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란 무엇인가?
氣란 무엇인가? 이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중국 道家에서는 氣를 대략 세가지로 말한다.
(1) 氣란 [無火] 즉, '불이 없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無火 ]란 무엇인가? 모름지기 도가의 학술사상과 중군 고대의 술수(術數)는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임을 알아야 한다. 더욱이 오행(五行). 천간(天干), 지지(地支)와는 더욱 깊은 관계가 있다.
오행 가운데 심心은 火에 속한다. 그러므로 無火란, 마음이 고요하고 깨끗한 무사무려(無思無慮)의 경지를 의미한다.
※주) 오행(五行): 金. 木. 水. 火. 土를 오행이라고 한다. 오행은 중국인들이 우주현상을 관찰하는 독특한 방법으로 우주현상을 5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즉 우주는 오행의 相生· 相克작용에 의해 현상한다는 것이며, 우주의 구조나 인체구조 및 다양한 현상을 오행에 대응시켜 설명한다. 《書經》의 洪範篇에 오행의 명칭이 보이며, 특히 춘추 전국시대의 陰陽家 漢代 儒家. 道家에 의해 체계화 되었다.
《黃帝內經》에는 五運六氣라는 독특한 우주현상론이 있는데 이것이 오행설을 바탕으로 한다. 의학. 천문. 지리. 철학 등 모든 학문의 기저를 이루는 사상이 오행사상이다.
※ 五行相生: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五行相克 : 金克木.木克土, 土克水,
木克火, 火克金
이 相生相克論은 河圖. 洛書와 연관되어 易學과도 관련되며, 특히 丹學의 古典인 《參同契》는 오행론을 인체의 五臟과도 연결되어 수행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2) 字는 자연계의 大氣를 의미한다.
(3) 字는 후대에 와서 통용되었다. 단, 고대 道家와 중국 고대의 의학의 개념으로써 말한다면 사람이 밥을 먹고 호흡하는 생명작용을 의미한다.
당, 송 이전의 도가 수련의 수련방법은 였다. < 복기>는 정신을 통일하고 호흡을 이용하여 [우주와 마음이 통하는
(與天地精神相往來)] 방법이다.
( ※우주의 하나됨을 의미함)
이것은 인도 고대의 요가의 氣(호흡) 수련하는 방법과 비슷하다. 또 후대의 기공수련의 근원이 되었다.
이 수련법은 최후목적은 모두 호흡작용에 의지하여 생명 속에 잠재하고 있는
를 일깨우는 것이다.
氣功이나 요가(※쿤달리니 각성 )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란 무엇인가?.
요가에서는 이것을 혹은 라고 부른다.
티벳의 밀종에서는 영력(靈力) 혹은 이라고 한다. 종합해서 말하자면 불교의 唯識宗에서 말하는 〈識〉이 일으키는 〈업식(業識)〉의 기능이다.
현대적 용어로 말하자면 생명의 〈능(能)〉이다.
단 이것이 물리적(物)인 의미도 아니고 생리적(生理的)인 의미의 〈本能〉도 아니다. 어떤 사람은 전기(電氣) 와 같다고도 하는데 절대로 그렇지 않다. 왜냐하면 〈眞氣〉는 긍극적인 상태는 물질이 아니기 때문이다.
※주) 유식종(唯識宗) : 唯識學을 宗旨로 하는 불교의 종파.
상좌부 불교 학설인 說ㅡ切有部의
法體恒有說, 즉 현상은 변화하지만 변화하는 현상에는 각각 영구불변하는 실체(實體)가 있다는 학설을 비판하기 위해 제기된 용수보살의 空思想이 그 말류(末流)에 이르러 空을 극단적으로 주장하여 편견에 빠지게 되자,
그것을 타개하기 위해 미륵(彌勒). 무착(無着). 世親에 의해 주장된 사상이 유식학설이다.
唯識이란 현상계의 모든 존재, 즉 인간이 존재라고 인식하는 모든 현상과 그 현상에 고유성(固有性)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 모두 인간의 心識으로 말미암는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삶의 가장 밑바탕에서 인식하는 생노병사(生老病死) 의 고통도 결국 心識에 의거한 것이므로, 苦로부터 해탈하여 생명의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心識의 오류를 제거하여 본래의 참된 마음(眞我ㅡ空)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마음 대한 공부. 즉 마음의 오류〈우뇌의 잠재의식. 집합무의식의 부정적 기억 (業識)〉를 제거하기 위한 수행이 꼭 필요하다는 논리가 확립된다.
《정좌 수행의 이론과 실제》
남회근 저
최일남 역
다음 ㅡ< 정좌의 氣의 존상(存想)>
첫댓글 hemi sync 인지요 ?
세포에 물을 주는듯 깨어나는 기분입니다
이 동영상은 처음 듣습니다
감사합니다.
헤미싱크가 아닙니다.
제2차크라에 에너지가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 보여주는 것입니다.
단전 주위 전체로 열에너지가 퍼져나감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단전은 불덩어리가 한덩어리 뭉쳐진 느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