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집 제5권 / 서(序)
만경 노씨 족보 서(萬頃盧氏族譜序)
송치규(宋穉圭) 찬(撰)
[생졸년] 1759(영조 35)~ 1838(헌종 4) 수(壽) 79세
임진왜란 때에 중봉(重峯) 조선생(趙先生,조헌(趙憲)이 금산(錦山)에서 순절(殉節)하였는데, 이 때 따라 죽은 사람으로 7백 명의 의사(義士)가 있었다. 나는 윤월정[尹月汀,윤근수(尹根壽)]이 찬(撰)한 〈순의비(殉義碑)〉를 읽을 때마다, 비문에 나타나있는 성명(姓名)에 대해서도 내가 견식이 좁아 그 후손이 누구인지를 듣지 못한 것이 많다고 탄식하였다.
어느 날 공주(公州)에 사는 선비 노병규(盧炳奎) 군이 족보를 정리하고 나에게 서문을 써 줄 것을 요청하였는데, 족첩(譜牒)을 자세히 살펴보니, 노응탁(盧應晫)이라고 하는 사람이 바로 비문 속의 한 분이었다. 나는 나도 모르게 벌떡 일어나서 옷깃을 여미었다.
그리고 그의 형 지추(知樞) 노응환(盧應晥)과 동생 직장(直長) 노응호(盧應晧) 또한 모두 선생을 따라 창의(倡義)하여 비록 그들의 삶과 죽음이 서로 같지는 않았지만, 그 의리에는 달리 볼 수 없는 점이 있다. 아 의렬(義烈)이 한 집안에 모두 모인 것이 얼마나 참으로 성대한가!
떳떳한 본성은 하늘에서 얻은 것이고 그 형과 아우가 중봉 선생에게 수업을 받은 사람이라면, 웅어(熊魚)에 대해 취사선택하는 일을 어찌 평소에 공부하여 밝혀 둔 것이 아니겠는가. 이로부터 왜란을 만나 임금님 수레를 모시어 은택을 향읍에 남기거나 유학에 종사하여 그 이름이 사우 사이에서 중시되었던 사람들이 족보 책에 끊이지 않았으니, 그 집안이 대대로 전한 것을 또 알 수 있다.
대체로 노씨(盧氏)는 중국(中國)에서 왔다. 만경(萬頃)에 본관을 둔 사람은 고려(高麗) 풍천백(豐川伯) 노구(盧坵)의 후손인 목사(牧使) 노혁(盧革)이다. 우리 조선에 들어와서는 대대로 그다지 현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내외(內外)와 경중(輕重)의 구분을 진실로 아는 사람이라면, 이 족보를 읽은 뒤에 어찌 현달하지 못한 것을 가지고 가볍게 여기겠는가. 이 족보에 기록된 사람들은 모두 자기의 내원을 알게 되었는데, 또 사적을 고찰하고 발분하여 일어서서 선조들을 욕되게 하지 않을 것을 생각한다면, 바로 장자(張子, 장재(張載)가 말한 ‘조정에 크게 보탬이 되는’ 사람일 것이니, 구양씨(歐陽氏,구양수(歐陽脩)가 족보에 쓴 것을 가지고 노씨를 위해 꼭 권면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나는 실로 글솜씨가 없지만, 옛적에 〈순의비(殉義碑)〉를 읽고 느꼈던 탄식 때문이라도, 노군의 요청에 대해 끝까지 사양하지 않는 것이 마땅하다. 이에 대략 이와 같이 이 글을 쓴다.
[註解]
[주01] 노응탁(盧應晫) : 1560~1592. 노응환의 동생으로 자는 계회(季晦), 호는 국재(菊齋)이며 중봉 조헌의 문인이다. 사마시(司馬試)
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며, 문장과 학문이 뛰어나 인근 선비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노응환과 함께 의병을 모아 청주 전투에 참전하고 이어 금산전투에 선봉이 되어 싸우다 중과부적으로 칠백
의사와 함께 33세의 나이로 순절하였다. 조정에서 1831년에 증직과 명정을 받았다.
