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포의 새벽 편지-569
천자문186
동봉
0657비로소 숙俶
0658실을 재載
0659남녘 남南
0660이랑 묘畝
추짜이난무俶载南亩Chuzainanmu
-바야흐로 들녘에서 농사를짓되-
(찰기장과 메기장을 나는심으리)
0657비로소 숙俶
비로소 숙/기재 있을 척으로 새깁니다
비로소 숙俶 자는 꼴소리形聲문자이니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과 더불어
소릿값인 아저씨 숙叔이 합하여 된 글자입니다
아저씨 숙叔은 아재비 숙叔이라고도 하며
오른쪽 또 우又자를 생략尗하더라도
여전히 아저씨고 아재비입니다
아저씨 아재비는 우리말이니 다 아시겠지요
난 이 아저씨 숙/아재비 숙尗 자를 보면
왜 150년 전 멘델의 유전법칙을 발표한
유전학의 아버지 그레고어 멘델(1822~1884)의
완두콩이 생각나는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어쩌면 아저씨 숙/아재비 숙尗/叔자가
콩 숙菽/叔/尗자와 같이 쓰이는 까닭이겠지요
아프리카 탄자니아 킬리만자로에 있을 때
이웃집 데이비드 민자Minja가 놀러왔습니다
민자라는 성은 탄자니아 사람들 중에는
우리의 김씨 이씨만큼 흔한 성의 하나입니다
데이빗은 열성적으로 성당에 다니고 있었는데
그의 손에는 완두콩이 들려있었습니다
그가 내게 완두콩을 내밀며
"마스터! 은제게레njegere 은제게레!"
"이게 은제게례(완두콩)라고? 그래, 그런데?"
데이빗은 내게 멘델 신부님을 소개했습니다
완두콩을 통해 생명의 유전자를 발견한
멘델의 이야기를 얘기해주었습니다
겨우 초등학교Shule ya mshingi 다녔다면서
데이빗은 멘델의 유전자 법칙을 얘기했습니다
그러면서 자기가 가장 존경하는 신부님이
바로 그레고어 멘델 신부님이라 했습니다
나는 그길로 주도州都인 모시moshi에 나가
몐델에 관한 책을 샀습니다
함께 간 데이빗이 옆에서 도와주었습니다
영어는 물론 스와힐리어에도 깜깜인 내가
책 내용을 소화한다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데이빗은 한 줄 한 줄, 한 장 한 장 읽어가며
내게 내용을 이해시키려 애썼습니다
스와힐리어 책은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면서
데이빗이 스와힐리어로 설명하는 것은
나름대로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거 아시는지요
외국에 나갔을 때 현지에서 사귄 친구가
다른 사람의 말을 다시 풀어 이해시킵니다
따지고 보면 같은 현지어인데도 불구하고
사귄 친구의 말은 아무튼 알아듣거든요
언어는 말 이전에 마음이라는 게
명언으로 먹혀들어가는 완벽한 증명입니다
내게는 데이빗이 그런 친구였습니다
나의 '완두콩 사랑'은 거기서 시작되었습니다
먹는 완두콩이 아니라 완두콩에 얽힌
소중한 유전자 이야기에 다시 눈을 떴습니다
나는 그때 소리를 질렀습니다
유레카eureka! 유레카! 아으! 유레카!
