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命을 보기 위한 천간의 구조
사주팔자를 본다는 것은 지지 속에 내장된 지장간의 관계 변화를 본다는 것이다.
관계 변화를 보기 위해서는 천간의 글자를 보아야 한다.
각 글자마다 임무와 용도를 먼저 파악하고 필요한 글자가 있어 할 일이 생겨 살판 나는 지 ,
필요한 글자가 없어 할 일이 없는지, 필요한 글자를 못 쓰게 방해하는 지를 살펴서 글자들 간의 관계 변화를
아래와 같이 자연현상을 느끼는 그대로 판단하여 해석 하면 되겠습니다.
※땅 위에 있는 사람의 命을 보기 위한 천간의 물상 정리
[자라는 구조]
甲 : 큰나무, 소나무
乙 : 꽃, 잔디, 잡초, 넝쿨
[키우는 구조]
丙 : 태양, 빛
戊 : 큰 산, 제방(물길을 막는다)
己 : 길가. 정원, 논 ,밭, 평평한 땅
庚 : 원광석, 가공 안된 보석, 도끼, 바위, 서리, 우박, 열매, 돌
辛 : 보석, 우박, 서리
壬 : 음용수, 깨끗한물, 큰 물(바다. 호수) 강물, 마당발
癸 : 빗물(오염성), 얼음물(고인 물) , 탁한 물
[태우는 구조]
丁 : 용광로, 열, 태운다(寅卯辰巳午未申酉), 난방(戌亥子丑)
▶▶▶천간 글자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는 각각 제 임무나 용도가 있는데
甲목 乙목은 자신이 생명체 이므로 성장의 주체이다,(자라야 됨)
丙~ 癸 까지 나머지 글자들의 임무는 甲목 乙목을 키워내는데 필요한 요소들이다.
단 丁화는 다르다. 불을 태우는 관점으로 보아야 한다. (용광로, 용접, 태우는 것)
첫댓글 감사합니다.~
天干의 구조 이해잘하고 갑니다
잘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