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럴드 블룸(Harold Bloom) 연보
해럴드 블룸(Harold Bloom, 1930년 7월 11일 생~2019년 10월 14일 몰; 향년 90세)
예일학파(the Yale School)
정통파 유대계 출신 미국의 대표적인 문학비평가
20세기 최고의 문학 비평가
“미국에서 가장 저명한 문학 비평가”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 찰스 엘리어트 노튼 교수•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문학부 스털링 교수 겸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 대학원 영문과 베르그 교수
―Charles Eliot Norton Professor at Harvard University
―the Sterling Professor of Humanities at Yale University
―the Berg Professor of English at New York University
이탈리아 로마대학교 명예박사•볼로냐대학교 명예박사
미국 학술원 문학 부문 회원
“전 세계 영어권에서 가장 잘 알려진 문학 비평가”
19세기 낭만주의 시 전공 영문학자•영문과 교수
다문화주의를 거부한 정통파 정전주의자(canonist)
신비평의 본산지 예일대에서 영향 이론으로 미국 비평을 혁신한 비평가
독서왕(King of Reading)
―앉은자리에서 1,000페이지의 독서량, 1시간에 400페이지의 독서량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의 소네트(sonnet), 존 밀튼(John Milton)의 『실락원』(Paradise Lost),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의 시 전체, 히브리어 성경, 에드먼드 스펜서(Edmund Spenser)의 『선녀 여왕』(Faerie Queene) 전체를 암기해서 낭송할 수 있는 기억력의 소유자
―독서왕 해럴드 블룸은 모든 것들을 읽은 후에 이렇게 말했다. 독서는 비사회적이거나 반사회적인 시간의 허락일 뿐이며, 사회화와 사회적 행위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모범적인 지적 행위이다.
끊임없는 탐독(耽讀)의 비평가
미 코넬대학교(Cornell Univ.) 학사•영 케임브리지대학교(Cambridge Univ.)) 펨브록칼리지(Pembroke College) 석사•미 예일대학교 박사
부 유대계 우크라이나인 윌리엄 블룸(William Bloom)
―우크라이나(Ukraine) 오데사(Odesa) 출신
―봉제공장 노동자
모 유대계 리투아니아인 폴라 레프 블룸(Paula Bloom)
―브레스트 리토브스크(Brest Litovsk) 부근(현 벨라루스(Belarus)) 출신
―가정주부
자녀 2남 3녀
1남 형
2녀 큰누이
3녀 작은누이
4녀 막내누이
5남 본인(막내 남동생)
처 진 굴드(Jeane Gould, 1958년 결혼)
자녀 2남
1남 다니엘 블룸(Daniel Bloom)
2남 데이비드 블룸(David Bloom)
문학비평가 M. H. 에이브럼스(M. H. Abrams)의 문인(코넬대 고전학 전공 학사)
신비평가(New Critics) 윌리엄 K. 윔셋(William K. Wimsatt)의 문인(예일대 영문과 박사)
1930년 1세 7월 11일 미국 뉴욕시 이스트 브롱스(East Bronx)에서 정통 유대계 동유럽 출신 부친 윌리엄 블룸(William Bloom)의 아들로 출생. 뉴욕시 브롱스 그랜드 캉커스 1410번지에서 성장. 어려서부터 이디시어와 히브리어 학습
1933년 4세 이디시어(Yiddish, 유럽 및 미국의 유대인어) 학습
1934년 5세 히브리어(Hebrew) 학습
1935년 6세 영어(English) 학습
―이디시어와 히브리어에 이어서 블룸의 세 번째 학습 언어
1936년 7세 뉴욕시 브롱스과학고(the Bronx High School of Science) 입학
1938년 9세 뉴욕시 브롱스과학고 졸업. 코넬대 장학생 합격
1939년 10세 블룸이 가장 좋아하는 현대 시인 하트 크레인의 시 「무너진 탑」을 평생 암송하며 좋아함.
