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Selmer Saxophone Mouthpieces H 셀마 아래의 것들은 1920대에 제작된 초기의 셀마 피스이며 H selmer Made in france라고 쓰여져 있고 테이블에는 둥근 금박의 로고가 있다 (오발) 이것들은 매우 넓은 챔버를 가지고 있다. !) H. Selmer
|
이시대의 셀마 레가쳐와 캡은 역시 H selmer가 얇은 놋쇠에 찍혀 있다. 대개 금이나 은도금이다. |
The Selmer ligatures and caps at this time also had H. Selmer written on them. They were stamped from a very thick brass. Most were silver and gold plated. |
2) 에어 플로어.
첫번째 에어 플로어 모델은 생크부분에 쇠로된 링이 씌여져 있고 대단히 넓은 챔버를 가지고 있다. 이겄들은 클래식연주자 들에게 많이 쓰이기도 했지만 때로는 너무 어둡다는 의견들이 있기도.. 초기모델은 쇠로된 둥근 로고가 등부분에 있기도 했지만 곧 셀마는 간단한 쇠링과 등부분의 각인 글씨로 바뀐다. |
"Air Flow" |
1920년대 말 셀마 마우스피 스 에는 SSS 가 등부분에 쓰이는데 이것은 셀마 수퍼 색스라는 뜻이며 악기의 가격과 피스는 1921년부터 올려졌다. (신문등에..) |
In the later 1920s the mouthpieces had SSS marked on the back, which indicated they were made during the time of the "Selmer Super Sax". The below horns and price list are from 1921. |
|
In the mid1920s the mouthpieces had SSS marked on the back. This indicated they were made during the time of the Selmer Super Sax. The below horns and price list are from 1921. 1920년 후반에 이모델들은 메탈밴드들을 없애고 스콜(꼬은 실과같은 문양)이 생크부분에 적용된다. 이것들은 여전히 넓은 챔버를 가지고 잇으며 첫해의 모델들은 시리얼넘버들을 몸통옆에 , 페이싱을 테이블에 표시하고 있다.
|
|
The metal version of this mouthpiece had deep fluted sides and a medium round chamber. These were the first metal mouthpiece Selmer made which started in the late 40's. They all had the facing stamped on the table.
메탈버젼의 이들 모델들은 몸통옆에 깊게파이고 중간크기의 둥근 챔버를 가진다. 이들은 셀머의 첫번째 메탈모델이며 1940 년까지 만들어 졌다 이들은 페이싱이 테이블에 각인되어 있다. |
|
At this time the all the rubber mouthpieces chambers became small round chambers as well. The first of these had the name AIR FLOW stamped on the table. Later AIR FLOW was removed and the tip opening was placed on the table in an oval. All of these had a scroll-work shank similar to the later Soloist models, however, the very end of the shank was shorter, or stubbier. These are very good mouthpieces and the alto model is in particular demand by classical musicians.
이때의 모든 셀머피스는 작은 둥근형태의 챔버를 가지기 시작한다. 첫번째 모델은 AIR FLOW 각인이 테이블에 있으며 나중의 AIR FLOW는 테이블의 타원형에 오프닝이 고쳐져 새겨진다. 모든모델들은 스콜무뉘가 (솔리스트 모델비슷하게) 있고, 어쨋든 생크 끝부분은 매우 짧다. 이들 모델들은 매우좋은 피스이며 특히 알토가 좋다. |
|
The metal version of this mouthpiece looked very similar internally to the rubber version. While not as pronounced, it also maintained the fluted exterior of its previous metal model. This metal mouthpiece was called the Classic model. The Jazz model was also introduced at this time. It had a horse-shoe shaped chamber with a high floor. These mouthpieces were brighter than the Classic model and did not have a scroll-work shank. They had Jazz written on the table, though. All the metal mouthpieces were on ly made in facings: C, C*, D and E. Below is the Classic model. |
|
Here is a Selmer mouthpieces add from 1955 showing the AIRFLOW models. This was just a year prior to the famous Short Shank Soloist models released in 1956. All the rubber mouthpieces had the small round chamber at this time. |
|
In 1956 Selmer came out with a budget line of rubber mouthpieces called the Selmer ELKHART, and a student line of plastic mouthpieces very similar in sound and style to the Brilhart Ebolin and Tonalin mouthpieces called the Goldentone. The CLARION line of crystal clarinet and tenor saxophone mouthpieces was also released. |
|
During this time, Selmer made some rare mouthpieces for Stentor . These had a taper finished shank, the tip opening in an oval on the table and a small round (actually almost oval) chamber, and are very good playing mouthpieces. |
|
3) Short Shank Soloist
|
숏 생크 솔리스트 셀마 솔리스트 숏생크 모델은 사이즈가 B 부터 H 까지가 있다, 보통의 E 는 오토링크의 5호와 같다. 그리고 H는 오토링크의 7*와 비슷하다.
