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글로부터 바르게 추론한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제3회 LEET 기출] |
증언에 근거한 추론은 목격자의 보고가 사실과 일치하는지에 대한 관찰에 근거한다. 증언하는 사람이 거짓말을 자주 하던 사람이라거나 증언의 내용이 진기한 사건이라면 증언의 신뢰성은 낮아진다. 이제 증언의 내용이 단순히 진기한 사건이 아니라 기적적인 사건이라고 하고, 증언 자체는 의심의 여지가 없을 만큼 아주 신뢰할 만하다고 해 보자. 이 경우 강력한 증거에 반하는 또 다른 강력한 증거가 있는 셈이다. 우리는 이 가운데 더 강력한 증거가 있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기적은 자연법칙의 위반이다.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라면 기적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건강하던 사람이 갑자기 죽었다면 그것은 기적이 아니다. 그런 죽음도 가끔 일어나곤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났다면 그것은 기적이다. 그런 일은 어느 때도, 어디에서도 관찰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기적적인 사건에는 그것과 상반되는 '한결같은 경험'이 있기 마련이며, 그렇지 않다면 그 사건을 기적이라 부를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한결같은 경험은 기적의 존재를 부정하는 직접적이고도 강력한 증거이다. 누군가가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난 것을 보았다고 말한다면, 나는 곧 그가 나를 속일 확률이 그 사건이 실제로 일어났을 확률보다 더 높은지를 가늠해 본다. 나는 하나의 기적과 다른 기적을 서로 저울질해 보고, 항상 더 기적적인 쪽을 버린다. 그의 증언이 거짓이라는 것이 그가 말하는 그 사건보다 더 기적적이라면, 그리고 그 경우여야 비로소 그는 나의 믿음이나 견해를 바꿀 수 있다. 우리가 내릴 수 있는 명백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증언이 거짓이라는 것이 그 증언을 통해 확립하려는 사실보다 더 기적적이지 않은 이상, 어떤 증언도 기적을 입증할 수 없다." |
|
<보 기> |
|
|
| |
ㄱ. 글쓴이는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났다는 사건이 참일 가능성보다 그 증언이 거짓일 가능성이 더 기적적이어야 부활을 믿을 것이다. ㄴ. 글쓴이에 따르면, 증언을 토대로 어떤 기적이 발생했다고 믿는 사람은 자연법칙에 어긋나는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보다 그 증언이 거짓일 가능성이 낮다고 믿어야 한다. ㄷ. 1만 번에 1번 정도만 거짓말을 할 정도로 아주 신뢰할 만한 사람이 "동전 던지기를 1만 번 했는데 모두 앞면이 나왔다."고 증언했을 경우, 글쓴이는 그런 사건이 일어났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
① ㄱ② ㄴ③ ㄱ, ㄷ
④ ㄴ, ㄷ⑤ ㄱ, ㄴ, ㄷ
01 정답 : ⑤
제시문의 핵심판단기준은 제시문 하단부의 「나는 하나의 기적과 다른 기적을 서로 저울질해 보고, 항상 더 기적적인 쪽을 버린다. 그의 증언이 거짓이라는 것이 그가 말하는 그 사건보다 더 기적적이라면, 그리고 그 경우여야 비로소 그는 나의 믿음이나 견해를 바꿀 수 있다. 우리가 내릴 수 있는 명백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증언이 거짓이라는 것이 그 증언을 통해 확립하려는 사실보다 더 기적적이지 않은 이상, 어떤 증언도 기적을 입증할 수 없다."」에 있다. 증언이 거짓이라는 것이 더 기적적이라는 것은 증언이 거짓일 확률이 낮다는 것으로 증언이 참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ㄱ. (O) 글쓴이는 「그의 증언이 거짓이라는 것이 그가 말하는 그 사건보다 더 기적적이라면, 그리고 그 경우여야 비로소 그는 나의 믿음이나 견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하고 있으므로 글쓴이는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났다는 사건이 참일 가능성보다 그 증언이 거짓일 가능성이 더 기적적이어야 부활을 믿을 것이라 할 수 있다.
ㄴ. (O) 더 기적적이라는 말은 확률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글쓴이에 따르면, 증언을 토대로 어떤 기적이 발생했다고 믿는 사람은 자연법칙에 어긋나는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보다 그 증언이 거짓일 가능성이 낮다고 믿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ㄷ. (O) 1만 번에 1번 정도만 거짓말을 할 정도로 아주 신뢰할 만한 사람이 "동전 던지기를 1만 번 했는데 모두 앞면이 나왔다."고 증언했을 경우, 거짓말을 할 확률은 1만분의 1이고 동전 던지기를 1만 번 했는데 모두 앞면이 나올 확률은 (1/2)1만으로 증언이 거짓일 확률이 더 높으므로 즉, 더 기적적이지 않으므로 글쓴이는 그런 사건이 일어났다고 믿지 않을 것이다.