1940년~1948년 11세~19세 10대 시절에 셰익스피어부터 멜빌까지 문학 작품을 탐독한 문학 학습기
―어려서부터 시를 읽고 논했던 문학 천재
―젊은 시절 한자리에서 1000페이지의 책을 단번에 읽어내던 속독가
1950년대 21세 이후 신비평(New Criticism)의 중심지 예일대 수학 기간
1951년 22세 코넬대학교 고전학(classics) 전공 학사 졸업. M. H. 에이브럼스(M. H. Abrams)의 문인
1954년~1955년 25세~26세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펨브로크칼리지 풀브라이트 장학생(Fulbright Scholar)
1955년 26세 미 예일대학교 박사 학위. 신비평가(New Critics) 윌리엄 K. 윔셋(William K. Wimsatt)의 문인. 예일대학교 박사 과정 및 강사
1955년~2019년 26세~90세 64년간 예일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재임. 별세 4일 전까지 예일대 강의
1958년 29세 심리학자 진 굴드와 결혼. 2자녀 출생
1959년 30세 첫 출판 저서(처녀작) 『셸리의 신화만들기』(Shelley’s Mythmaking) 출판(퍼시 비쉬 셸리(Percy Bysshe Shelley)에 대한 예일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60년대 31세 이후 예일대에서 유대계 학생 비율을 전체 학생의 10%로 제한하던 시기에 박사 과정과 교수직 수행. 랄프 왈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 연구
1965년 36세 예일대 정교수 승진
1967년 38세 『영향의 불안』 저술 시작
1970년 41세 『낭만주의와 의식』(Romanticism and Consciousness) 간. 『예이츠』(Yeats, 옥스퍼드대출판부(Oxford UP)) 간. 『영어로 쓴 최고의 시』(The Best Poems of the English Language: From Chaucer Through Frost) 간
1970년대~1980년대 41세~51세 이후 영향 이론(influence theory) 연구 기간
―시인들 사이의 시적 영향에 대한 연구
1973년 44세 『영향의 불안』(The Anxiety of Influence: A Theory of Poetry)를 출판해서 예일대 신비평가 스승 윌리엄 윔셋에게 헌사
1975년 46세 『카발라와 비평』(Kabbalah and Criticism) 간. 『오독의 지도』(A Map of Misreading, 옥스퍼드대출판부(Oxford UP))
1976년 47세 예일대 영문과 교수직을 사임하고 예일대 인문학부 스털링 교수(Sterling professor of the humanities) 임용. 『시와 억압』(Poetry and Repression: Revisionism from Blake to Stevens, 예일대출판부(Yale UP) 간
1977년 48세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 The Poems of our Climate), 코넬대출판부(Cornell UP) 간
1980년 51세 블룸의 유일한 소설 『루시퍼로의 비행』(The Flight to Lucifer: A Gnostic Fantasy) 빈티지북스 간
―데이비드 린제이(David Lindsay)의 판타지 소설 『아크투르스 항해』(A Voyage to Arcturus)에 감명받고, 그 후속 연작으로 창작
―비평가 해럴드 블룸의 유일한 소설
1980년대 51세 이후 미 첼시아하우스출판사 발행 수백 권의 서구 문학의 비평서 책임 편집인으로 활동
1985년 56세 맥아더재단 펠로우십 맥아더장학금(MacArthur Fellowship) 수혜(일명 천재상)
1986년 57세 『현대 비평의 해석』(Modern Critical Interpretations) 시리즈 발행
『두려운 균형』(Fearful Symmetry)의 저자 노드롭 프라이(Northrop Frye)를 블룸의 학문적 직계 선배라고 주장
―블룸은 비평의 선배 프라이는 매혹적이지만 가슴을 강탈하며, 그래서 비평의 아버지 케네스 버크(Kenneth Burke)에게서 대안을 찾았다고 진술
1987년~1988년 58세~59세 하버드대학교에서 시 강의
1988년~2004년 59세~65세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 대학원 베르그교수(Berg Professor of English). 예일대 교수직과 겸직
1988년 59세 뉴욕대학교 대학원 영문과 교수(Berg professor at New York University, 문학 이론과 문학비평, 뉴헤이븐과 뉴욕에서 격주로 강의)
1989년 60세 종교 비평(religious criticism)의 시작
―종교 비평서 『신성한 진리를 파괴하라』(Ruin the Sacred Truths: Poetry and Belief from the Bible to the Present) 간
1990년 61세 종교 비평서 『제이의 서』(The Book of J) 간(그로브출판사(Grove) 간, 베스트셀러)
1991년 62세 블룸 저, 윤호병 역, 『시적 영향에 대한 불안』, 고려원 간
