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에서 화재원인의 판정을 위해 전문지식, 기술 및 경험을 활용해 주로 시각적, 촉각, 후각 방법으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규명하는 용어의 정의는?
화재조사 발화요인 조사감정감식
2. 화제조사의 기초이론에서 종이가 나무보다 연소가 쉽게 이루어지는 이유로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① 종이가 나무보다 건조도가 높기 때문이다.
② 종이가 나무보다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이다.
③ 종이가 나무보다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이다.
④ 종이가 나무보다 인화점이
3. 다음에서 화재원인을 밝히기 위한 ‘감정’의 의미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관계자등의 회의를 통하여 화재원인을 결정하는 것
선례를 통하여 화재원인을 유추하는 것
객관적인 과학적 방법에 의한 실험의 결과로 화재원인을 밝히는 것
시각에 의한 판단으로 화재의 사실관계를 규명하는 것
4. 화재조사의 종류 및 조사범위 사항 중 화재원인조사의 항목이 아닌 것 은?
발화원인 조사 화재 중 발생한 폭발 등에 의한 피해
피난상황 조사 소방방화시설 등 조사
5. 소방관서에서 실시하는 화재조사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치 않은 것은?
화재원인을 규명하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산정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소방관서장은 감식 및 감정을 전문기관 또는 전문인에게 의뢰 할 수 있다.
조사를 위한 방법으로는 자료의 수집, 관계자에 대한 질문이 포함된다.
방화와 실화의 경우는 방화피의자를 검거하기 위하여 실시된다.
6. 다음 중 화재피해조사의 직접적인 내용이 아닌 것은?
화재진압 중 발생한 부상자 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피해
소화활동으로 발생한 수손피해 화재로 인한 영업중단 피해
7. 다음에서 “발화열원에 의하여 불이 붙고 이 물질을 통해 제어하기 힘 든 화세로 발전한 가연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발화지점최초 착화물발화요인연소확대물
8. 다음에서 화재현장에서 금속의 휜 방향과 발화위치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6급]
① 수직으로 세워진 금속제는 휜 방향의 원리는 금속의 평창 계수가 다른 특성 을 이용한다.
② 수직으로 세워진 금속제는 휜 방향, 수평으로 놓여진 금속제는 아래쪽으로 휜 부분의 직하부가 발화위치이다.
③ 수직으로 세워진 금속제는 휜 방향의 반대방향, 수평으로 놓여진 금속재는 아 래쪽으로 휜 부분의 직하부가 발화위치이다.
④ 수직으로 세워진 금속제는 휜 방향, 수평으로 놓여진 금속제는 아래쪽으로 휜 부분의 직상부가 발화위치이다.
9. 다음은 종이 벽지의 화재패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6급]
① 종이벽지에서 발생하는 가연성증기의 영향으로 다른 재료에 비해 그을음이 많이 남는다.
② 화염의 열기가 전달된 부분의 벽지는 벽이나 천정에 부착된 상태에서 표면연 소를 하면서 연소부위가 확산된다.
③ 종이는 쉽게 착화되므로 종이벽지는 완전히 연소되어 화재패턴을 남기는 경 우가 거의 없다.
④ 화염의 열기가 전달된 부분의 벽지는 접착제가 증발되면서 벽이나 천정으로 부터 떨어진다.
10. 다음 사항 중 화재조사의 종류 및 조사범위 사항 중 화재 원인조사 의 항목이 아닌 것은?
① 피난시설 원인 조사 ② 소방·방화시설 등 조사
③ 초기상황 조사 ④ 화재 발생 때 관계인의 업무 상태 조사
11. 화재 조사를 위해 적용하는 화재의 전형적인 패턴의 종류가 아닌 것 은? [6급]
V패턴 역V 패턴모래시계 패턴 연소확대 패턴
12. 화재가 발생한 실내에서 벽면에 부착되어 있던 벽지가 연소하지는 않았고 윗부분이 떨어져 바닥방향으로 뒤집혀 있다. 이와 같은 설명이 옳은 것은?[6급]
① 벽지가 열분해하면서 가연성증기가 발생하고 그 증기에 의해 벽체의 상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떨어져 내려서 발생한 현상이다.
