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神工鬼斧(신공귀부) 神;귀신 신, 工:장인 공, 鬼:귀신 귀, 斧:도끼 부. 귀신이 만들기라도 한 것처럼 정교하고도 영묘한 솜씨의 비유, 신공과 귀부는 모두 귀신의 솜씨를 이름.
▣ 信口開河(신구개하) 信:믿을 신, 口:입 구, 開:열 개, 河:물 하. 편대로 마주 떠들다. 생각나는 대로 지껄이다. 무책임하게 함부로 떠벌리다. 이 성구는 본래 신구개합(信口開合)으로 되어야 옳겠지만 나중에 신구개하가 되었다.
▣ 信口雌黃(신구자황) 雌:암컷 자, 黃:누를 황. 되는 대로 떠들다. 생각나는 대로 지껄이다. -유호포 광절교론, 진서 왕연전-
▣ 信及豚魚(신급돈어) 돼지와 물고기 같이 무심한 생물조차 믿어의심치 않는다는 뜻으로, 신의가 지극함을 이르는 말. -역경-
▣ 神機妙算(신기묘산) 神:귀신 귀, 機:베틀 기, 妙:묘할 묘, 算:셈할 산. 귀신같이 신묘한 계략, 명 참모가 세운 명 전략, 승산이 큰 전술이나 작전의 비유.
▣ 新凉燈火(신량등화) 新:새 신 凉:서늘할 량, 燈:등잔 등, 火:불 화. 초가을의 서늘한 기운이 처음 생길 무렵에 등화 밑에서 글 읽기가 좋다는 말.
▣ 身老心不老(신로심불로) 身:몸 신, 老:노인 노, 心:마음 심, 不;아닐 불, 몸은 비록 늙었으나 마음은 젊다는 뜻으로, 늙은이라 하더라도 젊은이 형세를 하고 싶어 함을 이르는 말.
▣ 信命者亡壽夭(신명자무수요) 信:믿을 신, 命:목숨 명, 者:사람 자, 亡:없을 무, 망할 망, 壽:목숨 수, 夭:어릴 요. 천명을 받는 자는 죽고 사는데에 관심을 갖지 않기 대문에 오래 사는 것이나 일찍 죽는 것이 문제되지 않는다는 것. -열자-
▣ 信木菌浮(신목균부) 信:믿을 신, 木:나무 목, 菌:세균 균, 浮:뜰 부. 믿는 나무에 곰이 핀다.
▣ 神目如電天聽如雷(신목여전천청여뢰) 神:귀신 신, 目:눈 목, 如:같을 여, 電:번개 전, 天:하늘 천, 聽:들을 청, 雷:우뢰 뢰. 귀신의 눈은 번개와 같고 하늘이 듣는 것은 우뢰와 같다. 어두운 방 안에서 제 마음은 속일 수 있지만, 귀신의 눈으로 볼 때는 번개와도 같이 밝게 보이고, 사사로이 하는 말일지라도 하늘이 들을 때는 천둥소리처럼 크게 들린다는 것이다. -명심보감 천명편-
▣ 新沐者必彈冠(신목자필탈관) = 신욕자필진의(新浴者必振衣) 新:새 신, 沐:목욕할 목, 者:사람 자, 必:반드시 필, 彈:탄알 탄, 冠:갓 관. 새로 머리를 감은 사람은 반드시 관(冠)을 손으로 턴다는 듯. -초사-
▣ 信步行將去隨天分付來(신보행장거수천분부래) 아무 의혹 없이 도리에 맞도록만 행하면 자기가 타고난 복은 저절로 옴을 이름. -칠조류고-
▣ 臣伏戎羌(신복융강) (이상(以上)과 같이 나라를 다스리면 그 덕에) 융(戎)과 강(羌)도 항복(降伏)하고야 맒.
▣ 信不兩難(신부양난) 信:믿을 신, 不:아닐 부, 兩:두 양, 難:어려울 난. 믿기도 힘들고 아니 믿기도 어려움.
▣ 信否享非禮(신부향비례) 信:믿을 신, 否:아닐 부, 享:누릴 향, 非:아닐 비, 禮:예절 례. 신(神)을 제사지내면 안될 사람의 제사는 받지 않는다는 것. -논어-
▣ 信使可覆(신사가복) 믿음은 움직일 수 없는 진리(眞理)이고, 또한 남과의 약속(約束)은 지켜야 함.