1992년 63세 『미국의 종교』(The American Religion)에서 미국 개신교가 심리적으로 영성(靈性, gnosticism)에 기초한다고 주장. 마빈 메이여(Marvin Meyer) 편•해럴드 블룸 서문의 『토마스의 복음』(The Gospel of Thomas: The Hidden Sayings of Jesus, 하퍼 샌프란시스코 간) 간
1994년 65세 『서양의 정전』(The Western Canon)에서 서구 정전의 작가 26인 선정(영어권 작가 13인, 여성 4인 포함)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년~1616년), 단테(1265년~1321년), 제프리 초서(1342년~1400년), 세르반테스(1547년~1616년), 몽테뉴(1533년~1592년), 몰리에르(1622년~1673년), 존 밀턴(1608년~1674년), 새뮤얼 존슨(1709년~1784년), 괴테(1749년~1832년), 윌리엄 워즈워스(1770년~1850년), 제인 오스틴(1775년~1817년), 월트 휘트먼(1819년~1892년), 에밀리 디킨슨(1830년~1886년), 찰스 디킨스(1812년~1870년), 조지 엘리엇(1819년~1880년), 레프 톨스토이(1828년~1910년), 입센(1828년~1906년), 프로이트(1856년~1939년), 로버트 프루스트(1871년~1922년), 제임스 조이스(1882년~1941년), 버지니아 울프(1882년~1941년), 카프카(1883년~1924년), 보르헤스(1883년~1924년), 네루다(1904년~1973년), 새뮤엘 베케트(1906년~1989년), 페소아(1888년~1935년)
―문학이나 문학적 독서가 사회화나 사회적 적응에 일체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며, 이러한 문학적 무효성과 비효율성을 “적의학파”(School of Resentment, 분노학파, 분개파) 또는 적의학파의 문학이라고 명명
―블룸의 동료이자 전기 작가 R. W. B. 루이스(R. W. B. Lewis)는 블룸이 자신의 방랑벽을 오히려 자랑했다고 회상
―문학 정전의 정통성에 대해서 문학은 새로움이나 새로운 정전으로 성향화되기 때문에 문학 정전의 지속성과 정통성에 하등의 도움이 되지 않는 이질적이며 이단적인 문학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지적(“Harold_Bloom,” wikipedia 참조)
1996년 67세 『천년의 전조』(Omens of Millennium) 간(미국 종교의 영적 전통 연구, 펭귄출판사 간)
1997년 68세 『영향의 불안』(The Anxiety of Influence: A Theory of Poetry) 제2판 옥스퍼드대출판부(Oxford UP) 간
―『영향의 불안』 제2판의 긴 서문에서 셰익스피어에 대해서 언급
1998년 69세 『셰익스피어: 인간의 발명』(Shakespeare: The Invention of the Human) 간. 12월 10일 블룸의 셰익스피어 발제(제목: 「셰익스피어: 인간의 발명」(Shakespeare: The Invention of the Human))
―『셰익스피어: 인간의 발명』에서 셰익스피어 희극 38편에 대한 분석 수록
1999년 70세 미국 예술원 시상 비평 분야 금관훈장(Gold Medal for Belles Lettres and Criticism) 수상
2000년 71세 9월 3일 『북노트』(Booknotes)와의 블룸 인터뷰 「어떻게 읽고 왜 읽는가」(How to Read and Why). 『어떻게 읽고 왜 읽는가』(How to Read and Why, 스크리브너(Scribner) 간) 간
2001년 72세 『이야기와 시』(Stories and Poems for Extremely Intelligent Children of All Ages) 간
2002년 73세 심장 절개 수술. 2002년 카탈로니아 인터내셔널상(the International Prize of Catalonia) 수상
2003년 74세 국제 알폰소 레예스상(the Alfonso Reyes Prize of Mexico) 수상. 『천재 모자이크』(Genius: A Mosaic of One Hundred Exemplary Creative Minds) 간. 『햄릿: 무제한의 시』(Hamlet: Poem Unlimited) 간. 블룸•마리아 로자 메노컬(Maria Rosa Menocal) 공저, 『세상의 장식』(The Ornament of the World), 백베이북스(Back Bay Books) 간
―『볼티모어 선』(The Baltimore Sun)지와의 인터뷰에서 오래 전부터 자신을 유대계 지식인(Jewish Gnostic)이라고 공개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블룸은 자기 자신은 유대인이 아니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답했다.
2004년 75세 종교 비평서 『예수와 야훼』(Jesus and Yahweh: The Names Divine) 간(기독교와 유대교의 양립 불가능성 주장). 종교 비평서 『지혜는 어디에 있는가』(Where Shall Wisdom Be Found) 간.
