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을 심어 주실 때 온화하게 받아들이십시오. 그 말씀은 여러분을 구원할 수 있습니다. Wherefore lay apart all filthiness and superfluity of naughtiness, and receive with meekness the engrafted word, which is able to save your souls. —야고보 1:21. Barnes' Notes on the Bible Wherefore - In view of the fact that God has begotten us for his own service; in view of the fact that excited feeling tends only to wrong, let us lay aside all that is evil, and submit ourselves wholly to the influence of truth. Lay apart all filthiness - The word here rendered filthiness, occurs nowhere else in the New Testament, It means properly filth; and then is applied to evil conduct considered as disgusting or offensive. Sin may be contemplated as a wrong thing; as a violation of law; as evil in its nature and tendency, and therefore to be avoided; or it may be contemplated as disgusting, offensive, loathsome. To a pure mind, this is one of its most odious characteristics; for, to such a mind, sin in any form is more loathsome than the most offensive object can be to any of the senses. And superfluity of haughtiness - Literally, "abounding of evil." It is rendered by Doddridge, "overflowing of malignity;" by Tindal, "superfluity of maliciousness;" by Benson, "superfluity of malice;" by Bloomfield, "petulance." The phrase "superfluity of haughtiness," or of evil, does not exactly express the sense, as if we were only to lay aside that which abounded, or which is superfluous, though we might retain that which does not come under this description; but the object of the apostle is to express his deep abhorrence of the thing referred to by strong and emphatic language. He had just spoken of sin in one aspect, as filthy, loathsome, detestable; here he designs to express his abhorrence of it by a still more emphatic description, and he speaks of it not merely as an evil, but as an evil abounding, overflowing; an evil in the highest degree. The thing referred to had the essence of evil in it (κακία kakia); but it was not merely evil, it was evil that was aggravated, that was overflowing, that was eminent in degree (περισσείαν perisseian). The particular reference in these passages is to the reception of the truth; and the doctrine taught is, that a corrupt mind, a mind full of sensuality and wickedness, is not favorable to the reception of the truth. It is not fitted to see its beauty, to appreciate its value, to understand its just claims, or to welcome it to the soul. Purity of heart is the best preparation always for seeing the force of truth. And receive with meekness - That is, open the mind and heart to instruction, and to the fair influence of truth. Meekness, gentleness, docility, are everywhere required in receiving the instructions of religion, as they are in obtaining knowledge of any kind. See the notes at Matthew 18:2-3. The engrafted word - The gospel is here represented under the image of that which is implanted or engrafted from another source; by a figure that would be readily understood, for the art of engrafting is everywhere known. Sometimes the gospel is represented under the image of seed sown (Compare Mark 6:14, following); but here it is under the figure of a shoot implanted or engrafted, that produces fruit of its own, whatever may be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tree into which it is engrafted. Compare the notes at Romans 11:17. The meaning here is, that we should allow the principles of the gospel to be thus engrafted on our nature; that however crabbed or perverse our nature may be, or however bitter and vile the fruits which it might bring forth of its own accord, it might, through the engrafted word, produce the fruits of righteousness. Which is able to save your souls - It is not, therefore, a weak and powerless thing, merely designed to show its own feebleness, and to give occasion for God to work a miracle; but it has power, and is adapted to save. Compare the notes at Romans 1:16; 1 Corinthians 1:18; 2 Timothy 3:15. 반스의 성서 주석 그러므로 - 하나님이 자신의 봉사를 위해 우리를 낳으셨다는 사실과 흥분된 감정은 잘못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악한 모든 것을 버리고 진리의 영향에 전적으로 복종합시다. 모든 더러운 것을 버리라 - 여기서 더러운 것으로 번역된 단어는 신약성경의 다른 곳에서는 적절하게 더러운 것을 의미하며, 역겹거나 불쾌한 것으로 간주되는 악한 행동에 적용됩니다. 죄는 잘못된 것, 법을 위반하는 것, 그 본질과 경향이 악하므로 피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거나 역겹고 불쾌하고 혐오스러운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순수한 마음에게 이것은 가장 혐오스러운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러한 마음에게는 어떤 형태의 죄도 어떤 감각에 가장 불쾌한 대상보다 더 혐오스럽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거만함의 과잉 - 말 그대로 "악이 넘친다"는 뜻입니다. 도드리지는 "악의의 넘침", 틴달은 "악의의 과잉", 벤슨은 "악의의 과잉", 블룸필드는 "건방진 언동"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거만함의 과잉" 또는 악의 과잉이라는 표현은 마치 우리가 이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는 있지만, 넘치는 것 또는 불필요한 것만 버리는 것처럼 그 의미를 정확하게 표현하지는 않지만 사도의 목적은 강하고 강조된 언어로 언급된 것에 대한 그의 깊은 혐오감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는 방금 죄에 대해 더럽고 혐오스럽고 가증스러운 한 가지 측면을 말했지만, 여기서는 훨씬 더 강조된 묘사로 혐오감을 표현하고자하며 단순히 악이 아니라 악이 풍부하고 넘쳐나는 악, 가장 높은 수준의 악으로 말합니다. 언급된 것은 악의 본질을 가지고 있었지만(κακία 카키아), 그것은 단순히 악이 아니라 악이 심해지고 넘쳐나고 그 정도가 두드러진 악이었습니다(περισσείαν 페리세안). 이 구절에서 특별히 언급된 것은 진리의 수용에 관한 것이며, 가르치는 교리는 부패한 마음, 관능과 악으로 가득 찬 마음은 진리를 수용하는 데 유리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그 아름다움을 보거나,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하거나, 그 정당한 주장을 이해하거나, 그것을 영혼에 환영하는 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마음의 순결은 진리의 힘을 보기 위한 최선의 준비입니다. 그리고 온유함으로 받으라 - 즉, 가르침과 진리의 공정한 영향력에 대해 마음과 마음을 여는 것입니다. 온유함, 온화함, 유순함은 모든 종류의 지식을 얻을 때와 마찬가지로 종교의 가르침을 받을 때 모든 곳에서 요구됩니다. 마태복음 18:2-3의 주석을 참고하세요. 접목된 말씀 - 여기서 복음은 다른 출처에서 이식되거나 접목된 것의 이미지로 표현됩니다. 접목의 기술은 어디에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림으로 표현됩니다. 때때로 복음은 뿌려진 씨앗의 이미지로 표현되기도 합니다(마가복음 6:14, 참조). 그러나 여기서는 이식되거나 접목된 싹의 모습 아래에 있으며, 그것이 이식된 나무의 원래 성격이 무엇이든 간에 자체적으로 열매를 맺습니다. 로마서 11:17의 메모를 비교해 보세요. 여기서의 의미는 복음의 원리가 우리의 본성에 이렇게 접목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우리의 본성이 아무리 비뚤어지거나 비뚤어진 것이라도, 또는 그것이 스스로 맺는 열매가 아무리 쓰라리고 사악하더라도, 접목된 말씀을 통해 의의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단지 자신의 연약함을 보여주고 하나님이 기적을 일으키실 기회를 주기 위해 고안된 약하고 무력한 것이 아니라, 능력이 있고 구원하기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것입니다. 로마서 1:16, 고린도전서 1:18, 디모데후서 3:15의 주석을 비교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