'비로소 숙俶' 자로 새길 경우
1. 비로소
2. 비롯하다
3. 정돈하다
4. 움직이다
5. 착하다의 뜻이 들어있고
'기재있을 척俶'으로 새길 경우
1. 기재奇材 있다
2. 뛰어나다의 뜻이 들어있습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로는
倜 : 기재 있을 척/어긋나게 뻗을 주가 있습니다
0658실을 재載
실을 재/'떠받들 대'로 새겨지고 있습니다
수레거車 부수의 실을 재載는 꼴소리문자입니다
일 재縡 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왜냐하면 재載도 일 재載로 새기는 까닭입니다
뜻을 나타내는 수레거車 부수와
소릿값이면서 올려 놓다의 뜻을 지닌 글자
실을 재載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레 위에 물건을 싣는다는 뜻이지요
담겨 있는 뜻은 실로 엄청납니다
하긴 수레車가 아무리 많이 싣는다 해도
지구土의 실음載에 비하면 미미하지만~
실을 재載 자에 지구土가 들어있고
무기戈가 함께하는데 한 번 풀어볼까요
지구土 위를 수레車가 달리고 있고
그 수레 위에 무기戈가 실린 게 재載입니다
싣다, 오르다, 올라 타다, 맡다, 처하다, 있다
머리에 이다, 물건을 머리 위에 얹다
행하다, 시행하다, 비롯하다, 개시하다
진설하다, 갈무리하다, 이루다, 완성하다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위에 차려 놓다
물건 따위를 잘 정리하거나 간수하다
알다, 가득하다, 지니다, 휴대하다 등이 있고
기록하다, 등재하다, 쌓다, 더하다, 세우다
일구다, 경작하다, 꾸미다, 일, 사업
해, 년年, 화, 탈것, 재앙, 거듭, 비로소
흙담을 쌓을 때 양쪽에 세운 널로 된 틀
담 틀과 같은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이 외에 '떠받들 대載'자로 새길 경우
'떠받들다'의 뜻이 들어있습니다
재載는 십진법, 십의 자승十自乘에서 쓰는
급수級數, 곧 수數의 단위 중 하나입니다
극極(10^48)의 아래에 해당하고
정正(10^40)의 위에 해당하는 수로서
다시 말해 극極의 만분의 1이고
정正의 만 배에 해당되는 숫자입니다
곧 10^44승이 재載에 해당합니다
자연수 뒤로 0이 44개가 붙는다는 뜻입니다
수의 단위 중 플러스 자리를 한 번 보실까요
일, 십, 백, 천
만, 십만, 백만, 천만
억, 십억, 백억, 천억
조, 십조, 백조, 천조
경, 십경, 백경, 천경
해, 십해, 백해, 천해
자, 십자, 백자, 천자
양, 십양, 백양, 천양
구, 십구, 백구, 천구
간, 십간, 백간, 천간
정, 십정, 백정, 천정
재, 십재, 백재, 천재
극, 십극, 백극, 천극
항하사, 십~, 백~, 천~
아승지, 십~, 백~, 천~
나유타, 십~, 백~, 천~
불가사의, 십~, 백~, 천~
무량대수, 십~, 백~, 천~
그리고 천무량대수 10곱절이 1겁劫입니다
나는 이게 무척 길다고 느껴져
외우기 쉽게 '수의단위송'을 만들었습니다
칠언절구七言節句 28자입니다
구구단보다 짧으면서 10^75승까지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게송이지요
나는 요즘도 진언을 외듯
이 수의단위송을 중얼대곤 합니다
나의 '수의단위송'을 여기에 소개합니다
-----♡-----
일십백천만억조一十百千萬億兆
경해자양구간정京垓秭穰溝澗正
재극항사아승지載極恒沙阿僧祗
나유불가무량겁那由不可無量劫
-----♡-----
그럼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겁의 길이
56억7천만 년과 다른 것일까요?
그렇습니다.
겁설에는 2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56억 7천만 년설과
수의 단위에서 10^72승乘설이 있습니다
겨자겁 반석겁 따위는 앞의 것입니다
이왕이면 마이너스 수의 단위도 볼까요
청정 0.0000000000000000000001
허공 0.000000000000000000001
공덕 0.00000000000000000001
찰나 0.0000000000000000001
탄지 0.000000000000000001
순식 0.00000000000000001
수유 0.0000000000000001
죽순 0.000000000000001
모호 0.00000000000001
막 0.0000000000001
묘 0.000000000001
애 0.00000000001
진 0.0000000001
사 0.000000001
섬 0.00000001
미 0.0000001
홀 0.000001
사 0.00001
모 0.0001
리 0.001
푼 0.01