―나오미 울프(Naomi Wolf)는 그녀가 예일대학교 대학생 당시 저녁 식사 자리에서 블룸이 자신의 다리 안쪽에 손을 얹는 성 추문을 저질렀다고 『뉴욕』(New York)지의 글에서 회고
2005년 76세 『시 독서의 기술』(The Art of Reading Poetry, 하퍼 퍼레니얼(Harper Perennial)) 간. 『에세이스트와 예언가들』(Essayists and Prophets, 팩츠언파일(Facts on File) 간. 『현대 미국 드라마』(Modern American Drama) 간
2006년 77세 블룸이 폴 페스타(Paul Festa) 2006년 다큐멘터리 『영원한 교회의 발현』(Apparition of the Eternal Church) 참여
2007년 78세 『소설가와 소설』(Novelists and Novels), 체크마크북스(Checkmark Books) 간
2008년 79세 가을 허리 골절
블룸 편, 정정호•이소영•정혜연 공역, 『헤럴드 블룸 클래식 세트』, 전 8권, 생각의 나무 간(고전 단편 소설 41편, 시 83편)
블룸 저, 손태수 역, 『세계문학의 천재들』, 들녘 간
블룸 저, 하계훈 역, 『지혜를 어디서 찾을 것인가』, 루비박스 간
2009년 80세 『재탄생과 쇄신』(Rebirth and Renewal, 첼시하우스) 간
2010년 81세 미 조지아주(Georgia) 사반나(Savannah) 소재 랄스톤칼리지(Ralston College) 설립 후원자
2011년 82세 7월 셰익스피어와 월트 휘트만을 주제로 『영향의 해부: 삶의 방식으로서의 문학』(The Anatomy of Influence: Literature as a Way of Life) 간. 11월 미발표 희곡 『누군가 너희에게: 월트 휘트만을 축복하는 농부』(To You Whoever You Are: A Pageant Celebrating Walt Whitman) 창작. 블룸 저, 『빅토리아 시인들』(Victorian Poets), 첼시하우스(Chelsea House Publications) 간. 블룸 저, 『미국의 현대 시인들』(American Modernist Poets), 첼시하우스(Chelsea House Publications) 간. 블룸 편, 『미국의 여류 시인들』(American Women Poets), 블룸스 리터러리 크리티시즘(Blooms Literary Criticism) 간. 블룸 편, 『20세기 영국의 시인들』(Twentieth-Century British Poets), 첼시하우스 간. 블룸 편, 『낭만주의 시인들』(The Romantic Poets), 블룸스 리터러리 크리티시즘 간. 『큰 바위 그림자』(The Shadow of a Great Rock: A Literary Appreciation of The King James Bible, 예일대출판부(Yale UP)) 간
블룸 저, 윤병우 역, 『해럴드 블룸의 독서 기술』, 을유문화사 간
2012년 83세 블룸 저•양석원 역, 『영향에 대한 불안』, 현대의 문학 이론 44, 문학과 지성사 간
2015년 86세 『악마는 안다: 문학적 위대성과 미국적 숭고미』(The Daemon Knows: Literary Greatness and the American Sublime) 간
2018년 89세 『이야고』(Iago: The Strategies of Evil, 스크리브너(Scribner) 간) 간
2019년 90세 『맥베스: 마음의 비수』(Macbeth: A Dagger of the Mind) 간.
마지막 저서 『기억의 지배』(Possessed by Memory: The Inward Light of Criticism) 간.
예일대 2학기 마지막 수업 「셰익스피어와 정전: 역사, 희극, 그리고 시; 시를 읽는 기술」(Shakespeare and the Canon: Histories, Comedies, and Poems; Art of Reading a Poem), 「셰익스피어부터 키이츠까지의 시적 영향」(Poetic Influence from Shakespeare to Keats“ 강의
10월 14일 미국 코네티컷주(Connecticut) 뉴헤이븐(New Haven)의 어느 병원에서 별세
예일대 바텔 채플(Battell Chapel)에서 추도식
최종 직위 예일대 석좌교수. 향년 90세
생가
미국 뉴욕시(New York City) 브롱스구(the Bronx) 그랜드 콘코스 1410번지(1410 Grand Concourse)
2019년 유고 저서 블룸 저, 『미국의 정전』(The American Canon),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Library of America) 간
2020년 유고 저서 블룸 저, 『인생의 밝은 책: 소설을 읽고 또 읽고』(The Bright Book of Life: Novels to Read and Re-read, 빈티지(Vintage)사) 간. 유고 저서 『고통의 바다에서 팔짱을 끼고』(Take Arms Against a Sea of Troubles: The Power of the Reader’s Mind Over a Universe of Death, 예일대출판부(Yale), 2020년) 간
2022년 유고 저서 블룸 편, 『20세기 미국 문학』(Twentieth Century American Literature), 첼시하우스 간
대표 저서
『서양의 정전』(The Western Canon: The Books and School of the Ages, 하코트 브레이스(Harcourt Brace) 간, 1994년)
『영향의 불안』(The Anxiety of Influence: A Theory of Poetry, Oxford UP, 1973년; 제2판, 1997년)
베스트셀러 저서
『제이의 서』(The Book of J, 데이비드 로젠버그(David Rosenberg) 히브리어 역, 해럴드 블룸 해설, 그로브출판사(Grove Press) 간, 1990년)
『서양의 정전』(The Western Canon: The Books and School of the Ages, 하코트 브레이스(Harcourt Brace) 간, 1994년)
저서
50권 이상의 저서
―문학 비평서 40여 권, 종교 비평서 7권, 소설 1권 포함
수백 권의 선집과 편서(문학 및 철학 사화집, 첼시출판사(the Chelsea House) 간)
전 세계 40여 국에서 블룸의 저서의 번역서 출간
단행본
『셸리의 신화만들기』(Shelley’s Mythmaking, 예일대출판부(Yale UP), 1959년)