▣ 愼思明辨(신사명변) 신중하게 생각하고 분명히 가려 냄. -중용-
▣ 神祀後鳴缶(신사후명부) 神:귀신 신, 祀:제사 사, 後:뒤 후, 鳴:울 명, 缶:장군 부. 굿 뒤에 날장구친다라는 뜻으로 때늦음을 이름.
▣ 信賞必罰(신상필벌) 信:믿을 신, 賞:상줄 상, 必:반드시 필, 罰:벌줄 벌. 공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상을 주고, 죄를 범한 사람은 반드시 벌 하는 것. -한비자.내저설-
▣ 神色自若(신색자약) 큰 일을 당해도 냉정(冷情)하여 안색(顔色)이 평소(平素)와 다름없이 변(變)하지 않음. ▣ 信誓旦旦(신서단단) 信:믿을 신, 誓:명세할 서. 旦:아침 단, 굳게 명세하다. -시경 위풍 맹- 맹이라는 시는 위나라의 한 여성이 남편의 학대에 시달리다가 버림을 받은 뒤 자신의 한스럽고 억울한 사정을 하소연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 晨星落落(신성낙락) 새벽하늘에 몇개의 별만이 겨우 남아 있는 것과 같이 벗들이 차차 적어지는 것을 이름, 낙락은 드문 모양. -유우석의 시-
▣ 神仙中人(신선중인) 神:귀신 신, 仙:신선 선, 中:가운데 중, 人:사람 인. 인품(人品)이 고상한 사람. -진서-
▣ 薪水之勞(신수지로) 薪:섶나무 신, 水:물 수, 之:갈 지, 勞:일할 로. 땔나무를 하고 물을 긷는 수고, 곧 취사(炊事)를 이름, 또는 널리 일상의 잡사(雜事)를 이름.
▣ 臣心如水(신심여수) 臣:신하 신, 心:마음 심, 如:같을 여, 水:물 수. 신하의 마음이 청백함을 이름. -한서-
▣ 信心直行(신심직행) 信:믿을 신, 心:마음 심, 直:곧을 직, 行:다닐 행. 옳다고 믿는 바대로 머뭇거리지 않고 곧장 나아감.
▣ 信言不美(신언불미)
信:밑을 신, 言:말씀 언, 不:아닐 불, 美:아름다울 미. 믿을 만한 말은 외면을 꾸미지 않는다는 말.
▣ 身言書判(신언서판) 중국(中國) 당대의 관리(官吏) 전선(銓選)의 네 가지 표준(標準). 곧 인물(人物)을 선택(選擇)하는 네 가지 조건(條件)이란 뜻으로, 사람을 평가(評價)할 때나 선택(選擇)할 때가 되면 첫째 인물(人物)이 잘났나 즉 身 둘째 말을 잘 할 줄 아는가 즉 言 셋째 글씨는 잘 쓰는가 즉 書 넷째 사물(事物)의 판단(判斷)이 옳은가 즉 判의 네가지를 보아야 한다 하여 이르는 말. -당서-
▣ 新浴者必振衣(신욕자필진의) = 신목자필탄관 新:새 신, 浴:목욕할 욕, 必:반드시 필, 振:떨칠 진, 衣:옷 의. 새로 목욕한 사람은 반드시 옷을 털어 입는다는 뜻. -초사-
▣ 身外無物(신외무물) 身:몸 신, 外:바깥 외, 無:없을 무, 物:만물 물. 몸이 무엇보다도 소중하다는 말.
▣ 臣疑其君無不危國(신의기군무불위국) 臣:신하 신, 疑:의심 의, 其:그 기, 君:임금 군, 無:없을 무, 不:아닐 불, 危:위태할 위, 國:나라 국. 신하의 세력이 커서 임금이 그를 의심하게 될 정도면 그 나라는 반드시 망하게 된다는 뜻. -사기-
▣ 神人共憤(신인공분) 신과 사람이 함께 노한다는 뜻으로, 누구나 분노(憤怒)할 만큼 증오(憎惡)스럽거나 도저히 용납(容納)될 수 없음.