다음의 논의를 통하여 글쓴이가 내릴 수 있는 결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09년 LEET 예비시험] |
금성의 크기 변화는 육안으로는 감지할 수 없지만 망원경을 사용하면 관측이 가능하다. 코페르니쿠스가 살았던 시대에는 망원경이 없었지만 금성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많은 관찰이 이루어졌다. 코페르니쿠스를 추종하는 천문학자나 그렇지 않은 천문학자들 모두가 관찰을 근거로 하여 “지구에서 관측되는 금성의 겉보기 크기는 일 년 내내 조금도 변하지 않는다.” 라는 명제를 받아들였다. 당대에 코페르니쿠스의 주석자인 오지안더는 코페르니쿠스의 우주 구조가 옳다면 연중 금성의 겉보기 크기는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못마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금성의 겉보기 크기가 연중 변하지 않는다는 관찰 명제를 받아들인 것은 다른 이들과 마찬가지로 발광체의 크기는 육안으로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는 이론을 전제로 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오늘날 이것은 틀린 이론임이 밝혀졌고 현대 이론들은 왜 육안에 의한 발광체의 측정이 잘못된 것인가를 포함해서 왜 육안보다는 망원경에 의한 천체 관찰이 더 정확한가를 설명하고 있다. |
① 널리 받아들여진 과학 이론은 반대 사례가 많아도 쉽게 배격되지 않는다.
② 일체의 선입견을 배제한 관찰은 이론을 판단할 때 합리적인 기준의 역할을 한다.
③ 과학 지식은 합리적 판단 기준에 의해서 수용되기보다는 과학자 집단 내부의 타협과 협상의 산물이다.
④ 도구의 개선과 관측 장비의 발전은 경험적 증거의 누적을 통해 새로운 이론의 수용과 지지를 촉진한다.
⑤ 관찰이 객관적으로 이루어져도 오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찰 명제의 구축과 진위 판정에는 이론이 개입한다.
02 정답 : ⑤
1. 제시문과 선택지에서 언급되는 주요 개념이 지칭하는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관찰 명제 : “금성의 겉보기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2) 코페르니쿠스 당시 이론 : 발광체의 크기는 육안으로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3) 현대 이론 : 육안에 의한 발광체 측정이 정확하지 않다. 육안보다 망원경에 의한 천체 관찰이 더 정확하다.
2. 선택지 검토 ⑤ (O) 제시문의 논의를 가장 적절하게 요약하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금성의 겉보기 크기에 대한 관찰이 객관적으로 이루어졌지만 현대이론에 근거해 망원경을 통해 살펴보니 오류임이 밝혀졌고, 금성의 겉보기 크기에 대한 관찰명제의 구축과 진위 판정에 육안으로 발광체를 관찰할 수 있다는 당시의 이론이 개입하였다고 할 수 있다. ① (X) 널리 받아들여진 과학이론은 발광체의 육안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 사례는 오지안더의 주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제시문에서 오지안더 외에도 반대 사례가 많았는지 찾아 볼 수 없을 뿐 아니라, 오지안더의 반대 주장 또한 당시의 이론에 대한 반대가 아니라 이론에 근거한 관찰 명제에 대한 반대 주장이라 할 수 있다. 적절치 못한 결론이라 하겠다. 오지안더는 관찰명제와 반대되는 주장을 하였지만 그 또한 당시의 이론을 전제로 삼고 있었기에 어쩔 수 없이 주장과 다른 관찰 명제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② (X) 관찰이 이론 판단의 기준이 아니라 오히려 이론이 관찰 명제의 구축과 진위 판정에 개입한다는 것이 글쓴이의 결론이다. ③ (X) 과학지식이 과학자 집단 내부의 타협과 협상의 산물이라는 결론을 추론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일단 추론의 근거를 찾기도 어려울뿐더러 중심내용이라 보기 어렵다. 다수가 관찰을 근거로 하나의 명제를 받아들였다고 하여 타협과 협상의 산물이라 보는 것은 비약이다. ④ (X) 도구의 개선과 관측 장비의 발전은 더 정확한 관찰을 가능케 하나 이것이 경험적 증거의 누적을 통해 새로운 이론의 수용과 지지를 촉진한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오히려 현대 이론이 경험적 증거에 정당성을 부여한다고 보는 것이 글쓴이의 입장으로 볼 수 있다.
|
(가), (나)는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화 상황을,‘갑’과‘을’은 이에 대한 실학자들의 개혁론을 나타내고 있다.‘갑’과‘을’이 (가), (나) 두 현상을 바라보는 입장을 바르게 추론한 것은? |
(가) : 이앙법이 보급됨에 따라 한 집이 경작할 수 있는 토지면적이 몇 배로 늘어나 광작경영(廣作經營)이 유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많은 농민이 토지에서 유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나) : 조세의 금납화, 상공업의 발달 등을 배경으로 화폐유통이 활발해졌다. 그런데 부유한 자들이 화폐를 매점함으로써 실제로 유통되는 화폐가 부족해져 농민들이 피해를 입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갑 : 자영농 중심의 농촌사회를 재건하는 일이 시급하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먼저 토지개혁을 통해 경자유전(耕者有田)의 원칙을 실현해야 한다. 을 : 농업중심의 경제는 한계에 달하였다. 상공업의 효율성을 인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새로운 경제체제를 모색해야 한다. |
① 갑 : (가)는 농촌사회질서의 재편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다.