『환상의 무리』(The Visionary Company: A Reading of English Romantic Poetry, 더블데이(Doubleday), 1961년; 수정증보판 코넬대출판부(Cornell UP), 1971년)
『블레이크의 종말론』(Blake’s Apocalypse: A Study in Poetic Argument. 더블데이(Doubleday and Co.), 1963년)
『존 러스킨의 문학비평』(The Literary Criticism of John Ruskin, 더블데이(DoubleDay), 1965년)
『월터 페이터: 쾌락주의자 마리우스』(Walter Pater: Marius the Epicurean, 뉴아메리칸라이브러리(New American Library), 1970년)
『낭만주의와 의식』(Romanticism and Consciousness: Essays in Criticism, 노튼(Norton), 1970년)
『예이츠』(Yeats, 옥스퍼드대출판부(Oxford UP), 1970년)
『타워에서 종 치는 자』(The Ringers in the Tower: Studies in Romantic Tradition, 시카고대출판부(U of Chicago P), 1971년)
『영향의 불안』(The Anxiety of Influence: A Theory of Poetry, Oxford UP, 1973년; 제2판, 1997년)
『월터 페이터 선집』(The Selected Writings of Walter Pater, 뉴아메리칸라이브러리(New American Library), 1974년)
『오독의 지도』(A Map of Misreading, 옥스퍼드대출판부(Oxford UP), 1975년)
『카발라와 비평』(Kabbalah and Criticism, 시베리출판사(Seabury Press), 1975년)
『시와 억압』(Poetry and Repression: Revisionism from Blake to Stevens, 예일대출판부(Yale UP), 1976년)
『상상력의 소유자들』(Figures of Capable Imagination, 시베리출판사(Seabury Press), 1976년)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 The Poems of our Climate. 코넬대출판부(Cornell UP), 1977년)
『해체주의와 비평』(Deconstruction and Criticism, 시베리출판사(Seabury Press), 1980년)
『루시퍼로의 비행』(The Flight to Lucifer: A Gnostic Fantasy, 빈티지북스(Vintage Books), 1980년)
『아곤』(Agon: Towards a Theory of Revisionism, 옥스퍼드대출판부(Oxford UP), 1982년)
『선박의 고장』(The Breaking of the Vessels, 시카고대출판부(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년)
『정전의 강한 빛』(The strong light of the canonical: Kafka, Freud and Scholem as revisionists of Jewish culture and thought), 시티칼리지(The City College), 1987년
『영향의 시학』(The Poetics of Influence: New and Selected Criticism, 헨리 R. 슈왑(Henry R. Schwab), 1988년)
『신성한 진리를 파괴하라』(Ruin the Sacred Truths: Poetry and Belief from the Bible to the Present, 하버드대출판부(Harvard UP), 1989년)
『제이의 서』(The Book of J, 데이비드 로젠버그(David Rosenberg) 히브리어 역, 해럴드 블룸 해설, 그로브출판사(Grove Press), 1990년)
『토마스의 복음』(The Gospel of Thomas: The Hidden Sayings of Jesus, 마빈 메이어(Marvin Meyer) 편, 해럴드 블룸 해설, 하퍼 샌프란시스코(Harper San Francisco), 1992년)
『미국의 종교』(The American Religion: The Emergence of the Post-Christian Nation, 터치스톤북스(Touchstone Books), 1992년)
『서양의 정전』(The Western Canon: The Books and School of the Ages, 하코트 브레이스(Harcourt Brace), 1994년)
『천년의 전조』(Omens of Millennium: The Gnosis of Angels, Dreams, and Resurrection, 리버헤드북스(Riverhead Books), 1996년)
『셰익스피어: 인간의 발명』(Shakespeare: The Invention of the Human, 1998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그리고 왜 읽는가』(How to Read and Why, 2000년)
『이야기와 시』(Stories and Poems for Extremely Intelligent Children of All Ages, 2001년)
『상상력의 미래』(El futur de la imaginació, 영어 제목 The Future of the Imagination, 스페인 아나그라마(Anagrama), 2002년)
『천재 모자이크』(Genius: A Mosaic of One Hundred Exemplary Creative Minds, 2003년)
『영어로 쓴 최고의 시』(The Best Poems of the English Language: From Chaucer Through Frost, 2004년)
『지혜는 어디에서 발견되는가』(Where Shall Wisdom Be Found?, 2004년)
『예수와 야훼』(Jesus and Yahweh: The Names Divine, 2005년)
『미국의 종교 시』(American Religious Poems: An Anthology By Harold Bloom, 2006년)
『타락 천사』(Fallen Angels, 마크 포드월(Mark Podwal) 삽화, 예일대출판부(Yale UP), 2007년)
『나의 노래를 끝마칠 때』(Till I End My Song: A Gathering of Last Poems, 하퍼(Harper), 2010년)
『영향의 해부』(The Anatomy of Influence: Literature as a Way of Life, 예일대출판부(Yale UP), 2011년)
