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PI의 The Strategist의 기사입니다.
2021년 이후로 IAEA는 접근 가능한 이란의 핵시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는데, 이번 공습으로 이란이 핵물질을 대피시키고 IAEA 사찰단 추방을 위협하면서 이란 핵시설에 대한 사찰과 감시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합니다.
예상치 못한 결과: 폭격당한 이란 핵 프로그램은 더 감시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2025년 6월 22일, 미국이 나탄즈, 포르도, 이스파한에 위치한 이란의 핵 시설을 공습함으로써, 감시되고 있던 가시적 목표물들이 위험한 사각지대로 대체될 위험이 생겼다. 이란의 핵 프로그램은 이제 더 접근하기 힘든 은밀한 영역으로 옮겨갈 수 있다.
감시가 가능했던 장소를 겨냥함으로써, 미국은 의도치 않게 이란의 다음 행보를 더 불투명하게 만들었고, 이는 향후 추적을 어렵게 하고 전략적 불확실성을 심화시킬 수 있다.
의심스러운 활동 여부와 관계없이, 물리적 핵 시설은 귀중한 정보원이다. 나탄즈의 원심분리기 시설, 포르도의 터널, 이스파한의 전환 시설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미국·이스라엘 정보기관의 전방위적 감시를 받아왔다.
2021년 이후 이란이 IAEA의 점검을 제한했음에도, IAEA는 우라늄 비축량, 농축 수준, 원심분리기 가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했다. 위성 이미지는 이러한 장소들의 작동 상황을 관찰했다. 탈북자 및 비밀작전 등 인간 정보가 기술정보 수집을 보완했으며, 신호정보(SIGINT)는 이들 고정 시설과 관련된 통신을 포착했다.
이 시설들은 알려진 존재였다. 위치, 구조, 운영 방식이 공개되어 있었기에 이란의 은밀한 활동 범위가 제한됐다. 나탄즈의 지상 인프라는 2010년 스턱스넷(컴퓨터 바이러스) 공격 이후 보강됐음에도, 여전히 공중 감시에 취약했다. 포르도의 지하 구조는 확장성을 제한해 농축 생산량을 제한했다.
이러한 제한적 투명성 덕분에, 제재에서 사이버 공격에 이르는 다양한 대응이 물리적 군사력 투입 없이 가능했다.
이번 미국의 B-2 폭격기 및 벙커버스터 폭탄을 활용한 공습은 핵심 인프라를 파괴했다. 보도에 따르면, 나탄즈의 원심분리기 조립시설은 크게 파손됐고, 포르도의 터널은 손상됐으며, 이스파한의 전환시설도 타격을 받았다. 이란이 핵 물질을 대피시켰다고 주장하는 것은 물리적 시설이 잿더미가 되었음에도 작업이 계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파괴는 정보 수집에 여러 측면에서 방해가 될 수 있다. IAEA의 감시체계가 무력화될 수 있으며, 더 이상 현장에서 점검할 대상이 남지 않을 수 있다. 이란은 IAEA 사찰단 추방을 위협하고 있다. 위성 사진도 쓸모를 잃을 수 있고, 이란이 과거(2002년 나탄즈 노출 이후)처럼 비밀 시설로 작업을 옮길 수 있다.
기존 시설에 몸담았던 과학자와 기술자들이 은밀한 장소로 이동한다면, 인간 정보와 신호정보 측면에서도 새로운 과제가 생긴다. 이들의 통신을 감청하거나 정보원으로 포섭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것이다.
공습 결정은 눈에 보이는 위협을 제거하면서 장기적으로 감시력을 희생하는 선택이었다. 이는 물리적 타격이 이란의 핵 개발을 은밀한 재배치보다 더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한다.
그러나 경험상 결과는 더 복잡할 수 있다. 2010년 스턱스넷 이후, 시아파 정권은 나탄즈를 재건하며 농축 효율성이 대폭 향상된 최신 IR-9 원심분리기를 설치했다. 2020년 과학자 모센 파크리자데 사망 후 이란은 핵 프로그램 확대 법안을 제정해 2021년에는 우라늄 60% 농축에 성공했다. 각종 방해가 이란의 조정 노력을 불러왔고, 그 결과는 투명성이 줄어드는 방향이었다.