② 갑 : (나)는 화폐경제를 더욱 성숙시킴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③ 을 : (가)는 농업기술 향상과 생산력 향상을 초래해 사회발전에 도움이 된다.
④ 을 : (나)는 화폐유통이 허용되는 한 근절할 수 없는 폐해이기 때문에 화폐유통을 제한해야 한다.
⑤ 갑, 을 : (가)는 용납될 수 없는 경제적 폐해이다.
03 정답 : ③
(가)는 이앙법 보급에 따른 광작경영으로 많은 농민들이 유리되는 현상을 (나)는 화폐유통이 활발해 졌으나 부유층의 화폐매점에 따른 농민들이 피해를 입는 현상을 표현하고 있고, ‘갑’은 중농주의 사상가를, ‘을’은 중상주의 사상가를 설명하고 있다.
① (X) 중농주의 사상가는 자영농, 경자유전을 중시하기 때문에 광작경영에는 부정적이다.
② (X) 중농주의는 화폐유통과 매점이 농민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점에서 화폐경제를 통한 (나)의 해결에 반대(부정적)한다.
③ (O) 이앙법과 광작경영은 생산성 향상과 사회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중상주의 학파는 이것을 환영한다.
④ (X) 중상주의 사상가는 화폐유통에 긍정적이다.
⑤ (X) 갑(중농주의)은 광작경영에 대해서 부정적이지만, 을(중상주의)은 광작경영을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보며, 농민들이 토지에서 유리되는 현상 또한 생산성 향상과 역사발전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라고 본다.
다음으로부터 바르게 추론한 것을 모두 고르면? |
당현 사해점촌의 관할지역은 나무로 덮인 산지로서 둘레는 5,725보이다. 연(烟)※에는 공연(孔烟).계연(計烟) 등이 있는데, 공연을 합한 수는 11이고, 계연은 4와 나머지 3 [四余分三]이다. 그리고 연의 등급으로는 중하연(仲下烟) 4호, 하상연(下上烟) 2호, 하하연(下下烟) 5호가 있다. 인구는 남자로는 정(丁)이 29명, 조자(助子) 7명, 추자(追子) 12명, 소자(小子) 10명, 3년 사이에 태어난 소자 5명, 제공(除公) 1명이고, 여자로는 정녀 42명, 조녀 11명, 추녀자 9명, 소녀자 16명(3년 사이에 새로이 태어난 소녀자 8명 포함), 제모(除母) 2명, 노모(老母) 1명이다. 말은 모두 25마리로 원래 있었던 22마리와 3년 사이에 더하여진 말 3마리다. 소는 모두 22마리로 원래 있었던 17마리와 3년 사이에 더하여진 소 5마리이다. 논은 모두 102결 2부 4속으로 여기에는 이 촌락의 관모답(官謨畓) 4결과 내시령답(內視令畓) 4결이 포함되었고, 그 나머지는 연수유전답(烟受有田畓) 94결 2부 4속인데, 여기에는 촌주위답(村主位畓) 19결 70부가 포함되어 있다. 마전(麻田)은 모두 1결 9부다.
※ 연(烟) : 본래 어의는 굴뚝이지만, 이 문서에서는 호의 의미 |
|
ㄱ. 이와 같은 조사는 3년 전에도 있었다. ㄴ. 중하연⋅하상연⋅하하연의 기재 방식으로 보아, 연(烟)은 모두 4등급으로 나뉘었다. ㄷ. 추(追)⋅조(助)⋅소(小) 등은 정(丁)보다 적은 나이의 일정한 연령대를 뜻하며 추(追)가 가장 낮은 연령이었다. ㄹ. 마전은 연수유전답⋅관모답⋅내시령답과 구별되는 토지 항목이었다. |
보기 | |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04 정답 : ③
제시문은 신라장적(=민정문서, 정창원문서)의 일부분이다.
ㄱ. (O) 제시문의 두 번째 문단에서 ‘3년 사이에 태어난 소자 또는 소녀자’ 등의 표현으로부터 3년 전에도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ㄴ. (X) 중하, 하상, 하하 등의 표현으로부터 상중하(3등급)×상중하(3등급)의 9등급 체계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ㄷ. (X) 조자, 추자, 소자에 이어 3년 사이에 태어난 소자 등으로 이어짐을 볼 때 소자가 가장 낮은 연령이라고 추론하는 것이 타당하다.
ㄹ. (O) 마전은 삼밭을 의미하는 것으로 밭의 내용에 따른 분류이고, 연수유전답은 촌민, 관모답 및 내시령답은 관청에 부여된 토지로 주체별 분류라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