▣ 晨入夜歸(신입야귀) 晨:새벽 신, 入:들 입, 夜:밤 야, 歸:돌아올 귀. 아침 일찍 들어왔다가 밤늦게 돌아감을 이름. -한유의 시-
▣ 晨入夜出(신입야출) ①아침 일찍이 관청(官廳)에 들어가고 밤늦게 퇴근(退勤)함 ②소임(所任)에 최선(最善)을 다함.
▣ 身在江海之上(신재강해지상) 身:몸 신, 在:있을 재, 江:큰 내 강, 海:바다 해, 之:갈 지, 上:위 상, 몸이 강하나 바다 위에 떠 있어 한가함을 이름. -장자-
▣ 新情之初(신정지초) 新:새 신, 情:뜻 정, 之:갈 지, 初:처음 초. (주로 남녀간에)서로 사귀어 정이 든 지 얼마 되지 아니한 때.
▣ 愼終如始(신종여시) 일의 마지막에도 처음과 같이 신중을 기함. -노자-
▣ 愼終追遠(신종추원) 愼:삼갈 신, 終:마칠 종, 追:따를 추, 遠;멀 원. 부모님의 장례를 엄숙하게 받들고 조상의 제사를 정성을 다해 올린다는 뜻이다. 신종은 부모의 임종을 신중히 한다는 말로 장례를 극진하게 모신다는 뜻이며 추원은 먼 조상을 추모한다는 말로 제사를 정성스레 올린다는 뜻이다. -논어 학이편-
▣ 信之無疑(신지무의) 信:믿을 신, 之:갈 지, 無:없을 무, 疑:의심 의. 꼭 믿어 조금도 의심하지 아니함.
▣ 新進氣銳(신진기예) 新:새 신, 進:나아갈 진, 氣:기운 기, 銳:날카로울 예. 새로 두각을 나타낸 신인(新人)으로서, 의기(意氣)가 날카로움, 신인을 칭찬할 때 사용한다. 나이를 먹으면 노기(老驥:늙은 준마:駿馬 노년의 준걸의 비유)가 된다.
▣ 新陳代謝(신진대사) 新:새 신, 陳:베풀 진, 代:대신할 대, 謝:사례할 사. 묵은 것이 없어지고 새것이 대신 생기거나 들어 서는 일, 생물학 시간에 배운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생물학의 전문용어는 아니다. 진은 진부(陳腐)의 뜻으로, 낡은 것, 사는 사라지는 것, 낡은(옛)것이 사라지고 대신 새로운 것이 오는 것. -회남자-
▣ 薪盡火滅(신진화멸) 薪:섶나무 신, 盡:다할 진, 滅:멸망할 멸. 땔나무가 다하여 불이 꺼지는 것과 같이 점차로 쇠하여 마침내 망하는 것을 이름.
▣ 神采英拔(신채영발) 神:귀신 신, 采:캘 채, 英:꽃부리 영, 拔:뺄 발. 정신과 풍채가 특히 뛰어남.
▣ 身體髮膚受之父母(신체발부수지부모) 身:몸 신, 體:몸 체, 髮:터럭 발, 膚:살갗 부, 受:받을 수. 之:갈 지, 父;아비 부, 母:어미 모. 신체와 머리카락과 피부는 모두 부모에게서 물러 받은 것이다. -효경 개종명의 장제일-
▣ 神出鬼沒(신출귀몰) 귀신같이 나타났다 귀신같이 사라지다. 왕래를 예측하지 못함. -회남자,병략훈-
▣ 身親當之(신친당지) 어떤 일을 남에게 맡기지 아니하고 몸소 맡아함.
▣ 神通之力(신통지력) 神:귀신 신, 通:통할 통, 之:갈 지, 力:력, 신변통력(神變通力), 즉 해아릴 수 없는 변화의 재주를 가진 힘. -법화경-
▣ 新豊折臂翁(신풍절비옹) 新:새 신, 豊:풍년 풍, 折:꺾을 절, 臂:팔 비, 翁;어르신네 옹. 신풍 땅에 사는 팔이 부러진 노인네. -백거이 신풍절비옹-
▣ 晨虎之勢(신호지세) 晨:새벽 신, 虎:범 호, 之:갈 지, 勢:권세 세. 굶주린 새벽 호랑이와 같은 맹렬한 기세.
