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 새는 연못가 나무에서 잠들고
僧鼓月下門(승고월하문): 스님은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리네.
이 시는 唐(당) 시인 賈島(가도) 서경시(敍景詩)이다.
시에서 僧鼓月下門(승고월하문)은 원래 僧推月下門(승퇴월하문)이었다.
즉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리는 스님이 아니라 달빛 아래 문을 밀치고 있는 스님이었다.
가도(賈島)는 처음에 僧推月下門(승퇴월하문)이라 써놓고 아무리 읊어보아도
마음에 들지 않아 문 밀칠 퇴(推)대신에 문 두드릴 고(鼓)로 바꾸어 보았지요.
그래도 마음에 들지 않아 퇴와 고 두고 고민을 했다.
賈島[가도]는 推(퇴)로 할까? 고(敲)로 할까? 망설이던 중
어느 날 노새를 타고 거리를 나가면서 노새 위에서도 퇴로 할까? 고로 할까?'
고민하다가 하다 고을 부윤의 행차가 오는 것을 보지 못하고 그만 부딪치고 말다.
가도는 불경죄로 府尹[부윤] 앞에 끌려가 자기가 시를 짓다가 퇴로 할까? 고로 할까?
몰두하다가 주위를 살피지 않아 그만 불경죄를 저지르게 되었노라 사죄하였다.
부윤이 가도의 사정 이야기를 다 듣더니 파안대소하고 잠시 생각한 후에
‘이보게, 그건 문 밀칠 퇴(推)보다 문 두드릴 고(敲)가 더 나은 것 같네.’라고 하였다.
이 부윤은 당대의 문장가로 이름 높은 韓愈〔(한유: 退之(퇴지)〕였다.
이 사건으로 한유와 가도는 그 자리에서부터 文友(문우)가 되었고,
가도는 僧推月下門(승퇴월하문)을 僧鼓月下門(승고월하문)으로 고쳤다.
이후로 글쓰는 사람들이 문장을 고치는 것을 推敲(퇴고)라고 일컫게 되었다.
출처: 당시기사(唐詩紀事[당시기사] 고사(故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