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논술형 B01
1. 000 중학교에서 근무하는 김 교사는 애니메이션 수업을 위하여 (가)와 (나)의 자료를 준비하였다. (가)와 (나)를 활용하여 ‘파이 현상(Phi Phenomenon)’을 설명하고, (나)와 같은 ‘페나키스토스코프(Phenakistoscope)’를 지도할 때, 김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을 제작 방법과 사용 방법적 측면에서 각각 서술하시오. 그리고 영상과 관련된 교육이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에 각각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서술하시오. [10점]
첫댓글 모범 답안
1. 파이 현상은 정지화면들이 연속해서 제시될 때 움직이는 것처럼 지각되는 현상이다.
2. 예를 들어 (가)는 십자형과 팔자형의 도형을 돌리면 하나의 원으로 보이게 되며,
3. (나)는 회전 원판에 일련의 정지된 각 동작들을 그려 넣고 거울에 비추어 돌리면 춤을 추는 연속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잔상에 의해 이미지 사이의 간격을 인지하지 못하는 파이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4. 제작 시 주의 사항으로는 원판에 정지된 일련의 그림을 처음과 끝이 이어지도록 그려야 하며,
4. 그림은 짙게 그릴수록 잔상 효과가 더 잘보인다.
5. 원판과 나무를 고정시키는 나사와 볼트의 조임을 확인한다.
5. 원판의 그림이 그려진 면을 거울에 비추고 뚫려있는 홈을 통해 이미지를 관찰한다.
6.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표현 영역 중 학습 내용에‘영상 표현’을 포함하였고, 표현 방법에서‘사진 영상 등의 새로운 매체와 표현 방법을 탐색하여 나타내기’로 제시되었다.
7.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매체와 방법의 활용’으로 영상 영역이 확대되었고, 표현 방법에서‘새로운 표현 방법과 매체 탐색하기’로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