|
Here is a Selmer mouthpiece ad from their 1956 Band Instrument Catalog showing the very first Soloist mouthpieces: |
|
The Jazz model remained the same basic design; however the shank of the mouthpiece got a band like look to it. |
|
Selmer issued several different ligatures in the 1950s. The adjustable slide-on ligature fit everything from a clarinet to a tenor saxophone mouthpiece. The screw-down ligature was released in 1958. It had a very thick reed-plate giving it a dark sound. Their standard band ligature had very fat screws at first. Over time the screws got thinner.. |
|
The first caps just had the Selmer name on them. They also had and a pointing tip. Later, MADE IN FRANCE was added along with their famous logo. The tip of the cap was also flattened. In the 1960's the lacquer got lighter. |
|
4) Long Shank Soloist
|
|
The Long Shank Larry Teal model looked identical on the outside to the Long Shank Soloist but had a round chamber and LT stamped on the table. |
|
5) Long Shank - Soloist Style
|
|
6) S80 Mouthpieces
|
|
The metal mouthpieces have remained pretty much the same from the 1980s to present. The Jazz model's shank became more streamlined looking. |
|
7) S90 Mouthpieces
|
=====================================================================================================
4. 오토링크 피스
요즘에는 여러가지의 피스들이 저마다의 음색을 자랑하며 쏟아지다 시피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고 또 비싸기도 한 피스가 오토링크입니다. 1940년대 부터 생산된 오토링크는 40년대의 뉴욕링크
50년대부터의 플로리다 오토링크 가 있으며 아직도 꾸준히 생산되고 있습니다.
빈티지의 경우는 수요가 폭발해 그 값이 천정부지로 뛰어 작년만해도 이베이에서 $6~700 에 구입할 수 있었던 프로리다 오토링크의 경우 최근에는 엄청 올랐으며 귀한 모델인 3band (생크에 줄이 3개..오토링크는 생크의 줄로서 그 생산년도와 값이 정해지는데
일반적인 2밴드, 1밴드, 그리고 생크에 USA가 잇느냐 없느냐에 따라서도 값이 딜라집니다.)
빈티지 플로리다를 구별하는 방법은 첫째 홋수표시가 어디에 잇느냐는 것인데 플로리다의 경우 바디,즉 몸통 옆구리에 홋수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그다음이 레가쳐인데 요즘의 래가쳐가 위아래 표시를 화살표로 새겨놓고 조임나시의 크기도 좀 더 큰 반면에 빈티지는 레가쳐에 표시가 없으며 조임새 나사가 요즘것보다 적습니다.
그리고 T 라고 새겨져 잇는겄도 있습니다.
그다음이 만드는 공법인데 요즘의 것들이 주물로 제작되는 반면에
빈티지는 단조(즉 쇠를 두드려서 넓게 만들어 은땜으로 이어서 붙여서 만든겄입니다)
오래된 오토링크의 테이블 부분을 보면 정중앙에 가는 흰색갈의
라인이 보이는데 이게 바로 단조후 은땜으로 영접한 것입니다.
금속의 밀도에 있어서도 주물 보다는 훨씬 치밀 하다고 생각됩니다. 처음 오토링크를 쓰는 분들은 그 음색이 평범하고 볼륨도 적은듯 하여 별로 좋아하지 않으나 일단 피스에 익숙해지면 크고 부드러운 소리, 맹꽁이가 우는듯한 파워있는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특히 녹음에는 오토링크가 탁월한 성능을 발휘 합니다. 그냥 듣는 소리와 녹음시의 오토링크는 (풀로리다 링크) 많은 차이가 나서 쉽게 오토링크를 버리지 못하는 이유가 됩니다.
가요,재즈,에서 확실한 장르를 보여주며 리드도 별로 가리지 않습니다. 1950년 근방에 생산된 USA가 없는 모델들은 USA가 있는 모델보다 훨씬 강한 소리를 내는데 그 재료가 이리듐이라고 말하는
미국인도 보았습니다 만 좌우간 쇠의 색이 흰색갈이라 신빙성이 있는겄 같습니다. (이리듐은 만년필 촉의 끝부분에 사용되는 강한 금속 입니다)
하드러버의 경우 오토링크 글씨가 45도 각도로 삐딱하게 쓰여진 슬랜트 시그너쳐는 값이 무지 비쌉니다(120이상..)
그밖에도 같은 시기에 샹산된 레죠챔버는 그소리가 아주 부드러워 이런 음색을 좋아하는 분들이 많이 찿습니다만 값은 슬랜트 시그너쳐만큼 비싸지는 않은듯 합니다.
로우배플의 표준 모델인 오토링크가 이렇게 값이 뛸줄 알았으면 엤날에 개당 중고가 3만원도 안 할적에 한 100개만 모아 두었으면 ..하는 우스운 생각도 해 봅니다만 그때 마크식스도 중고가 30만원 안밖이 었으니...
사람이 어찌 미래를 알 겠습니까? 현대의 오토링크와 빈티지 오토링크는 너무도 다른 소리를 내고 있어 신기 하기도 합니다..
형만한 아우 없다는 엤말이 생각 나네요..
사진은 요즘의 오토링크,플로리다 오토링크의 대조 입니다.
즐음하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