『큰 바위 그림자』(The Shadow of a Great Rock: A Literary Appreciation of The King James Bible, 예일대출판부(Yale UP), 2011년)
『악마는 안다』(The Daemon Knows: Literary Greatness and the American Sublime, 슈피겔과 그라우(Spiegel & Grau), 2015년)
『폴스타프』(Falstaff: Give Me Life, 스크리브너(Scribner)사, 2017년)
『클레오파트라』(Cleopatra: I Am Fire and Air, 스크리브너(Scribner)사, 2017년)
『리어』(Lear: The Great Image of Authority, 스크리브너(Scribner), 2018년)
『이야고』(Iago: The Strategies of Evil, 스크리브너(Scribner), 2018년)
『맥베스』(Macbeth: A Dagger of the Mind, 스크리브너(Scribner)사, 2019년)
『기억의 보유』(Possessed by Memory: The Inward Light of Criticism, 크노프(Knopf)사, 2019년)
『고통의 바다에서 팔짱을 끼고』(Take Arms Against a Sea of Troubles: The Power of the Reader’s Mind Over a Universe of Death, 예일대출판부(Yale), 2020년)
『인생의 밝은 책: 소설을 읽고 또 읽고』(The Bright Book of Life: Novels to Read and Re-read, 크노프(Knopf)사, 2020년) (“Harold_Bloom,” wikipedia 참조)
논문
『월러스 스티븐스의 장시』(Wallace Stevens’ Longer Poems), 헬렌 벤들러(Helen Hennessy Vendler)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69년 10월 5일. (서평)
「젊은 날 전성기 시인들의 교유」(Poets’ meeting in the heyday of their youth; A Single Summer With Lord Byron),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70년 2월 15일. (신문 칼럼)
「살아 있는 몸속 천사의 정령」(An angel’s spirit in a decaying (and active) body),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70년 11월 22일. (신문 칼럼)
「시의 용도」(The Use of Poetry),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75년 11월 12일. (신문 칼럼)
「로맨스의 디자인을 높이 평가하는 노드롭 프라이」(Northrop Frye exalting the designs of romance; The Secular Scripture),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76년 4월 18일. (신문 칼럼)
「미국에서의 고독에 대해서」(On Solitude in America),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77년 8월 4일. (신문 칼럼)
「비평가/시인」(The Critic/Poet), 『뉴욕타임즈』(The New York Times), 1978년 2월 5일. (신문 칼럼)
「전통의 퓨전」(A Fusion of Traditions: The Collected Works of Isaac Rosenberg), 『뉴욕타임즈』(The New York Times), 1979년 7월 22일. (신문 칼럼)
「자아로부터 바로 앞으로」(Straight Forth Out of Self),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0년 6월 22일. (신문 칼럼)
「과거의 무거운 짐; 시인들」(The Heavy Burden of the Past; Poets),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1년 1월 4일. (신문 칼럼)
「시인의 그림」(The Pictures of the Poet; The Painting and Drawings of William Blake), 마틴 버틀린(Martin Butlin) 저, 제1권 본문. 제2권 플레이트,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2년 1월 3일. (서평)
「소설가의 성경」(A Novelist’s Bible; The Story of the Stories, The Chosen People and Its God), 댄 제이콥슨(Dan Jacobson)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2년 10월 17일. (서평)
『이삭 바쉬비스 싱어의 예레미아』(Isaac Bashevis Singer's Jeremiad; The Penitent), 이삭 바쉬비스 싱어(Isaac Bashevis Singer)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3년 9월 25일. (서평)
『내적 착란』(Domestic Derangements; A Late Divorce), A. B. 예호슈아(A. B. Yehoshua) 저, 힐렐 홀킨(Hillel Halkin) 역,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4년 2월 19일. (서평)
『벽 속의 전쟁』(War Within the Walls; In the Freud Archives), 자네트 말콤(Janet Malcolm)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4년 5월 27일. (서평)
『웃음으로 인한 그의 긴 시련』(His Long Ordeal by Laughter; Zuckerman Bound, A Trilogy and Epilogue), 필립 로스(Philip Roth)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5년 5월 19일. (서평)