② 화점이 해당벽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서 벽지가 연소하지는 않았고 전도열에 의해 벽면의 온도가 높아져 상부부터 벽지가 떨어져 내린 현상이다.
③ 벽지의 훈소에 의해 열분해한 증기가 연소하지는 않고 벽면과 벽지 사이에 축적되면서 상부부터 벽지가 떨어져서 발생한 현상이다.
④ 화점은 해당벽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서 벽지가 연소하지는 않았고, 상부에 축적된 열기에 의해 접착제가 증발되어서 발생한 현상이다.
13. 화재현장에서 금속의 휜 방향으로 발화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금속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① 열에 의해 녹는 성질
② 열에 의해 늘어나는 성질을 이용하는 바이메탈의 원리
③ 열에 의해 탄화되는 성질
④ 열에 의해 분해되는 성질
14. 다음은 화재조사 관련 용어의 정의에 대한 내용으로 바르지 못한 설 명은?
‘화재’란 사람이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 현상으로서 소화 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상황실’이라 함은 소방관서 또는 소방기관에서 화재,구조,구급 등 각종 소방상 황실을 접수,전파, 처리 등의 업무를 행하는 곳을 말한다.
‘화재현장’이란 화재가 발생하여 소방대 및 관계자 등에 의해 소화활동이 행하 여지고 있는 장소를 말한다.
‘조사자’란 화재조사업무를 수행하는 간부급 소방공무원을 말한다.
15. 다음은 플라스틱의 화재패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치 않은 것 은?[6급]
① 높은 열에 노출된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표면은 회색으로 변한다.
②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열을 받은 부분은 용융되고 열이 전달되지 않은 부분은 원래형태를 유지하므로 화점을 알 수 있다.
③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열에 의해 녹지 않고 탄화된다.
④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열에 의해 용융된 후 열분해되어 연소된다.
16. 화재조사 분야의 용어 ‘화재패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은?
① 가연물에 따라 달라지는 연소형상과 이로 인한 연소흔적
② 연소확대 과정에서 발행하는 흔적
③ 열과 연기에 의해 형성되는 물리·화학적 변화에 의한 형상이다.
④ 발화원에 따라 달라지는 연소형상과 화염확산 흔적
17. 다음에서 연기의 확산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① 수평방향으로의 확산속도가 수직방향으로의 확산속도보다 빠르다.
② 화염의 온도와 관계없이 확산속도는 일정하다.
③ 개구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④ 수직방향으로의 확산속도는 화점에서 멀어질수록 느려진다.
18. 건축물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천장부분의 온도분포에 대한 설 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장자리가 가장 온도가 높고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② 화점에 관계없이 중앙부가 온도가 가장 높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진 다.
③ 화점의 수직 상부가 가장 온도가 높고 중심선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진다.
④ 실내화재의 경우 천장전면의 온도가 평준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19. 화재조사를 위한 화재패턴에서 가장 적은 영향을 주는 요소는?
① 연소에 의한 온도변화② 열에 의한 물질변화
③ 연기로 발생한 그울음의 영향④ 외기의 온도와 습도
20. 나무가 열에 의한 분해연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① 나무가 열을 받으면 처음에는 수분증발이 발생한다.
② 나무는 200~250℃가 되면 변색되면서 탄화된다.
③ 열분해에 의해 가연성증기가 발생하면서 착화된다.
④ 충분히 열을 받은 나무의 제일 바깥부분은 열분해층이 형성된다.
첫댓글 축-구 ㅇㅑ구 농-구 ㅂㅐ구를 뮤_직_과 함.께 즐ㄱㅣㅅㅔ요.
K , U , C , U , 7 , 5 , 쩝꼽 (추_천_인1234)
회-원ㄱㅏ입ㅅㅣ 3000원ㅈㅣ급ㅁㅐ일 첫-충-전5% 추ㄱㅏㅈㅣ급.
어렵습니다, 정답은 없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