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며 놀았던 산골 소년의 추억
개암 김동출
다시 돌아온 가을. 오늘도 나날이 깊어가는 계절의 수렁에 빠져 떨어지는 한 닢 낙엽처럼 상념의 늪을 헤매 돈다. 인간의 의지와 무관하게 자연의 순리로 오가는 계절의 변화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마음이 느긋해야 할 텐데 되레 조급해 짐은 웬일일까? 문밖을 나서면 가을이 한참 익어가는 길목마다 아내의 백분 냄새보다 더 짙은 금목서 향기가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명징한 가을 햇살이 금빛 물결 위에 윤슬을 만들고 아직 공터로 있는 맞은편 인공섬에는 [마산국화축제] 준비를 위한 차량 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
바야흐로 가을이 무르익는 아름다운 풍경 속에 이별의 아쉬움을 토로하는 지금쯤 내 고향 가파른 뒷산 산마루에는 무더기로 피어난 억새가 외로움을 달래며 바람결에 홀로 춤추고 있으리라. 일 년 사계절 중에서도 유독 가을이 오면 고향 생각으로 수심이 깊어지는 것은 이 세상 소풍 끝나고 하늘로 돌아갈 날이 점점 가까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리라.
화자의 고향은 거제도 동남쪽. 옥포만의 포구에서 북쪽으로 들어간 산골짜기 작은 마을이었다. 마을이 산자락에 숨어 있으니, 하루해가 늦게 뜨고 일찍 지는 고즈넉한 마을이었다. 동네를 품고 있는 뒷산의 산줄기와 골짜기는 봄부터 늦가을까지 소먹이는 장소이자 우리들의 놀이터였다.
그 시절에 초등학생에 불과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소먹이는 일이었다. 한 여름철 점심을 먹은 후 ‘물꼬랑’(사철 물 마르는 날이 없었다) 소나무 그늘에 매어 놓은 소고삐를 풀어 물을 먹이고 풀이 많은 곳을 찾아 ‘뒷재’를 오르면 황톳길에서 뿜어 나는 지열로 숨이 턱턱 막혔지만, 가을이 무르익은 시월의 산속은 우리들의 천국이었다.
짙푸른 잔솔밭의 왕새(억새)가 은빛 물결로 춤추는 늦가을이면 열댓 명 무리의 우리는 누렁소를 몰고 풀이 많은 배나무골 산비탈로 찾아간다. 못미처 고랑 가에서 저마다 소에게 물을 먹인 후 쇠뿔에 고삐를 감아 워낭을 매단 나 먹은 우두머리 소부터 풀밭으로 내쫓고 봄부터 눈여겨 두었던 열매 따기에 나선다. 가을이 영그는 숲속에는 산포도 넝쿨(머루의 열매), 다래 넝쿨, 보리똥나무(보리수나무), 굴밤나무, 도토리나무, 돌배나무, 박달나무, 으름덩굴, 산밤나무, 돌감나무, 산초, 박달나무들이 잘 익은 열매를 달고 개구쟁이 소 꾼(목동)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한 고개 넘어 ‘범비 까뜽’ 골짜기에는 돌배나무와 돌감나무, 산밤나무가 널려 있었다. 어린 그 시절에 나무에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열매가 열린다는 신기함과 호기심으로 열매를 땄을 뿐 보고만 있어도 마음이 넉넉하였다. ‘홀리고랑’에는 온 동네 사람들이 알고 있는 배나무 고목이 있었다. 이 배나무는 우리 동네에서 산을 넘어 국사봉 가는 길목의 이정표였다. ‘부진포고랑’에서 ‘아랫 국사봉’ 가는 길에는 화자(話者)의 형제만 아는 박달나무가 한그루 있었다. 어느 해 가을에 빨간 박달 열매를 따 먹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맑은 날에는 대마도가 선명하게 보이는 뒷산 산마루에 올라 억새 덤불을 헤치면 키 작은 개암나무마다 잘 익은 깨금(개암)이 암팡지게 숨어 있었다. 깨금을 따서 깨물어 알을 발라 먹으면 세상에 없는 고소한 맛이었다. 이 개암나무의 열매가 바로 헤이즐넛(hazelnuts)이란다.
햇살 좋은 맑은 날에는 두 고개 넘어 민둥산 ‘샛재’에 올라 산 아래로 소 떼를 풀어놓고 민둥산 산마루에 올라 잔솔밭 사이로 산 아래 뻗어내린 잔디밭에서 나무 썰매를 탔다. 왕새 밭에 숨겨둔 자가용 나무 썰매를 찾아 꼭대기에서 차례로 썰매를 타면 비행기를 탄 기분이었다. 그것도 싫증이 나면 편 먹기 공기놀이, 비석 치기나 굴밤으로 구슬치기를 하였다. 목동들이 많이 모인 날이면, 윗동네와 아랫동네로 편을 갈라 진똘이(진놀이)나 오징어 게임(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을 하고 이기면 좋으나 지면 그 (罰)로 소 찾기에 나섰다.
