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노동시장 정보, 찾지 말고 추천받자! |
-➊연령대별 선호 일자리 추천 신설, ➋민간취업포털 일자리 정보 추천 확대 및 ➌임금, 자격, 재취업 경로 등 맞춤형 노동시장정보 제공 강화 |
올해 6월부터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는 「고용24」에서 자신의 경험과 경력, 연령에 적합한 맞춤형 일자리를 추천받고 진로탐색‧경력설계에 중요한 임금, 자격, 재취업 경로 등의 풍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AI 일자리 매칭) 연령대별 선호 일자리 추천 신설 및 AI 추천 정보 확대 】
구직자의 온라인 행동데이터와 직무역량 분석을 기반으로 맞춤형 일자리를 추천해주는 ‘AI 일자리 매칭*’은 ’20년 7월 서비스 개시 이후 연간 1,300만건이 넘는 맞춤형 일자리를 추천하고 지난 4년간(’20.7.~’23.) 20만명이 넘는 구직자에게 일자리를 찾아줬다.
*AI 일자리 매칭은 딥러닝 기술(DeepFM)과 행동‧직무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맞춤형 일자리를 추천하는 서비스로 프랑스, 벨기에 등 대다수 OECD 국가에서도 서비스 중
올해 6월부터는 「고용24」를 통한 나만의 맞춤서비스(‘마이페이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연령대별 선호 일자리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 일자리 추천 서비스를 추가해 20대는 희망직종, 30~40대는 희망직종과 임금, 50~60대는 희망지역을 중심으로 나와 동일한 연령대의 구직자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정보도 추천받을 수 있게 된다.
*’23년 워크넷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 실시(응답자: 2,380명)
【 연령대별 선호 일자리 추천 】 |
연령대 | 선호 일자리 형태 |
20대 | ▪구직자 희망 직종별 인기 일자리: 희망직종 기준 20대 구직자들이 많이 열람한 일자리 |
30~40대 | ▪구직자 희망 직종별 임금 좋은 일자리: 희망직종 기준 임금이 높은 일자리 |
50~60대 | ▪구직자 희망 근무지역별 인기 일자리: 희망지역 기준 50‧60대 구직자들이 많은 열람한 일자리 |
또한 ‘AI 일자리 추천’에 활용하는 일자리 정보도 현재 워크넷 및 민간취업포털 정보기술(IT) 직종에서 민간취업포털 전 직종으로 10월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해 구직자가 공공과 민간의 일자리 정보를 빠짐없이 추천받을 수 있게 된다.
【 (잡케어) 노동시장 정보 추가 제공 (현재 8종 → 13종, 5종 추가) 】
전 생애에 걸친 경력단계에서 진로탐색‧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으로 ➊직무역량 분석, 직업탐색에 필요한 ➋노동시장 정보 및 ➌맞춤형 일자리‧직업훈련‧자격을 추천하는 ‘잡케어 서비스’는 지난해부터 대국민 서비스 개방 이후 연간 8만 7천명이 진로탐색과 설계에 이용했다.
특히 올해 6월부터는 그간 워크넷 구인‧구직 정보를 중심으로 제공하던 노동시장 정보를 고용보험 정보까지 확대(8종 → 13종)해 구직자들이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궁금해하는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국민용 잡케어 서비스 노동시장 정보 】 |
구분 |
| 기존(8종) | + | 추가(5종) |
|
|
|
임금 | •없음 | •직종별 근속연수에 따른 보수총액 변화 •직종별 최근 3년간 취득임금과 제시임금 차이 |
|
|
|
일자리 | •지역별 구인‧구직 | •직종별 재취업 동향 |
|
|
|
자격증 | •직종별 자격증 수요 TOP5 •TOP5 자격증의 연도별 수요 변화 •자격증별 구인직종 TOP5 | •직종별 재직자 보유 자격증 TOP5 •직종별 재직자 신규 취득 자격증 TOP5 |
|
|
|
직업훈련 | •직업훈련 분야별 수료자 및 취업률 |
|
|
|
|
학력전공 | •직종별 학력 요구 분포 •직종별 전공 요구 분포 |
|
|
|
|
연령 | •직종별 신규 취득자 연령분포 |
|
예를 들면, 기존의 잡케어에서는 임금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앞으로는 구인기업의 제시임금과 실제 취업 후 취득임금 차이, 희망직종에 취업한 후 근속기간이 증가함에 따른 보수정보 변화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진로나 직업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편도인 고용지원정책관은 “최근 온라인‧디지털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는 만큼 앞으로도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를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해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