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장어 치어 양식장 사업에 대해 좋은 정보 부탁드립니다..
주변에 아시는 분이 해수부에서 창업지원센터 업무를 보는 분이 있는데..
정부에서 창업 지원금을 지원 하면서 양만업 지원한다고 하는데...
"세계적으로 자원이 격감하고 종묘수급이 어려운 양만사업의 지속적인 발전 방향과 자원관리 및 보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차원에서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창업지원을 정부에서 하고 있더군요.."
과연 치어 1마리 0.2g 당 8,000원 정도 하는 이 시점에서 이 사업을 시작해도 될 것인지....
혹시 현재 장어 양식 사업을 하시는 분께서 좋은 조언 부탁드려요..
향후 2020년 까지 민물장어 대량생산기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정부의 방침이 있네요...
첫댓글 어느지역이신가요?
이제 양만장 시작하는 초보입니다
의견 나눠보고 싶습니다 ^^
나주 지역 입니다...
작년 치어값은 5-7000원 정도였는데 올초에 들어온 자포니카치어값은 1-2000원대로 많이
떨어졌어요. 민물장어는 종묘를 인공부화할수가 없어서 많이 잡히면 값이 떨어지고 적게
잡히면 가격이 오름니다.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창업자금이란것은 이해가 안되며 현재로는 대량생산 기술이
부족한 걸로 압니다.
보다 신중하게 생각하시고 자금도 많이 필요합니다.
민물장어 치어 종묘생산은 40년이상 연구를 계속한 일본에서도 완전양식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일부 성공한것은 있으나 200마리 내외의 성공으로 산업적 성공이 아닌 실험실에서의 성공이며, 국내에서는 아직 부화 후 150일 이상 정상사육이 불가능한 실정입니다. 한마디로 지금기술로 불가능한 사업을 구상하시는 것이니 말리고 싶네요
참고로 저는 수산생물양식과 관련 석사학위 소지자 입니다.
절대 빈말 아니니 뱀장어 종묘생산 손도대지 마십시요,
그리고 수산생물 종묘생산은 농사와 다르게 한번 실패하면 손실이 막대합니다. 그러므로 최초 접근을 신중하게 하시는게 필요할것 같습니다.
저희 남편도 생각하고 있던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그리고 혹시 갯지렁이 양식에 대해서도 알고 계신지요?
@오복다복 갯지렁이는 국내에서 산업적으로 가능성이 있는것이 두종 입니다. 하나는 혼무시(참갯지렁이), 다른 하나는 청거시(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라는 것이구요, 청거시는 보통 도매단가 키로에 이만원정도 하고 있으며, 혼무시는 키로에 오만원에서 비쌀때 칠만원까지 합니다. 청거시 종묘생산이 조금 수월하고(알과 정자를 수중에서 낳습니다), 혼무시는 조금 어렵습니다(수정 후 알을 뻘속에 있다가 지가사는집 입구 주변에 낳습니다) 두개다 전문적인 기술이요구되며, 이미 산업적으로 생산을 하시는 분들이 몇분 계시는데 제가 아는바로는 진도에서 종묘생산을 하고있는 여수출신 김사장님(아는분이지만 개인신상 관련이라)만 유일한 정도입니다.
배고파님에 한표
@배고파 감사합니다
듣던거랑 많이다른가봐요
키로십만원인데 그것도 없어 못판다고 하던데 맞는말이 아니었군요
그러면 혹시 추천하실만한 종목이있을까요?
현실성있는 것으로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여건이 좋다면 뱀장어 양식도 괜찮은듯하네요
저도 관심있어여
20년전쯤에 낙동강하구에서 치어를 구입해서 양식장을했는데 태풍오니까 온데간데없어지더이다
연구 많이하셔야될듯 성공하면 대박이겠지요
글쎄요 뱀장어 부하 라는 의미가 가능하다면 그보다 더 좋은 사업은 없겟죠
저는 일본에서 뱀장어 고밀도 양식 을 배워서 국내에서 약 10 여년간 고밀도 뱀장어 양식을
양식기술자 로 근무하다 지금은 바다에서 해산어 양식을 하고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말씀 드릴수있는것은 일본에서 배운 고밀도 양식시설 과 재래식 시설에서
장점만 골라서 시설하여 양식한다면 정말 좋은 경제적인 시설에서 뱀장어를 생산할수있을것 같습니다
혹 뜻 있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제가 시간있는것은 2월 뿐입니다
3월부터는 제 본업 을 하기때문입니다
신중히 생각 하세요.
지금은 수입 다변화로 국내 양만업자들이 어려움을 격고 있습니다
저는 수입산 치어를 국내에 공급한 적이 있습니다
국내산 자포니카는 4.000~5.000원 정도 합니다
북미산(캐나다.미국)은 1.000원 정도 합니다
자포니카가 잘크고 가격도 좋습니다
실뱀장어는 1kg에 보통 5.500마리 정도 되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