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를 하던 7일도 분주했다. 김 대표는 인터뷰 중에도 담당자를 불러 축산환경운동의 진행 상황을 꼼꼼히 챙겼다. 김 대표는 “축산환경운동은 이제 막 씨를 뿌린 단계”라면서 “곧 싹이 돋아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축산환경개선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면서 “축산농가의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축산환경운동의 추진 배경이 궁금했다. 그만큼 축산업 당면 현안이 많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 축산업은 성장을 거듭해왔지만 냄새 문제로 지방자치단체가 축산 입지 거리에 제한을 두는 등 위기를 맞고 있다”면서 “게다가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커졌다”고 설명했다. 축산업도 이제는 환경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축산농가 스스로 냄새 문제를 해결해 국민·지역사회와 동반성장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게 이번 운동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축산환경운동의 추진 내용도 언급했다. 김 대표는 “그동안 매월 10일 오전 10시를 ‘클린업 축산환경 개선의 날’로 정해 축산농가의 환경 개선 실천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주력했다”면서 “앞으로 4분기엔 냄새 민원이 예상되는 지역의 축산농가 18명과 농협사업장 2곳을 대상으로 축산환경 개선 시범사업을 추진, 축산농장에 맞는 실질적인 환경 개선 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축산환경 개선 시범사업은 축산농가와 환경개선(냄새저감) 업체를 직접 연결해 농가 상황에 맞는 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다. 그는 이어 “연말에 축산환경 개선 최우수·우수 실천 농가를 선정하고 그 개선 성과를 사례집으로 만들어 배포, 축산농가의 자발적인 실천 붐을 일으킬 것”이라고 했다. 그동안 축산환경 개선에 대한 축산 농가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면 앞으론 축산농가가 나서서 환경을 개선하는 실질적인 실천운동으로 확산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자연스레 무허가축사 적법화에 대한 질문으로 넘어갔다. 김 대표는 “정부가 무허가축사 적법화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그 속도가 더디다”면서 “특히 정부의 무허가축사 실태조사가 늦어짐에 따라 효율적인 대책 수립이 어렵고 새로운 유형의 법저촉 문제가 계속 나오는가 하면 복잡한 적법화 행정절차와 비용 부담 등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농협의 대책도 밝혔다. 김 대표는 “최근 ‘농협 무허가축사 적법화 지원단’을 새로이 구성해 축산농가의 눈높이에 맞게 적법화를 지원하고 있다”면서 “지방자치단체·지역건축사·지역축협 간의 ‘적법화 지원협정 활성화’도 지도해 적법화에 따른 행정비용 절감 등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적법화 유예기간 연장과 함께 무허가축사 적법화를 위한 ‘무허가축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을 위한 농정활동도 병행키로 했다. 무허가축사 적법화를 위한 절대시간이 부족하다는 현실적인 판단에서다.
축산농가에 대한 당부사항도 빼놓지 않았다. 김대표는 “축산환경 개선과 무허가축사 적법화는 축산업의 생존이 달려 있는 중차대한 과제”라면서 “그동안 수입개방과 가축질병 등 숱한 역경을 이겨냈듯이 지금의 위기와 시련을 ‘성장의 걸림돌’이 아니라 ‘도약의 디딤돌’로 삼아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또 “축산농가가 가는 길엔 언제나 농협이 함께할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김태억 기자, 사진=이희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