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넌”The Nun
미국영화, 장르:공포 개봉:2018.09.19.
감독:코린하디(Corin Hardy),
제작:피터 사프란 Peter Safran ,제임스 완 James Wan
주연:테이사 파미가(Taissa Farmiga),데미안 비쉬어(Demian Bichir),
보니 아론스(Bonnie Aarons),샬롯 호프(Charlotte Hope)
관객:297,129명(2018.09.21.현재)
“컨저링”(The Conjuring) 유니버스 시리즈 영화로 “애나벨”(Annabelle)의 형식을취한 경향이 있다. 컨저링 시리즈와 같이 더 넌에도 “발락”(보니아론스역)이 등장한다. 1952년의 어느날 밤이다. “크르차(Cârţa) 수녀원”에서 두 명의 수녀가 길을 걷다가 어둡고 음산한 공간앞에서 멈춘다. 문 입구에는 “신의 영역은 여기까지다”라는 문구가 기록되어 있다. 출입구가 열리면서 발락에 의해 수녀 한명이 곧바로 사망하고 함께 갔던 수녀도 결국 자살로서 인생을 마감하게 된다. 다음날 아침 식자재를 납품하려고 수녀원을 찾았던 “프렌치”(조나스블로켓역)는 까마귀떼가 물어 뜯은 수녀의 시체와 피바다를 목격하고 두려움에 떨고 있다.
“버크”(데미안비쉬어역) 신부는 바티칸에 의해 “아이린”(테이사파미가역) 수녀와 함께 수녀 자살사건의 진상을 조사하며 남아 있는 수녀들의 안전확인을 위해 루마니아로 파견한다. 버크 신부는 엑소시즘 전문가로서 바티칸에서도 그 명성이 알려져 있다. 아이린 수녀는 수련기간 중이지만 계시를 받고 환영을 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어서 버크 신부의 조력자로 충분하였다. 루마니아에서는 공포의 크르차 수녀원을 기피하고 모두가 꺼려하고 있다. 버크 신부와 아이린 신부는 시신 목격자인 프렌치의 집을 방문한다. 프랜치는 그 사건의 목격자로 극심한 트라우마와 악몽을 겪고 있다. 프렌치로 부터 자살한 수녀의 시체를 수녀원의 냉동창고에 넣었다는 말을 듣고 버크 신부와 아이린 수녀는 프렌치에게 수녀원에 동행해 줄 것을 요청한다. 프렌치의 안내로 크르차 수녀원에 도착한 버크 신부와 아이린 수녀는 수많은 십자가들이 땅에 박혀있는 모습을 발견하고 놀란다. 수많은 무덤과 비석에 달린 종들이 있었는데 이 종들은 전염병 창궐당시 사람들이 실수로 살아있는 사람을 매장하였을때를 대비하여 관 안에서 끈을 당겨 외부의 종을 치게 하는 특이한 생명장치였다. 많은 종들 가운데 어디선가 하나의 종이 혼자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 모습을 지켜본 아이린 수녀였지만 별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냉동창고로 향하였다.
냉동창고안에는 가지런히 눕혀 놓았던 시체가 정자세로 앉아 있었다. 버크 신부는 시체의 손에서 의문의 열쇠를 발견하고 그것을 손에 쥔다. 수녀원 안쪽으로 들어간 버크 신부 일행은 굳게 닫혀있는 문을 발견하고 안에 사람이 있는 지 확인하려 했으나 아무런 대답을 듣지 못한다. 그런 가운데 갑자기 어디선가 나타난 수녀원 원장이 버크 신부 일행의 뒤에서 지금은 수녀원으로 들어 올수 없으며 내일 다시 오거나 수녀들의 숙소에서 하룻밤 숙박할 것을 권한다.
아이린 수녀가 라디오를 끄고 버크 신부와 식탁에 앉아 의미있는 대화를 나눈다. 아이린 수녀는 악몽을 꾸면서 성모께서 길을 인도하신다는 구절이 계속해서 기억된다고 말한다. 아이린 수녀의 말에 버크 신부는 자신의 지난날을 이야기한다. 버크 신부는 전쟁중에 환영을 보는 “다니엘”(어거스트마투로역)이라는 이름의 아이를 조사하기 위해 어느 마을로 향하였다. 다니엘은 사지가 묶여있는 상태에서 맹수처럼 어르릉 거리며 저항의 눈길을 보내고 있었다. 버크 신부가 다니엘의 곁으로 다가 가자 어린 아이의 목소리로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가 들리기도 하였지만 분명 악령에 깊이 씌워져 있었다. 버크 신부는 지체없이 엑소시즘을 행하였지만 다니엘은 큰 상처를 입은채로 얼마후 사망한 사건이 발생한다.
수녀원을 안내했던 프렌지는 집으로 돌아가야만 했다. 귀가길 수많은 십자가가 박혀있는 곳에서 수녀 옷차림을 한 형상을 발견하고 그를 뒤따라 간다. 그를 추적하는 곳에는 깊은 안개가 자욱할 뿐 그 누구도 보이지 않았다. 갑자기 허공에서 자살한 수녀의 시체가 솟구치며 프렌치를 위협하지만 땅속에 박혀있는 십자가를 비추며 프렌치는 집으로 도망한다.