[주02] 노응환(盧應煥) : 1555~1592. 본관은 만경(萬頃), 자는 명원(明遠), 호는 수암(守庵)이다. 노세득(盧世得, 1526~1589)의 장남
으로 태어났고,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는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헌 선생과 더불어 창의하여
청주 전투와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가 금산에서 38세의 나이로 순절하였다. 죽은 지 240여 년이 지난 1831년(순조31)에 증직과
함께 명정을 받았다.
[주03] 노응호(盧應皓) : 1574~1592. 노응환의 동생으로 자는 시회(時晦), 호는 체헌(棣軒)이며 중봉 조헌의 문인이다. 임진왜란에 두
형과 함께 창의하여 청주 전투에 참전하였다가 스승의 명으로 군량을 모으기 위해 잠시 진영을 떠나게 되었다.
그러나 군량을 모아 금산에 갔을 때는 이미 두 형과 칠백 의사가 모두 장렬하게 순절한 뒤였으므로 형들 시신을 찾아와 고향에 안치
하였다. 조정에서 그의 충의를 가상히 여겨 전생서(典牲暑) 직장(直長)의 관직을 주었으나 사양하고 고향에 돌아와 그해 19세의 어
린 나이로 죽었다. 조정에서 1892년에 명정과 증직을 내렸다.
[주04] 웅어(熊魚)에 …… 일 : 웅(熊)은 곰 발바닥 요리를 가리키고, 어(魚)는 물고기 요리를 가리킨다. 《맹자》 〈고자 상(告子上)〉에 “생
선도 내가 먹고 싶어 하는 바이며, 곰 발바닥도 내가 먹고 싶어 하는 것이지만, 이 두 가지를 겸하여 얻을 수 없다면, 곰 발바닥을 취
하겠다. 삶도 내가 원하는 바이며 의리도 내가 원하는 것이지만, 이 두 가지를 겸하여 얻을 수 없다면, 삶을 버리고 의리를 취하겠
다.” 하였다.
[주05] 구양씨(歐陽氏)가 …… 가지고 : 구양수(歐陽脩)가 ‘충성으로 임금을 섬기고, 효도로 어버이를 섬기고, 청렴한 관리가 되고, 학문
으로 입신한다.’고 한 네 조목을 가리킨다.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노재준 박해당 권민균 (공역) | 2015
--------------------------------------------------------------------------------------------------------------------------------------------------
[原文]
萬頃盧氏族譜序 - 宋穉圭
壬辰之難。重峯趙先生殉節于錦山。從而死者有七百義士。余每讀尹月汀所撰殉義碑。竊歎余之固陋。於其姓名之著于碑者。又多未聞後承之爲誰。一日公州士人盧君炳奎。修其族譜。謁余爲序。取考其譜牒。有諱應晫。卽碑中人之一也。余不覺爲之蹶然而斂袵。而其兄知樞應晥。弟直長應晧。亦皆從先生倡義。雖其生死不同。而其義則有不可以殊觀者矣。嗚呼。義烈之萃于一家。何其甚盛。雖曰。秉彝之得於天。而其伯仲是受業於先生之人。則熊魚之取舍。豈非其素所講明者然耶。自是以後。遇難扈駕。而澤留鄕邑。從事儒門。而名重士友者。譜不絶書。其所以傳於家者。又可知矣。蓋盧氏來自中國。其受籍於萬頃者。高麗豐川伯諱坵之後。牧使諱革。而入我朝。世不甚顯。然苟知內外輕重之分者。閱斯譜。寧或以是而少之哉。凡譜於是者。旣知來處矣。又能考蹟而感奮。思所以無忝。則卽張子所謂大有益於朝廷者。而歐陽氏所以書于譜者。不必爲盧氏勉之也。余實無文。以向所感慨於殉義碑者。則亦不宜終辭於盧君之請。遂略書之如此云。 <끝>
강재집 제5권 / 서(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