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朝鮮칼럼 The Column
[朝鮮칼럼] 우리에게 진정 필요한 ‘신경 끄기의 기술’
노정태 경제사회연구원 전문위원·철학
입력 2024.01.31. 03:10
https://www.chosun.com/opinion/chosun_column/2024/01/31/UXFCO22LEFB2XIFT3DEJVB7KYU/
※ 상기 주소를 클릭하면 조선일보 링크되어 화면을 살짝 올리면 상단 오른쪽에 마이크 표시가 있는데 클릭하면 음성으로 읽어줍니다.
읽어주는 칼럼은 별도 재생기가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 한국 사회 비판 유튜브, 주말 강타
하지만 문제는 단순하지 않아… 자살·저출생은 사회·경제 구조 탓
대기업 정규직에 혜택 집중된 노동시장 이중 구조가 핵심 원인
국가 소멸 피하고 미래 개척 위해 고통스러운 개혁 무릅써야
베스트셀러 작가 마크 맨슨이 '한국의 우울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유튜브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를 여행했다.” ‘신경 끄기의 기술’로 잘 알려진 미국의 베스트셀러 작가 마크 맨슨이 지난 22일 유튜브에 올린 영상 제목이다. 대한민국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정작 한국인들은 불안하고, 우울하며, 자살률마저 높다.
맨슨에 따르면 이것은 잘못된 문화의 문제다. 유교적 집단주의의 나쁜 부분인 수치심, 타인에 관한 판단은 극대화된 반면 가족주의와 사회적 친밀도는 희박하다. 이는 자본주의에서도 마찬가지다. 한국은 현란한 물질주의에 휩싸여 있으며 돈벌이에 눈이 멀어 있지만 자기 표현과 개인주의는 억압당한다. 유교와 자본주의의 장점은 없고 단점만 있는 나라인 것이다.
이 냉철한 ‘한 줄 요약’은 업로드 직후 조회 수 수십만을 기록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불러왔다. 일제의 가혹한 식민 통치 후 한국전쟁과 극도의 빈곤을 거치며 과도한 경쟁으로 최대한 성과를 내야만 하는 사회 분위기가 정착되었고 그것이 한국인을 우울하게 만든다. 이 논리는 지난 주말 ‘조선일보’를 비롯한 여러 언론의 소개로 유튜브 바깥에서도 많은 호응을 얻었다.
흥미진진한 이야기지만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2021년 현재 한국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4.1명으로 OECD 1위다. 10만명당 18.5명인 리투아니아를 큰 격차로 따돌린 압도적 1위다. 이것이 한국 특유의 스트레스와 문화적 압력 때문일까? 그렇지 않다. 1위인 한국, 2위인 리투아니아, 3위인 슬로베니아는 모두 노인 빈곤율이 높고, 그만큼 노인 자살률도 높다. 2019년과 2020년 기준, 노인 자살률 1위가 한국, 2위가 슬로베니아, 3위가 리투아니아다. 통계적 상관관계가 너무도 분명한 현상이다.
OECD 1위인 자살률은 기본적으로 ‘노인 빈곤’ 문제다. 물론 최근 청년층 자살률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으며 정신 건강 악화도 심각하게 볼 일이다. 하지만 ‘한국의 자살 문제’라는 주제를 다룰 때 치열한 입시 경쟁과 아이들을 들볶는 교육 같은 논의에 방점을 찍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정수리가 간지러운데 발바닥을 긁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일이다.
