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에 위치한 산이다(고도:734m). 전라남도 장성군의 북이면 죽청리, 전북 고창군 신림면, 정읍시 입암면의 경계에 있다. 호남정맥의 내장산이 남서로 내려오다가 본 줄기는 남으로 뻗어가고 그 맥이 입암산, 내장산, 방장산, 문수산으로 이어진다. 산줄기 사이의 낮은 안부가 갈재(노령)이고 아래에는 고창과 장성을 넘나드는 양고살재(楊古殺峙)가 있다. 산 정상부에 봉수대가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장성)에 "반등산(半登山)은 현 북쪽 18리에 있으며, 고창현에 상세히 나온다."는 기록이 있고, 『대동지지』(장성)에도 "반등산(半登山)은 북으로 40리에 있고, 정읍본부(井邑本府) 4읍과 고창 흥덕과 교차하는 곳이다. 수도사(修道寺)가 있다."고 하였다. 『장성군읍지』에 "반등산(半登山)은 북이면에 있고 노령에서 유래하며, 고창과의 경계를 이룬다. 일명 방장산이라고 한다. 고부의 두승산을 영주산, 부안의 변산을 봉래산이라 하여 세 산을 삼신산이라 한다. 이 줄기는 남으로 영광의 불갑사와 무안 승달산까지 달린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해동지도』(장성)에 반등산(半登山)이 노령과 함께 나타난다. 『대동여지도』에도 반등산(半登山)으로 표기되지만, 『1872년지방지도』(장성)에는 반등산(盤登山)으로 표기되어 있다.
백제 가요 '방등산가'의 무대이기도 한 지리산 무등산과 함께 호남의 삼신산(三神山)으로, 조선 시대까지의 이름은 방등산이었다. '방정하고 평등하다.'라는 뜻을 가진 '방등(方等)'이라는 불교 용어이다. 조선 인조 때 중국의 삼신산 중 하나인 방장산과 닮았다고 하여 현재 지명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입전마을-관음사-방장산-고창고개-방장산휴향림-휴향림관리사무소
소요시간~ 4시간정도. 산행 시간과 코스는 현지 사정에 따라 변경될수 있습니다.
회장> 010 4655 1152 《총무》: 011 658 5315
<등반이사>010 2461 3259
<등반대장>010 5678 7231
등산장비 준비물 :등산화,방풍의,아이젠, 두꺼운장갑, 따뜻한 물, 우의, 스틱 등
기타 산행에 필요한 장비
산행신청
취소
산행신청은 공지 한날부터
산행취소 회원님은 산행 일주일전에 꼬리말로 산행취소를 꼭 해주세요.
1. 산행에 참가한 모든 회원은 등반 대장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산행중 부주의나 기타 개인행동에 의한 사고발생시 본 산악회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2. 안전산행을 위하여 등반 대장은 등반 정회원을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