『세속적 구원의 희극』(A Comedy of Worldly Salvation; The Good Apprentice), 아이리스 머덕(Iris Murdoch)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6년 1월 12일. (서평)
「프로이드, 위대한 현대 작가」(Freud, the Greatest Modern Writer),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6년 3월 23일. (서평)
「혼란한 미국에 대한 열정적인 구경꾼」(Passionate Beholder of America in Trouble; Look Homeward, A Life of Thomas Wolfe), 데이비드 허버트 도날드(David Herbert Donald)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7년 2월 8일. (서평)
「아버지의 책」(The Book of the Father; The Messiah of Stockholm), 신시아 오직(Cynthia Ozick)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7년 3월 22일. (서평)
「여전히 계약으로 묶인」(Still Haunted by Covenant),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88년 1월 31일. (서평)
「그노시스파 이교의 새로운 전성기」(New Heyday of Gnostic Heresies),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92년 4월 26일. (신문 칼럼)
「코사크인들 사이의 유대인」(A Jew among the Cossacks; The first English translation of Isaac Babel's journal about his service with the Russian cavalry), 1920년 일기, 이삭 바벨(Isaac Babel)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95년 6월 4일. (서평)
「카디쉬」(Kaddish), 레온 위셀티어(Leon Wieseltier) 저,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1998년 10월 4일. (서평)
「뷰」(View; On First Looking into Gates’s Crichton),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2000년 6월 4일. (신문 칼럼)
「선거」(The election, as Shakespeare might have seen it),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2000년 12월 6일. (신문 칼럼)
『맥부시』(Macbush), 『허영의 시장』(Vanity Fair), 2004년 4월. (희곡)
「잃어버린 유대인 문화」(The Lost Jewish Culture), 『뉴욕 서평』(The New York Review of Books) 54/11, 2007년 6월 28일. (서평)
「이디시어의 영광」(The Glories of Yiddish), 『뉴욕 서평』(The New York Review of Books) 55/17, 2008년 11월 6일. (서평)
「야훼가 R. 크럼을 만나다」(Yahweh Meets R. Crumb), 『뉴욕 서평』(The New York Review of Books) 56/19, 2009년 12월 3일. (서평)
「이 선거는 모르몬교의 혁신이 될 것인가?」(Will This Election Be the Mormon Breakthrough?),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2011년 11월 12일. (신문 칼럼)
「리차드 3세」(Richard III: Victim or Monster? Asks Harold Bloom), 『뉴스위크』(Newsweek), 2013년 2월 11일. (주간지 칼럼)
「피터 콜의 『영향의 발명』 서문」(Introduction to The Invention of Influence by Peter Cole), 『태블릿』(The Tablet), 2014년 1월 21일. (칼럼) (“Harold_Bloom,” wikipedia 참조)
* 해럴드 블룸과 예일학파(the Yale School): 예일학파는 1970년대 미국 예일대학교 영문학과, 비교문학과 등의 문학부 교수 출신의 일단의 문학 비평가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유럽 프랑스에서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적 조류와 일치해서 일어난 해체주의를 중심으로, 해체주의의 창시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해체주의를 미국에서 수용한 예일학파의 창시자 폴 드 만(Paul de Man), 그리고 해체주의를 비평 방법론으로 채용한 예일대 출신의 비평가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과 힐리스 밀러(Hillis Miller)가 예일학파의 일단이다.
20세기 최고의 비평가라고 알려진 해럴드 블룸(Harold Bloom)은 정통 정전주의자였고 다문화주의를 거부했으며, 해체주의자와도 비평 방법론을 공유하지 않았다. 그러나 블룸 역시 1970년대 예일대학교 문학부 교수로서 자신의 영향 이론으로 미국 비평에 혁신을 불러일으켰으며, 데리다와 폴 드 만, 하트만과 밀러와 마찬가지로 예일 출신 예일학파로 알려져 있다.
예일대학교 영문학과와 문학부는 형식주의를 기초로 한 미국 신비평(New Criticism)의 본산지이며, 신비평가들이 여전히 활동하던 1970년대에 유럽의 해체주의를 기초로 한 일단의 예일 비평가 그룹이 생성되어 예일학파 예일 비평을 이루었다. 그러나 예일학파는 예일대 영문과 등의 문학부 교수 출신 문학 비평가라는 공통점 외에는 각기 개별적으로 활동했고, 별달리 공유하는 비평적 입장과 방법론은 없다. 단지, 해체주의의 영향을 받은 비평 방법론이 예일 비평의 지배적인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영향 이론을 주장한 블룸의 방법론 역시 과거의 시적 영향에 대한 전복적인 해석으로 해체주의적 방법론과 맥을 같이 한다. 그럼에도, 블룸은 서양의 정전의 정통성을 일관적으로 견지하며 정전 텍스트 해석의 정독과 오독을 구별하기도 했다.
