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소개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원형을 밝혀 지역의 문화유산을 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문화탐방로다. 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가 있다. 이 중 경기도를 지나는 주요 6개의도로망은 제1로인 의주로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경흥로ㆍ평해로ㆍ영남로ㆍ삼남로ㆍ강화로가 있다. 이러한 원형길을 바탕으로 새롭게 조성한 길이 바로 ‘경기옛길’이다. 2012년 10월 삼남길 경기도 구간 중 수원ㆍ화성ㆍ오산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3년 5월 삼남길 경기도 전체 구간이 개통되었다. 같은 해 10월에는 의주길 고양ㆍ파주 구간이 개통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2015년에는 성남ㆍ용인ㆍ안성ㆍ이천을 잇는 영남길이 조성ㆍ개통되었고 2020년 평해길(구리-남양주-양평)이 조성완료 되었다. 경기옛길에는 지역의 문화유산과 민담ㆍ설화ㆍ지명유래와 같은 스토리텔링이 곳곳에 녹아있다. 그동안 점으로 산재되어 소외되었던 문화유산을 선으로 연결하여 길을 걸으며 역사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평해대로[관동대로]
조선시대에서 사용된 6대로 중 주요 간선도로의 하나로 서울에서 경기도 동부를 통과하여 강우너돠 강릉을 지나 동해안의 해안성을 타고 평해까지 잇는 최단거리의 노선을 '평해로' 또는 '관동대로'라고 불렀다. 이도로는 현재 경기도의 행정구역상으로 구리, 남양주, 양평을 경유한다.
평해로는 관동대로라는 별칭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관동지방인 강우너도와 한양을 연결해주던 길이다. 평해로는 단종이 영월로 유배를 가며 걷던 길이고, 신사임당이 어린 율곡을 데리고 한양으로오던 길이며, 원주 원님을 비롯한 관동지방 각 군·현에 부임한 관리들이 원주 감영을 거쳐 한양을 오가던 길이다.
임진왜란과 6.25 동란 때에 치열한 격전지였으며, 구한말에는 을미·정미의병의 본거지이기도 했다. 또한 이길을 통해 영동·영서의 선비들이 과거를 보러 다녔고, 등짐과 봇짐을 진 행상인들과 우마차가 끊임없이 지역 생산품을 실어 날랐다. 이렇듯 평해로는 역사와 문화의 자취가 쌓여있는 길이며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이 스며있는 길이다.
평해로는 강과 산, 들판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전원 풍경을 만낄할 수 있는 길이다.
평해길
경기도는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 (재)경기문화재단과 함께 평해대로의 옛 노선능 연구 고증하고 그 원형을 바탕으로 하여 평해길을 조성하였다. 다만 옛길의 멸실, 각종 도로에 의한 노선 단절, 도보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 구간 등을 대체할 대체로를 개척하여 관동대로를 따르는 역사문화 도보탐방 평해길 125km를 새롭게 개통하였다.
옛길 안내표식
<평해길 인증 신청하기>
1. 경기옛길 홈페이지로 신청하는 방법(www.ggcr.kr)
스탬프 용지의 사진을 찍어 홈페이지 '완주인증' 을 통해 첨부
2. 스탬프 용지를 아래 주소로 우편 발송(확인 후 반환함)
보내실 곳 : (우16488)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로 178, 4층 문화유산팀(경기옛길센터)
※ (주의) 우편접수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완주 기록 제공은 되지 않습니다.
3. 스마트폰에 ‘경기옛길 앱'을 설치
출처: 경기옛길 가이드북&패스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