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성균관대) 신분으로 조사에 참여하고 있던 김성태(현 기전문화재연구원 연구실장)가 필자에게 달려왔다. 무덤 속에 퇴적돼 있던 흙더미 속에서 범벅이 되어 꼭 남근같은 유물 하나를 들고 나왔다.
◇무덤에서 웬 남근이?=1986년 7월18일. 경주 용강동 폐고분을 발굴중이던 경주고적발굴조사단은 3일째 무덤내부에 쌓여 있는 흙을 제거하고 있었다. 그러다 얼핏 보아 남우세스럽게 생긴 유물을 발견한 것이다.
“이상한데. 흙을 잘 털어보도록 하지”. 마음이 찜찜했다. 무덤 속에 무슨 남근이란 말인가. 그 망측스럽게 생긴 유물을 물로 씻었으나 그건 실수였다. 그 과정에서 색칠한 일부분이 벗겨져 나간 것이다. 어쨌든 흙을 걷어내자 모습을 드러낸 유물은 남근이 아니었다. 그건 놀랍게도 목이 없어진 여성인물 토용(土俑·흙으로 빚어 구워만든 사람 인형)이었다. 통통한 몸매에 주름치마를 입은 모습. 앞면에는 붉은 칠까지 되어 있었다. 조사원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모두들 깜짝 놀랐다. 전혀 생각하지 않았던 유물이 발견됐기 때문이었다.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지금까지 이러한 인물토용이 발굴된 예가 없었다. 그걸 남근이라고 생각했으니…. 모두들 객쩍은 농담을 해댔다. “아이고. 정말 X도 모르면서 X이라고 했네”
농담도 잠깐. 비상이 걸렸다. 먼저 달아난 목을 찾아야 했다. 부러진 목을 누가 가져갈 리도 없으니 반드시 주변에 있을 것이었다. “단장님 빨리 들어와 보세요”. 무덤내 흙을 제거하던 신창수(현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장)의 목소리가 다급했다. “뭐야”. 무슨 사고인가 해서 달려갔는데 정말 상상도 할 수 없는 광경이 눈 앞에서 펼쳐지고 있었다. 사람 모습의 토용(土俑) 몇 개와 돌로 만든 머리받침인 석제두침(石製頭枕) 등이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었다.
◇목없는 신라여인의 흙인형=이같은 인물 토용들이 무덤내의 시체를 안치하는 시상(屍床) 앞에 여러 점 모여있는 것은 처음이었다. 비록 작은 크기의 토용들이지만 무덤 내에 들어오는 악귀라도 쫓아낼 모습으로 우뚝 서있었을 터였다. 이렇게 세상에 알려진 통일신라시대 무덤이 바로 용강동고분(龍江洞古墳)이다. 현재 이 무덤은 아파트 숲 속에 들어가 있지만 잘 정비된 모습으로 보존되고 있다. 그런데 이 무덤은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용강동 마을에서는 개무덤·말무덤·고려장으로 전해오고 있었다. 더구나 여러차례 도굴된 무덤은 주변 경작지의 객토를 위한 흙 채취에 사용되어 파괴됐고, 생활쓰레기까지 버려진 전형적인 폐고분이었다.
그런데 이 무덤은 신라문화동인회가 “신라시대 어느 왕의 무덤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함으로써 세인의 관심을 얻게 되었다. 동인회원들은 1977년부터 주변 민가에 이용된 석재들이 분명 이 무덤에서 캐낸 것이라고 판단했다. 회원들은 발굴조사를 통한 고분정비가 시급하다는 점을 당시 문화재관리국에 끈질기게 건의했고, 79년 발굴조사계획이 수립됐다. 하지만 곧바로 들어선 전두환 정권의 정부기구축소 작업으로 경주사적관리사무소가 1980년 11월 폐쇄됨에 따라 조사계획이 증발되고 말았다.
◇향토사학자들이 찾은 신라귀족무덤=그로부터 6년이 흐른 1986년 5월. 당시 이원홍 문화공보부장관이 경주를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이장관은 당시 경주고적발굴조사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황룡사터 발굴현장을 방문했는데 엉뚱하게도 정양모 국립경주박물관장이 용강동 폐고분 발굴문제를 건의했다. ‘건의’는 박물관장이 했는데 ‘일’은 경주고적발굴조사단장으로 신라왕경발굴에 전력하고 있는 필자에게 떨어졌다.