* 블룸의 낭만주의 연구: 예일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주제가 영국 낭만주의 시인 셸리(P. B. Shelley)였으며, 그 외에도 영국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 아일랜드 낭만주의 계열 현대 시인 예이츠(W. B. Yeats), 독일계 미국인 낭만주의 계열 현대 시인 스티븐스(W. Stevens) 등에 대해서 연구했다. 블룸의 낭만주의 연구는 영국 낭만주의 시인들과 현대 낭만주의 계열 시인들로 일관했으며, 낭만주의자들에 대한 비난을 방어하고 낭만주의자들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히는 작업이었다. 블룸의 주요 낭만주의 연구 저서는 『셸리의 신화만들기』(Shelley’s Mythmaking), 『블레이크의 종말론』(Blake’s Apocalypse), 『예이츠』(Yeats),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 The Poems of Our Climate) 등이 있다.
* 블룸의 영향 이론(influence theory): 해럴드 블룸은 1967년 『영향의 불안』의 저술을 시작했다. 시인들 사이의 시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1980년대 영향 이론(influence theory) 연구 기간에 지속되었다. 결국, 그의 연구의 결과는 1973년 『영향의 불안』(The Anxiety of Influence: A Theory of Poetry)을 출판해서 예일대 신비평가 스승 윌리엄 윔셋에게 헌사하면서 결실을 맺었다. 그후로도, 블룸의 영향 이론에 대한 저술과 연구 활동을 계속되어, 『오독의 지도』(A Map of Misreading), 『카발라 비평』(Kabbalah and Criticism)에서는 시적 영향을 지도를 그리려고 시도했다. 『상상력을 소유한 인물들』(Figures of Capable Imagination)에서는 블룸이 영향 이론에 대한 저술들에서 쓴 글들을 모았다. 이러한 영향 이론에 대한 블룸의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서 일관적으로 그의 문학 연구에서 지속되었다.
블룸의 영향 이론은 언어는 허구이며, 언어도 의미도 존재치 않는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그러므로 시적 해석은 오독(misreading)일 뿐이며, 선배 시인들과의 갈등과 투쟁을 통해서 자기만의 유기적인 시적 목소리를 생성하고 창조한다고 주장했다.
* 블룸의 종교 비평(religious criticism): 해럴드 블룸의 종교 비평(religious criticism)은 1989년 시작되었다. 1989년 종교 비평서 『신성한 진리를 파괴하라』(Ruin the Sacred Truths: Poetry and Belief from the Bible to the Present)가 간행되었고, 1990년 종교 비평서 『제이서』(The Book of J)가 간행되었다.
1992년 『미국의 종교』(The American Religion)에서 블룸은 미국 개신교가 심리적으로 영성(靈性, gnosticism)에 기초한다고 주장했다. 1992년 마빈 메이여(Marvin Meyer) 편•해럴드 블룸 서문의 『토마스의 복음』(The Gospel of Thomas: The Hidden Sayings of Jesus, 하퍼 샌프란시스코 간)이 간행되었다.
* 블룸의 여성 편력: 남녀 대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친애하는 학생 여러분”(my dear)이라는 친근한 표현을 했고, 1990년 「블룸의 연애」(Bloom in Love)라는 제목의 논문에서는 대학원 여학생과의 연애로 비난받았다고 한다.
* 블룸의 다작: 왜 그렇게 많이 책을 썼느냐는 어느 인터뷰에서의 질문에 블룸 교수는 두 아들 중에 장애아가 있어 아이를 돌보느라고 집에서 책을 썼다고 답했다고 한다.
* 블룸에 대한 한국의 연구 성과: 해럴드 블룸에 대해 검색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양석원, 「텍스트와 주체: 해롤드 블룸의 문학 이론과 정신분석」, 『비평과이론』, 한국비평이론학회, 2011년. 77~108 등 국내 학술 논문 6편; 페터 지마, 『데리다와 예일학파』, 문학동네, 2001년 등 단행본 11권; 박연성, 「영향에 대한 환희: 『드니스 레버토프와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즈의 서한집』 연구」, 한국연구재단(NRF), 2017년 등 연구 보고서 2편이 있다. <끝> <2024-03-10,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Harold_Bloom,” wikipedia; 「해럴드 블룸」, 『위키백과』; 김환영 대기자, 「김환영 대기자의 ‘CEO의 서재를 위한 비즈니스 고전’(17)―해럴드 블룸 『서구 캐넌』, 『어떻게 그리고 왜 읽을 것인가』」, 『포브스코리아』 202008호, 2020년; Dinitia Smith, “Harold Bloom, Critic Who Championed Western Canon, Dies at 89,” The New York Times, 2019-11-01; Eric Homberger, “Books: Harold Bloom obituary,” The Guardian, 2019-10-15; Bess Connolly, “In Memoriam: Harold Bloom: acclaimed literary critic, beloved teacher, ‘complete original,’” YaleNews, 1989-10-14; Philip Hensher, “Harold Bloom finally betrays how little he really understood literature,” The Spectator, 2020-11-21; 기타 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