맨슨의 영상을 소개한 언론 기사들의 댓글과 온라인 커뮤니티 등의 반응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현상이 도드라진다. 젊은이들, 특히 여자들이 유교적으로 다른 사람 눈치를 보고 비교하면서 자본주의적으로 허세를 부리다 보니 출산율이 곤두박질쳤다는 꾸중이 빗발치는 것이다. 그런데 맨슨은 저출생을 딱히 거론하지 않았거니와, 한국의 저출생은 ‘유교와 자본주의의 나쁜 결합’으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OECD 국가 중 출산율이 1.3명 이하인 초저출산 국가는 한국, 이탈리아, 그리스 세 곳이다. 이탈리아와 그리스가 유교 때문에 애를 안 낳는 나라일 리는 없다. 원인은 문화가 아니라 사회와 경제의 구조다. 조귀동 작가가 ‘이탈리아의 길’에서 지적했듯 “한국과 이탈리아가 최하위권인 이유는 두 나라 모두 노동시장의 이중 구조, 대기업 정규직 위주의 복지 혜택,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 참여율과 남성의 양육 불참 등의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맨슨의 논의 그 자체를 비판하기 위해 이 글을 쓰는 게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지닌 회복 탄력성(resilience)을 믿는다’는 덕담으로 영상을 마무리한 그의 선의를 의심하지 않는다.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가 한국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언급해주는 것은 우리 자신을 돌이켜보게 해준다는 점에서 고마운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가 스스로의 문제를 그런 식으로 이해해서는 곤란하다. 한국의 문제는 유교 때문도 자본주의 탓도 아니다. 단 하나 핵심 원인을 짚자면 ‘정규직 코스’로 정년을 끝내지 않는 한 빈곤 노인으로 추락하기 십상인 노동시장의 이중 구조와, 그 속에서 지대를 추구하는 기득권 세력이다. 가난한 노인들이 보수 정당을 찍는다고 조롱과 저주를 퍼붓는 고학력 중산층의 똘똘 뭉친 이기심이 문제다.
우리는 문제의 원인을 이미 알고 있다. 다만 그 해결을 위해 감당해야 할 고통을 피하고 싶어 할 뿐이다. 그러다 보니 진짜 개혁은 시작조차 어렵다. 국가 소멸을 피하고 미래를 개척하려면 고통스러운 개혁을 무릅써야 한다. ‘신경 끄기의 기술’에서 한 문장이 눈에 들어온다. “단언컨대 고통을 극복하는 유일한 길은, 고통을 견디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KJ
2024.01.31 06:09:46
별 듣보잡 유튜버 한 놈이 한 헛소리 가지고 너무 떠들지 맙시다. 어제 광화문 나가니까 좌빠리 한 놈이 KT뒤에서 스피커로 떠들며 한겨레, 경향신문의 이내용 기사를 인용하며 목이 터져라 대한민국을 모독하며 선동질을 하고 있더군요. 이런건 그냥 유튜버 한놈의 헛소리로 치부하고 넘어갑시다. 그만 떠들고…
답글작성
7
3
참고인
2024.01.31 05:55:01
민주놀이 시체놀이에 빠진 후유증이다.
답글작성
7
0
김잉여
2024.01.31 07:52:28
사람들은 모든 사회 문제를 자기가 속해있는 집단과 연계해서 해석하기 마련이죠. 과도한 경쟁 사회가 자살률을 야기시키는 건 맞지만 문제의 핵심인 노인 빈곤 문제도 잊으면 안되겠네요.
답글작성
2
2
양사
2024.01.31 06:28:20
오랜 한민족의 역사를 알아야 이해가 되지요. 글로벌 세상에서.
답글작성
2
0
sagong05
2024.01.31 07:28:19
한국의 자유민주주의는 우리가 필요하여 싸워얻은 것이 아니고 좋다하니 차용하여 갖다 쓰는 것이다.그리하여 조금 ?I찮게 살게 되니까 왼갖 부작용이 일어난다.가잠 만연한 것이 편안한 몸보신이다.애낳아 기르고 고생하는거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혼자 혹은 부부끼리만 고새안하고 잘살수 있는데하고 말이다.후계자식길러내기의 가치를 모른다.닷는 또하나의 이유,함께 도와 살아가기의 원칙을 모른다.나만 잘면 된다는 의식이 계층간 엄청난 부의 편중을 나았다.쓸데없는데 돈을 써대는 과외교육의 스트레스.함께 잘사는 사회지향은 우리가 할수 있는데도 못하는 일이다.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정체된 사회로 머물다가 힘쎈 어느 나라에 벼합되고 말 것이다
답글작성
1
1
밥좀도
2024.01.31 06:52:13
한국의 비루한 현실은 생존경쟁, 적자생존, 승자독식 시대의 우울한 자화상이다. 치열한 경쟁을 뚫지 못하면 낙오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답글작성
1
1
오병이어
2024.01.31 06:20:47
그렇다. 한자어 <인내>는 '가슴에 칼을 꼿고 견딤'이라 해석된다. 참고 견디는 과정에서 마음의 근육층이 형성되며, 정신은 맑아진다. 참고 견뎌라. 그래야 진주도 탄생된다. '만물의 영장이라 했다. 인간은!'
답글작성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