깊은 잠에 빠져있던 버크 신부는 누군가가 다시 틀어 놓은 라디오 소리에 잠에서 깨어난다. 손전등을 들고 방 문을 나가 라디오를 비추자 갑자기 라디오가 꺼져 버린다. 어디선가 갑자기 나타난 수녀 형상을 목격한 버크 신부는 그녀를 따라 수녀원 밖으로 나간다. 밖에서는 신부를 피하여 도망하는 다니엘이 눈앞에 보였다. 순간 이성을 잃은 버크 신부는 다니엘을 뒤쫓아 추적해 보지만 안개속에서 그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버크 신부는 안전하지 않았다. 갑자기 다시 나타난 다니엘이 입에서 뱀을 품어내며 신부의 입 속으로 뱀을 집어 넣고 땅바닥으로 밀어내어 관속에 가두고 묻어 버린다. 순식간에 관속에 갇혀 버린 버크 신부는 종을 울리며 외부의 도움을 요청하지만 주위에는 자신을 구원해 줄 그 누구도 없었다.
악몽 때문에 잠에서 깨어난 아이린 수녀도 똑같은 수녀 형상을 보고 그녀를 따라 예배당으로 간다. 그곳에서 아주 거대한 검은 수녀의 그림자가 벽을 돌아 아이린 수녀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었다. 아이린 수녀가 뒤를 돌아 보았을 때 자신을 비추던 거울속 자신의 모습 뒤에 검은 수녀가 서 있는 것을 발견한다. 매우 놀란 아이린 수녀가 돌아서 보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다시 거울을 비추는 순간 발락이 아이린 신부의 뒤에서 소름돋는 비명을 지른다. 순간 거울이 깨지고 아이린 수녀는 강력한 힘에 의해 벽으로 던져져 버린다. 정신을 차린 아이린 수녀가 밖으로 도망치며 안개가 자욱한 십자가로 달려 나왔을 때 어디선가 구원을 요청하는 종소리가 들려온다. 아이린 수녀가 종소리가 들리는 방향으로 갔을 때 그곳에서는 모든 비석의 종소리가 요란스럽게 울려 퍼지고 있었다. 그러나 아이린 신부는 결국 버크 신부의 관을 찾아내고 버크 신부도 아이린 수녀의 목소리에 다소 안심을 한다. 그것도 잠시뿐, 관속에서 흰 손들이 나와 버크 신부를 땅속 아래로 끌고들어 가려하고 이에 다급해진 아이린 신부가 땅을 파고 들어가 가까스로 버크 신부를 탈출시킨다. 부서진 관에서 의문의 책을 발견한 버크 신부는 그 책이 이 문제의 답을 찾아 줄지 모른다고 가지고 간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버크 신부는 왼쪽 눈 시력을 영구적으로 잃게 된다.
다음날 아침, 아이린 수녀는 수녀원 안쪽을 자세히 둘러보고 있다. 그러던 중 어떤 여자의 기도소리를 듣고 예배당으로 향한다. 그 수녀는 계속해서 기도를 하고 있었지만 아이린 수녀는 그녀의 얼굴을 확인하고 싶었다. 그러나 “오아나”(잉그리드비수역) 수녀가 갑자기 나타나 기도를 방해 해서는 않된다고 제지하며 자신을 따라 오라고 말한다. 아이린 수녀는 오아나 수녀에게 크르차 수녀원은 어떠한 역사와 이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 났는지 물어본다.
영화 더 넌은 발락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채 끝이 났다. 주력 엑소시즘을 해야 할 버크 신부는 내내 수련중인 아이린 수녀의 도움을 받아야 했고 급기야 발락퇴치까지 수녀의 손에 맡겨야 했다. 함께 다녀도 부족한 그들이 늘 흩어져 악령과 맞서려 하고 수많은 십자가들의 무력함을 보여 주었다. 그리스도인은 무슨 고민을 해 보아야 할까? “넌”(NUN)은 “수녀”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핵심 키워드다. 하나님을 믿고 성모 마리아를 모범으로 살았던 수녀가 왜 악령이 되었을까? 이 질문이 우리에게도 되돌아 온다. 그리스도인으로서 하나님을 믿는 우리가 왜 똑같은 죄를 반복하며 회개의 길을 걷지 못하는가? 그것은 우리가 죄를 온전하게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성경을 읽고 답을 알고 있지만 그것을 실천하는 의지가 늘 부족하고 망설인다. 그래서 그 틈바구니를 사탄이 노리고 끊임없이 자극을 하는 것이다. “더 넌”은 언제나 “더 위"(WE)가 될 수도 있다. 우리가 악령에 사로잡혀 영구적인 죽음에 직면하지 않으려면 지금 우리의 선택과 결정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