신라왕경 유적발굴에 정신이 없던 필자로서는 떨떠름한 과제였다. 사실 그 당시의 상황에서 폐고분을 발굴할 필요성은 별로 없었다. 또한 시간적 여유도 없었다. 그러나 장관의 지시인 만큼 발굴을 위한 사전답사에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사전조사 결과도 ‘그다지 큰 효용가치는 없음’이었다. 다만 경주지역의 평지에 마련된 석실고분을 조사한 예가 없으니 이 폐고분을 발굴하면 신라시대 무덤연구에는 좋은 자료가 될 것만은 분명했다. 그래서 단순히 경주고적 발굴조사단의 조사원 일부를 파견해서 짧은 시간에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1986년 6월16일, 발굴조사를 위한 간단한 개토제를 지냈다. 그런데 갑자기 날씨가 흐려지면서 엄청난 양의 소나기가 내리기 시작했다. 무덤을 헐어낸다고 하늘이 노한 것인가. 그때까지 수많은 개토제(죽은 자의 유택을 헐어버리니 용서를 구한다는 제사)를 해왔지만 그날처럼 많은 비를 맞은 건 처음이었다.
그렇게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던 발굴조사는 통일신라의 인물토용 발견으로 대미를 장식한 것이다. 우리 눈앞에 살아 숨쉬듯 환생한 토용들. 신라고분 발굴사상 최초의 출토였기에 ‘最初, 最古’에 민감한 언론을 흥분시켰다. 발굴현장에서 유물을 공개하기로 하자 서울의 모든 일간신문 문화부 기자들이 한 사람도 빠짐없이 용강동 현장으로 달려왔다.
한갓 쓰레기장이었던 용강동 폐고분은 이렇게 뉴스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되었다. 개무덤이라고 해서 마을에서까지 천대받던 고분이 일약 ‘신라 귀족급 이상의 무덤’으로 화려하게 부활하는 순간이었다.
◇경찰감식반까지 동원된 지문감식=그런데 더욱 놀라운 일은 인물토용 출토 후 조사과정에서 손마디 크기에 지나지 않은 청동제 12지신상이 7점이나 출토된 것. 결국 이미 여러차례 도굴로 많은 유물이 없어졌겠지만 도굴꾼들은 인물토용 및 12지시상의 가치를 몰라서 내버려둔 것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이 고분엔 인물토용보다 더 중요한 유물들이 수북이 쌓여있었다는 얘기가 아닌가.
어쨌든 무덤에서 출토된 인물토용은 남성상 15점·여성상 13점이었고 그밖에 토제의 말 3점과 파편 그리고 토기 등이었다. 그런데 최초 발견 때 남근으로 오해했던 여성 토용의 머리부분은 결국 무덤내 어디에서도 찾지 못했다. 도굴꾼들이 유물을 쓸어갈 때 함께 휩쓸려 들어간 것일까.
아무튼 출토된 이들 인물토용에 표현된 복식과 색상을 검토한 결과 무덤의 주인공은 진골(眞骨) 이상의 상층 귀족 계급자이였음을 밝혀냈다. 발굴된 치아는 20세 미만 사람의 이빨(齒牙)로 감정됐다. 함께 출토된 어깨받침돌인 견좌석(肩座石)의 폭이 34㎝에 지나지 않는다. 이로 보아 진골계급 젊은 사람의 무덤이 아닐까. 견자의 폭이 좁은 것으로 보아 성인남성이 아니라 여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부 토용들의 옷이 비색(緋色·붉은 비단색깔)을 띠고 있었다. 이는 이 토용들의 신분이 육두품 아찬급(阿●級)이라는 뜻이다. 신라 17등관제와 공복제도에 따르면 진골이상은 자색(紫色)이며 6두품(6위 아찬~9위 급찬까지)은 비색이었다. 한가지 여담은 토마(土馬)의 말안장 안쪽에서 당대 도공의 흔적인 지문이 확인됐다는 점. 서울시 경찰국 감식반까지 내려와 지문을 감식했다. 그 결과 토마에 묻은 ‘소용돌이 돌기형’의 지문은 ‘예술가에 자주 보이는 지문’이라는 소견을 냈을 뿐. 어쨌던 이것은 가장 오래된 지문임이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