이번 B-2 폭격기 공격은 이전의 사보타주보다 훨씬 파괴적이지만, 이란이 더 은밀하게 움직이는 악순환이 더 큰 규모로 반복될 수도 있다.
이란의 핵 지식—설계도와 과학자의 전문성—은 시설 타격에도 불구하고 남아 있다. 물리적 시설은 프로그램의 일부에 불과하다. 핵 프로그램이 소규모 분산 시설로 옮겨갈 수 있고, 이는 북한이 영변에서 했던 방식과 비슷할 수 있다. 또는 파키스탄이 초기에 대학 등 민간 시설을 활용했던 것처럼, 이란도 민간 시설을 전용할 수 있다. 이런 시설들은 탐지와 감시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이스라엘이 2018년에 공개한 이란의 핵 아카이브 자료는 분산된 연구소 네트워크의 존재를 보여줬으며, 이미 은밀한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향후 새 시설은 나탄즈만큼 규모는 크지 않더라도, 감시받지 않는 저수준 농축은 충분히 가능할 수 있다.
정보 공백이 생기면 여러 위협이 악화될 수 있다. 테헤란의 능력에 대한 신뢰할 수 없는 정보는 억지력을 약화시켜, 미국과 이스라엘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불확실해질 수 있고, 이는 오히려 긴장 고조나 오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외교적 협상도 복잡해질 수 있는데, 2015년 이란 핵합의(JCPOA)도 알려진 시설의 IAEA 감시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 시설들이 사라지고 이란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위협할 경우, 재협상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정보 공백은 확산 위험을 높일 수 있다. 감시받지 않는 핵 물질이나 기술이 유출될 경우, 특히 이란 내부 보안체계가 약화된다면 비국가 행위자에게 넘어갈 위험도 있다.
이 모든 것의 대안—공습을 하지 않는 것—에도 위험은 있었다. 2023년 초와 2024년에 IAEA 사찰단은 포르도 연료농축공장에서 83.7%까지 농축된 우라늄 흔적을 발견했다. 감시만 계속할 경우, 결정이 지나치게 지연되어 이란이 사실상 핵 보유국 문턱을 넘게 할 수 있다. 통상 90% 농축이 핵무기 임계치로 여겨지지만, 83.7%에 도달한 물질을 90%로 만드는 데는 얼마 걸리지 않는다.
결국 이번 공습은 하나의 명확했던 위협을 수많은 새로운 불확실성으로 바꾼 것일 수 있다. 이란의 경제적 한계와 내부 갈등이 은밀한 재건 능력을 저해할 것이라는 전제에 기댄 셈이다. 현재의 과제는 이러한 모호함 속에서 적극적 정보수집과 외교적 신중함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핵무장 이란이 출현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지도에 일부만 불이 켜져 있던 상황이 이제 완전히 어두워졌을 수 있으며, 그만큼 위험도 더 커졌다.
Unintended consequence: a bombed Iranian nuclear program may become harder to watch
25 Jun 2025|Anubhav Shankar Goswami
SHARE
The 22 June strike by the United States on Iran’s nuclear facilities at Natanz, Fordow and Isfahan risks replacing known quantities—monitored, visible sites—with a dangerous blind spot. Iran’s program may now shift into more inaccessible recesses.
By targeting what could be surveilled, the US may have unintentionally obscured Iran’s next moves, complicating future tracking and deepening strategic uncertainty.
Physical nuclear installations, regardless of their suspected activities, are invaluable sources of intelligence. The centrifuge facilities in Natanz, the tunnels in Fordow and the conversion plants in Isfahan were under comprehensive monitoring by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and by US and Israeli intelligence agencies.
IAEA inspections, further restricted by Iran since 2021, nevertheless yielded information about uranium stockpiles, enrichment levels and centrifuge activity. Satellite imaging monitored operations at these locations. Human intelligence, gaining information from defectors and clandestine operations, augmented technical gathering, while signals intelligence captured communications associated with these permanent sites.
These installations were known entities. Their locations,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limited Iran’s capacity to function covertly. Natanz’s above-ground infrastructure, despite enhancements following the Stuxnet computer virus attack discovered in 2010, were still susceptible to aerial monitoring. The subterranean configuration of Fordow constrained its scalability, hence restricting enrichment production.