할 0.1
일 1
십 10
백 100
천 1000
만 10000
억 100000000
조 1000000000000
경 10000000000000000
해 100000000000000000000
자 1000000000000000000000000
양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일一에서 양穰(10^28승)까지는
이해를 돕기 위해 덤으로 올린 것입니다
마이너스 단위에는 눈에 익은 게 있습니다
해탈주解脫呪에 나오는 용어들이지요
여기서 공덕은 -10^20除고
허공은 -10^21제며
청정은 -10^22제입니다
생각보다 머리가 지끈지끈거리지 않습니까
실을 재載의 다른 꼴 같은 뜻글자입니다
载 : 실을 재/떠받들 대
縡 : 일 재
같은 뜻을 가진 한자
搭 : 오를 탑
모양이 비슷한 한자
哉 : 어조사 재
栽 : 심을 재
裁 : 마름질할 재 따위가 있습니다
실을 재載에는 수레車가 있고
간체자 재载에도 수레거车가 간체자며
어조사 재哉에는 입口이 표시되고
심을 재栽에는 나무木가 있습니다
마름질이란 옷을 디자인하는 것이기에
으레 옷의衣 자가 들어 있습니다
맑을 재渽에는 물氵이 함께하고
물이름 재溨에도 역시 물氵이 있습니다
재물 재賳에는 왼편에 재물貝이 붙어있고
짐 재儎 자에서 짐은 사람亻이 집니다
심을 재㘽에는 흙土이 있어야 하고
재앙 재烖는 불火이 났음을 경계하며
볼 재睵에는 눈目을 크게 드러내고
식초 재酨에는 발효酉식품 표시가 있으며
물들일 재䵧는 먹물黑이 함께합니다
0659남녘 남南
남녘 남/나모namo 나南 자를 보면
뒤로 북산北山을 등지고 남향南向하여
가로一 세로丨울타리를 넓게冂 치고
그 안에 많은 양羊을 기르고 있다는 뜻입니다
북반구에 사는 이들은 배북면남背北面南이지요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바라보는데
이는 해가 동에서 떠서 서로 지기까지
남쪽에서 23.5°의 사선으로 빛을 뿌려줍니다
왜냐하면 지구 기울기가 23.5°인 까닭입니다
1. 남녘, 남쪽
2. 남쪽 나라
3. 풍류 이름/아악의 이름
4. 임금
5. 벼슬 이름
6. 시체詩體 이름
7. 남쪽으로 가다
범어梵語 나모namo를 음역할 때
나무南無로 옮기면서 귀의의 뜻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현대 중국어에서도 南無는
객관적으로 난우nanwu가 읽어야겠지만
특수용어라 나모namo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0660이랑 묘畝
밭전田 자 부수의 이랑 무/이랑 묘는
꼴소리形聲문자입니다
뜻을 나타내는 밭전田 자와
소릿값을 지닌 무毋 자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랑이란 두둑지게 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밭두둑, 밭두렁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고요
전답의 면적 단위로 100평을 1묘라 했는데
이는 영어로 1에이커acre입니다
중국어 '빠이잉무百英亩Baiyingmu'는
영어의 헥토에이커Hectoacre입니다
1에이커가 4046.8m^2이니
세계 공인의 1에이커인 1224.2평과
옛날 중국의 100평 1묘는 차이가 큽니다
일설에는 30평을 1묘라 하고
300평 1단보를 10묘라 하며
3,000평 1정보를 100묘라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1헥토에이커는 1정보입니다
비록 그러하나 국제공인의 도량형과는
상당히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다른 꼴 같은 뜻글자로는
畮 : 이랑 무/이랑 묘
亩 : 이랑 무/이랑 묘
畒 : 이랑 묘/이랑 무
畆 : 이랑 묘/이랑 무
畞 : 이랑 무/이랑 묘 자가 있고
같은 뜻을 가진 한자로는
疇 : 이랑 주/누구 주
頃 : 이랑 경/잠깐 경/반걸음 규 자가 있습니다
07/23/2016
곤지암 우리절 선창에서

첫댓글 기포스님 ~!!
귀한 천자명 감사합니다
멘델의 유전자 법칙을
기회 되시면 더많은 내용 풀어 주셨으면 합니다.
수의 단위!
아~
뇌 이상으로 지끈 지끈~ 머리야
겁설 ㅡ
겨자겁 반석겁~ 이해하기 어려워요
해탈주의 허공 청정 계산법은 어떻게 하셨는지?
어매 머리야~~
기포스님의 산수 단위는
정말 대단하십니다.
스님!
일주일 중 가장 여유있는 날이 토요일입니다.
늦잠 자고 푹 쉬고 또 몸을 움직여봅니다!
좋은 법문 늘 감사드립니다.
솔직히 조금 어려운 것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