식이니 너희들이 증인이니라” 라는 표현이 보인다.....
'약장' 은 <방 한가운데>로 옮겨졌다...."그냥 그 자리에서 하면 안되었나?" 하는 질문을 할 수 있다.....그런 질문을 하라는 이야기다.......
수부(首婦) 는 약장을 세 번 돌고 그 옆에 섰다....이게 성사가 이야기하고픈 예식이다.....
예식의 내용은 물론 “대시 태조 출세 제왕 장상 방백 수령 창생점고 후비소(大時太祖出世帝王將相 方伯守令蒼生點考后妃所)” 이다....
눈여겨봐야 할 것은 황극이 떨어져 나간 ' 后妃所' 라는 점이다...
그런데....
전경에는 ' 약장을 세 번 돌고' 와 같은 표현이 또 있다...
소개해 드리겠다.
(1) ' 약장을 세 번 돌고' 와 같은 표현
권지 2장 21절 상제께서 신 원일을 데리고 태인 관왕묘 제원(關王廟祭員) 신 경언(辛敬彦)의 집에 이르러 머물고 계실 때 그와 그의 가족에게 가라사대 “관운장이 조선에 와서 받은 극진한 공대의 보답으로 공사 때에 반드시 진력함이 가하리로다” 하시고 양지에 글을 써서 불사르시니 경언은 처음 보는 일이므로 괴이하게 생각하였도다. 이튿날 경언과 다른 제원이 관묘에 봉심할 때 관운장의 삼각수 한 갈래가 떨어져 간 곳이 없으므로 제원들은 괴상하게 여겼으되 경언은 상제께서 행하신 일이라 생각하고 공사에 진력하기 위하여 비록 초상으로도 그 힘씀을 나타내는 것이라 깨달았도다.
...............................................
' 약장을 세 번 돌고' 와 같은 표현을 붉은 글씨로 표현했다....
관운장의 삼각수는 모두 3갈래인데....그 중 한 갈래가 떨어져 나갔다.....그러면 관운장의 '삼각수' 가 뭘 의미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2) 관운장의 '삼각수' 의 의미
행록 5장 38절 상제께서 거처하시던 방에서 물이 들어있는 흰 병과 작은 칼이 상제께서 화천하신 후에 발견되었는데 병마개로 쓰인 종이에
吉花開吉實 凶花開凶實
의 글귀와 다음과 같은 글들이 씌어 있었도다.
病有大勢
病有小勢
大病無藥 小病或有藥
然而大病之藥 安心安身
小病之藥 四物湯八十貼
祈禱
侍天主造化定永世不忘萬事知至氣今至願爲大降
大病出於無道
小病出於無道
得其有道 則大病勿藥自效 小病勿藥自效
至氣今至四月來 禮章
醫統
忘其父者無道
忘其君者無道
忘其師者無道
世無忠 世無孝 世無烈 是故天下皆病
病勢
有天下之病者 用天下之藥 厥病乃愈
聖父
聖子 元亨利貞奉天地道術藥局 在全州銅谷生死判斷
聖身
大仁大義無病
三界伏魔大帝神位遠鎭天尊關聖帝君
知天下之勢者 有天下之生氣
暗天下之勢者 有天下之死氣
孔子魯之大司寇
孟子善說齊粱之君
西有大聖人曰西學
東有大聖人曰東學 都是敎民化民
近日日本文神武神
幷務道通
朝鮮國 上計神 中計神 下計神 無依無托 不可不文字戒於人
宮商角徵羽 聖人乃作 先天下之職 先天下之業 職者醫也 業者統也
聖之職聖之業
....................................
관운장의 '삼각수' 의 의미는 붉은 글씨로 표시했다....
전경에는 '伏魔' 와 '解魔' 가 나오는데..이건 다 관운장과 관련이 되어 있다...
'伏魔' 가 '解魔' 로 가는 과정이 모두 3단계인데,,,,성사가 이 세상에 있을 때, 삼각수 한 갈래가 떨어져 나갔다(=1단계) 는 사실을 < 권지 2장 21절>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권지>니까, 그런 사실을 미루어 짐작하라는 뜻이다....
이제 그림으로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2) 그림 확인
.............................................................
약장을 세번돌고 나온 神이 "百伏神" 이고, 삼각수 3갈래가 전부 떨어지고 나온 神이 '萬死神' 이다.....(이 '萬死神' 은 관운장이 '解魔' 한 神 이라는 이야기다...)
(참고)
교운 1장 10절 상제께서 교운을 펼치신 후 때때로 종도들에게 옛사람의 이야기를 들려주시니라. 그 사람들 중에는 강 태공(姜太公)ㆍ석가모니(釋迦牟尼)ㆍ관운장(關雲長)ㆍ이마두(利瑪竇)가 끼었도다.
권지 1장 20절 상제께서 어느 날 공우를 데리시고 태인 새울에서 백암리로 가시는 도중에 문득 관운장(關雲長)의 형모로 변하여 돌아보시며 가라사대 “내 얼굴이 관운장과 같으냐” 하시니 공우가 놀라며 대답하지 못하고 주저하거늘 상제께서 세 번을 거듭 물으시니 공우는 그제야 겨우 정신을 차리고 “관운장과 흡사하나이다”고 아뢰니 곧 본 얼굴로 회복하시고 김 경학의 집에 이르러 공사를 행하셨도다.
...............................................................
그런 점에서, 공우는 2종류의 神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첫댓글 https://www.youtube.com/watch?v=wDArpOdys8k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