This transparency, however limited, enabled measured responses ranging from sanctions to cyberattacks, without the need for kinetic operations.
The US air strikes with B-2 bombers and bunker-busting ordnance have now wrecked critical infrastructure. Reports suggest Natanz’s centrifuge assembly was heavily damaged, Fordow’s tunnels were compromised and Isfahan’s conversion facilities were hit. Iran’s claim that it evacuated nuclear materials implies potential continuity of operations, even as the physical sites may now be rubble or severely impaired.
This destruction could disrupt intelligence collection in several ways. The IAEA’s monitoring framework might be crippled, as there may not be much left at the sites for on-site inspections to inspect. Moreover, Iran’s has threatened to expel IAEA inspectors. Satellite imagery could lose utility, and Iran could relocate operations to covert sites, as it did after 2002 when Natanz was exposed.
New challenges may arise for human and signals intelligence if scientists and technicians who have been associated with known facilities now move to secret sites. Intercepting their communications or recruiting them as informers will be more difficult.
The decision to strike was a choice to eliminate visible threats at the potential cost of long-term visibility. It assumes that physical damage may impede Iran’s nuclear advancement more significantly than covert relocation may expedite it.
Experience suggests a more complex outcome may be in prospect. After the 2010 Stuxnet attack, the Shi’ite regime reconstructed Natanz, installing modern IR-9 centrifuges that enhanced enrichment efficiency. After the death of scientist Mohsen Fakhrizadeh in 2020, Iran enacted legislation to augment its program, achieving 60 percent uranium enrichment by 2021. Each disruption compelled Iran to adjust, and adjustments often resulted in less transparency.
The B-2 strikes, far more destructive than prior sabotage efforts, will hamper Iran’s progress, yet this may perpetuate the clandestine cycle on a grander scale.
Iran’s nuclear knowledge—its designs and the expertise of its scientists—persists despite sustained attacks on its personnel, as physical sites house only part of the program. Its nuclear programme could shift to smaller, dispersed facilities, as North Korea’s did with its Yongbyon reactor, or it could repurpose civilian sites, such as universities, as Pakistan did in its early program. These could be harder to detect and monitor.
Iran’s nuclear archive, published by Israel in 2018, revealed a decentralised network of research labs, suggesting covert infrastructure was in place. New sites in the future might lack Natanz’s size, but they might support unobserved low-level enrichment.
The possible intelligence gap might aggravate several threats. Unreliable data on Tehran’s capabilities may undercut deterrence by leaving the US and Israel unsure of how to respond, perhaps leading to escalation or miscalculation. It might complicate diplomacy, given the 2015 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intended to restrain Iran’s progress, was based on IAEA surveillance of known sites. With those potentially gone and Iran threatening departure from the Treaty on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reopening negotiations may be more difficult.
An intelligence gap might raise proliferation concerns, because unmonitored materials or expertise could leak to non-state actors, particularly if Iran’s beleaguered security system fails to protect relocated assets.
The alternative to all this—refraining from strikes—carried risks. In early 2023 and again in 2024, IAEA inspectors found traces of uranium enriched to 83.7 percent at the Fordow Fuel Enrichment Plant. Ongoing surveillance might have prolong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excessively, permitting Iran to surpass the nuclear threshold. This is usually understood to require 90 percent enrichment, which requires very little more processing of material that has reached 83.7 percent.
However, the strikes may have merely exchanged a singular, known threat for a multitude of unknowns, wagering that Iran’s economic limitations and internal discord may hinder its capacity for covert reconstruction. The current challenge may reside in manoeuvring through this ambiguity, striking a balance between aggressive intelligence gathering and diplomatic caution to avert a nuclear Iran from emerging unseen.
The map, once partially lit, may now be entirely dark, and the stakes may be higher than ever.
Author
Anubhav Shankar Goswami is a doctoral candidate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t Murdoch University. His doctoral research is based on the field of nuclear strategy with a particular focus on nuclear brinkmanship. He is the author of the book Deterrence from Depth: SSBNs in India’s Nuclear Strategy.
Image of craters at the Fordow complex: Maxar/Getty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