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이익의 붕당론] <곽우록에서> 붕당은 싸움에서 이기고, 싸움은 이해 관계에서 생긴다. 이해 관계가 절실하면 붕당이 깊어지고, 이해 관계가 오래될 수록 붕당이 견고해지는 것은 당연한 형세이다. 그렇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 열 사람이 함께 굶주리고 있는데, 한 그릇의 밥을 같이 먹게 되면 그 밥을 다 먹기도 전에 싸움이 일어날 것이다. …… 조정의 붕당도 어찌 이와 다를 것이 있겠는가?……… 이 밖에도 벼슬길이 분분하게 많으니, 이것이 이른바 관직은 적은데 과거에 응시한 사람은 많아서 모두 조처할 수 없다는 것이다. ……
올리신 문제에서 보면 '여러 붕당이 형성되어 정쟁이 전개되었다' 16세기 후반의 상황을 묻는 것입니다. 3번지문의 양반수증가와 양반계층분화는 17세기 이후의 일입니다. 문제에서 요하는 것은 근본문제를 묻는 문제입니다. 또한 어느 시기의 붕당인가도 보셔야합니다. 답글에 올리신 붕당은 숙종이후의 내용으로 17세기 후반이죠. 이때 붕당은 서인과 남인의 싸움이었습니다(2개뿐이라 여러붕당이라고 하지않습니다.). 참고로 위 문제는 '김윤수'선생님이 강의때 답을 2번이라고 한 문제입니다.
효종때~현종때 붕당은 상대를 인정해주는 건전한 풍토에서 서로 경쟁을 해왔습니다. 그러다 붕당은 점점 격화되고 상대당을 인정하지 않는 모습으로 변모했고, 아울러서 사회의 변화로 인한 급격히 늘어난 양반수와 그에 비해 모자란 관직의 자리때문에 붕당은 더욱 격화되고 일당전제화가 심해져 가는 것입니다. 양반수증가와 관리수의 부족은 붕당이 전개되어 변질되는 과정에서 또 하나의 정쟁을 악화시킨 요인이 될 뿐 붕당의 근본요인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첫댓글 2번이여,/// 이유는 7차 국정교과서에 보면...왕권의" 약화"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교과서가 정의하면 그게 답입니다 학설 안통합니다..개인적인 의견역시 안통합니다..수험한국사의 기준은 교과서입니다(국정+ 검인정)
붕당과 당쟁의 정확한 개념모르면 답 3번 냅니다, 3번은 당쟁의 원인입니다...
당쟁과 정쟁의 차이가 멉니까?? 비슷한 말 같은데..붕당하고 정쟁 차이는 알겠는데
저도 3번 같네요. 양반 수가 증가하면서 관직쟁탈하기 위해 학연과 지연으로 뭉침.
나무님...3번이라고 얘기한 사람 "위에" 없어여.ㅋㅋ 교과서좀 보세여..
글쓰신분, 정확한 답 뭐에요? 양반수 증가와 이조전랑직 다툼이 원인 아닌가요? 1번일듯
답 3번이네요 다른곳에서도 비슷한 문제들이 나오네요.. 근디 교과서에 정말 2번으로 나오나요??
답2번입니다. 붕당의 출현은 선조때부터 보셔야 합니다. 숙종때는 붕당의 변질(일당 전제화입니다.) 3번의 내용은 붕당전개 이후의 일입니다. 붕당이 전개된 이유로 교과서는 왕권의 약화, 비변사기능의 강화로 나오고, 다른 의견으로는 성리학의 심화로 보는 설도있습니다.
질문에서 붕당이 형성되어 정쟁(정치적투쟁=당쟁)이 시작된 근본원인을 물어보는것인데 당연 양반수증가 및 제한된관직아닌가요?? 제가 보기에는 2번은 붕당 정치의 출현배경같네요(1.영반들의 양극화 심화 2.성리학융성 3.척신정치의 잔재청산-훈구파 척결에 관한 이해차이 4.왕권약화등 )
참고) [이익의 붕당론] <곽우록에서> 붕당은 싸움에서 이기고, 싸움은 이해 관계에서 생긴다. 이해 관계가 절실하면 붕당이 깊어지고, 이해 관계가 오래될 수록 붕당이 견고해지는 것은 당연한 형세이다. 그렇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 열 사람이 함께 굶주리고 있는데, 한 그릇의 밥을 같이 먹게 되면 그 밥을 다 먹기도 전에 싸움이 일어날 것이다. …… 조정의 붕당도 어찌 이와 다를 것이 있겠는가?……… 이 밖에도 벼슬길이 분분하게 많으니, 이것이 이른바 관직은 적은데 과거에 응시한 사람은 많아서 모두 조처할 수 없다는 것이다. ……
올리신 문제에서 보면 '여러 붕당이 형성되어 정쟁이 전개되었다' 16세기 후반의 상황을 묻는 것입니다. 3번지문의 양반수증가와 양반계층분화는 17세기 이후의 일입니다. 문제에서 요하는 것은 근본문제를 묻는 문제입니다. 또한 어느 시기의 붕당인가도 보셔야합니다. 답글에 올리신 붕당은 숙종이후의 내용으로 17세기 후반이죠. 이때 붕당은 서인과 남인의 싸움이었습니다(2개뿐이라 여러붕당이라고 하지않습니다.). 참고로 위 문제는 '김윤수'선생님이 강의때 답을 2번이라고 한 문제입니다.
님아 여러붕당이 형성되었다 라는것은 16세기말부터 17세기말까지(노론의 일당전제화) 볼수있는게 아닌가요? 그리고 국정교과서에 왕권약화와 비변사 강화는 붕당정치의 발달배경이고 정쟁의 발달은 양반수의 증가 및 제한된관직으로 나와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효종때~현종때 붕당은 상대를 인정해주는 건전한 풍토에서 서로 경쟁을 해왔습니다. 그러다 붕당은 점점 격화되고 상대당을 인정하지 않는 모습으로 변모했고, 아울러서 사회의 변화로 인한 급격히 늘어난 양반수와 그에 비해 모자란 관직의 자리때문에 붕당은 더욱 격화되고 일당전제화가 심해져 가는 것입니다. 양반수증가와 관리수의 부족은 붕당이 전개되어 변질되는 과정에서 또 하나의 정쟁을 악화시킨 요인이 될 뿐 붕당의 근본요인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그럼 님아 정쟁의 근본원인이 붕당정치의 발달배경인 왕권약화와 비변사강화라고 생각하시나요? 제가 보기엔 2번보다는 3번이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쉽게생각해봐요 왜 싸울까요??1.왕권이 약해서 2.자기 밥그릇을 위해 -왕권약화는 정쟁의필요요건이지 충분요건은 될수없습니다.그리고 정쟁의 시작은 이조전랑자리싸움에서 부터시작합니다. 마지막로 네이버에서 찾아보면 알겠지만 정쟁의 근본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제한된관직및 양반수 증가로 나옵니다.붕당정치의 발달배경을 당쟁의 근본원인으로 주장한는 것은 거의 찾아보기 힘드네요. 붕당정치하고 당쟁하고 구별할필요가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