이렇게 놀다가 때때로 소 떼의 행방을 놓치는 때도 있었다. 그럴 때는 우리 동네 소 떼가 평소 잘 다니는 산길을 따라서 소리맵시가 귀에 익은 워낭소리를 따라가며 찾거나, 고랑 물이 흐르는 다랑논(沓) 가에 가면 찾을 수 있었다. 어떨 때는 말썽꾸러기 송아지가 나무울타리를 뚫고 남의 논밭에 들어가 다 자란 농작물을 함부로 뜯어먹어 쑥대밭으로 만드는 사고를 쳤다. 산에서 소를 잃어버렸을 때 가장 걱정되는 것은, 뿔에 감아둔 고삐가 숲속 잡목의 나뭇가지에 걸려 소가 옴짝달싹 못 할 때이다. 그런데 이럴 때는 신기하게도 사고를 당한 소의 새끼나 어미가 주위에서 울면서 주인이 찾아오기를 기다렸다. 이런 것을 보면서 소를 말 못 하는 짐승이라 함부로 대할 수 없었다.
우리 마을 가까이 있는 ‘물꼬랑’ 위 산비탈에는 다래, 머루, 으름 넝쿨이 숲을 이루어 있었다. 이슬이 내리는 늦가을에 위험을 무릅쓰고 그곳을 오르면 속살을 드러낸 ‘국산 바나나’ ‘으름’을 맛볼 수 있었다. 보리똥(보리수) 나무 가시를 헤쳐가며 빨갛게 익은 보리수 열매를 한 줌 따 입에 넣으면 시금털털한 그 맛이 허기를 채워 주기도 하였다. 그때 어렵게 따온 산초 열매는 가을철에 추어탕의 양념으로 요긴하게 쓰였다. 소를 먹이며 산속에서 놀았던 유년 시절의 경험이 젊은 교사 시절 보이스카우트 대 지도자가 되어서 야영을 하거나 산행을 했을 때 많은 도움이 되어 주었다.
산은 언제나 위험한 놀이터였다. 산중 무덤가에서 놀다가 땅벌이나 말벌에 쏘여 의식을 잃기도 하였고, 겁을 모르던 우리 소꾼 대장 ‘석구’ 형은 가을 산에서 독사에 물려 오랫동안 고생하기도 하였다. 우리가 나무 썰매 타기 위해 자주 찾았던 ‘샛재’ 산마루 큰 바위 밑에는 이름 모를 독사가 우글거렸다. 소를 몰고 억새밭을 지나다 보면 소는 물론이고 우리들의 팔다리에 야생 진드기가 붙은 것도 모르고 며칠 동안 지내다 고생하기도 했다. 이렇듯 내 몸의 팔다리와 무릎은 나뭇가지에 할퀴고 풀 잎새에 베이고 돌부리에 부딪혀 난 상처가 마를 날 없이 부스럼 천지가 되곤 했지만, 그래도 그때가 철부지 우리에겐 싱그러운 날들이었다.
시월의 지금쯤이면 내 고향의 다랑논에는 긴 가뭄 속에 덤벙 물 먹고 자란 벼들이 누렇게 익어가고, 학창 시절 재거름 져 날랐던 우리 집 큰 밭에는 부지런하신 어머니의 발걸음 소리 듣고 자란 고구마, 무, 배추, 수수, 조, 콩, 참깨, 고추가 가을 햇살에 토실토실 영글어가고 있을 때지만, 적막한 산골 마을의 정겨운 그 모습은 흔적이 없고 논밭이 있던 자리에는 수많은 아파트가 들어서 조선소에서 일하는 지구촌 가족이 어울려 사는 도시가 되었다. 웬만한 농촌에서는 소가 했던 농사일을 기계가 대신하니, 학교 공부를 파하고 산에 올라 소먹이며 숲속에서 호연지기를 기르며 놀았던 나의 유년 시절 이야기는 이제 아름다운 전설이 되고 말았다.
검정 고무신이 찢어지고 헤지도록 쫓아다녔던 내 고향의 숲속 산길도 임도(林道)가 생겨 등산객들이 쉽게 드나들 정도로 산천이 변했다. 뒷산 마루 고개 넘어 우리가 소먹이며 놀았던 ‘국사봉’ 아래의 산골짜기에는 지금 별장과 농원이 들어서고, 은어가 뛰놀던 청정한 은모래 밭 시냇가는 흔적이 없고, 한여름철에 멱감고 놀았던 ‘용(龍)웅덩’의 너럭바위와 청석(靑石)들은 어느 집 정원석으로 뽑혀 나가고 말았으니 개발을 미명으로 자연이 파괴된 곳이 어디 내 고향뿐 일까.
오늘 문득, 어린 그 시절에 나에게 남성(男性)을 가르쳐 준 동네 형들과 선머슴처럼 함께 뛰놀았던 여자애들이 보고 싶다. 샘이 많아서 걸핏하면 잘 토라졌던 아랫마을 ‘연’이, 수줍음 잘 탔던 아랫집 ‘자야’, 눈이 아름다웠던 아랫마을 ‘끝연이’는 나처럼 아들딸 낳아 시집장가보내고 지금은 착한 그녀들 닮은 손주들의 할머니 되어 있을 테지…. 그녀들도 나처럼 간간이 못된 짓 하며 까불던 날 보고 싶어 할까? 소로 쟁기 몰아 농사짓던 시절에 고향 산속에서 소먹이며 동네 친구들과 뛰놀며 놀았던 아름다운 추억을 떠올려 보는 지금 눈가가 시려 든다. <♧ 위의 글에 나오는 지명(地名)은 그 시절 우리 동네 사람들이 지어 부르던 방언입니다.> 2023.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