▣ 身後之諫(신후지간) 身:몸 신, 後:뒤 후, 之:갈 지, 諫:간할 간. 자신의 몸이 죽은 뒤에도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임금에게 충간을 올리는 것. 죽어서도 백성과 임금을 염려하는 지극한 자세를 비유하는 성어다. -공자가어 곤서편-
▣ 身後之地(신후지지) 身:몸 신, 後:뒤 후, 之:갈 지, 地:땅 지. 살아 있을 때 미리 정해두는 자기가 묻힐 묏자리.
▣ 失馬治廐(실마치구) 말을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뜻, 때늦게 조치함을 이름. =失牛治廐(실우치구)
▣ 失斧得斧同(실부득부동) 잃은 도끼나 얻은 도끼나 한가지라는 뜻으로, 주고받은 것이 같아 손해(損害)도 이익(利益)도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失斧疑隣(실부의린) ☞ 의심생암귀 도끼를 잃어버리고 이웃을 의심한다는 뜻으로, 한번 의심하는 마음이 생기면 평소에는 평소에는 아무렇지도 않은 일마져 의심이 생긴다는 말이다. -열자-
▣ 失匕箸(실비저) 失:잃을 실, 匕:비수 비, 箸:젓가락 저. 깜짝 놀라는 형용, 비저는 숟가락과 젓가락, 실은 떨어뜨리다의 듯. -삼국지-
▣ 實事求是(실사구시) 사실(事實)에 토대(土臺)하여 진리(眞理)를 탐구(探究)하는 일이란 뜻으로, 공론(空論)만 일삼는 양명학(陽明學)에 대(對)한 반동(反動)으로서 청조의 고증(考證) 학파(學派)가 내세운 표어(標語)로, 문헌학적(文獻學的)인 고증(考證)의 정확(正確)을 존중(尊重)하는 과학적(科學的), 객관(客觀) 주의적(主義的) 학문(學問) 태도(態度)를 말함. -한서,하간헌 왕덕전-
▣ 實相無漏(실상무루) 우주만상(宇宙萬象)의 진실(眞實)한 체상(體相)은, 일체(一切)의 번뇌(煩惱)ㆍ염오(厭惡)를 떠나서 청결(淸潔)함을 이르는 말.
▣ 失於空中(실어공중) 失:잃을 실, 於:어조사 어, 空:빌 공, 中:가운데 중. 공중에서 잃었다는 뜻으로, 물건을 아무렇게나 써 버림.
▣ 室於怒市於色(실어노시어색) 室:집 실, 於:어조사 어, 怒:성낼 노, 市:저자 시, 色:빛 색. 집안에서 노(怒)하여 집밖으로 나갔으나 역시 노기(怒氣)는 얼굴에 나타나 있다는 것. 즉 노기를 옮긴다는 뜻. -좌전-
▣ 失牛治廐(실우치구) = 실마치구(失馬治廐) 失:앓을 실, 牛:소 우, 治:다스릴 치, 廐:마굿간 구.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失言(실언) 失:잃을 실, 言:말씀 언. 말을 잃다. 경우없이 말을 해서 남에게 실례를 범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원래 실언의 뜻은 실인(失人)과 더불어 단순한 실수만을 의미한 것은 아니다. -논어 위령공편-
▣ 失言失人(실언실인) 失:잃을 실, 言:말씀 언, 人:사람 인. 함께 말할 만하지 못한데 함께 말을 하면 그것은 말을 잃는 것이고, 함께 말할 만한데 함께 말 하지 않으면 그것은 사람을 잃는 것이다. -논어 위령공편-
▣ 實踐躬行(실천궁행) 實:열매 실, 踐:밟을 천, 躬:몸 궁, 行:다닐 행. 말로 하지 않고 실행하며 남에게 시키지만 않고 몸소 행함.
▣ 心肝五臟皆金繡(심간오장개금수) 心:마음 심, 肝:간 간, 五:다섯 오, 臟:오장 장, 皆:다 개, 金:쇠 금, 繡:수 수. 시문(詩文)의 재주가 풍부하여 입에서 나오는 말이나 문자(文字)가 모두 아름답다는 것.
▣ 深痼(심고)깊고 중(重)한 병이라는 뜻으로, 마음의 병(病)을 이르는 말. ▣ 心廣體胖(심광체반) 心:마음 심, 廣:넓을 광, 體:몸 체, 胖:클 반. 마음이 넓고 너그러우면 몸도 편안함, 마음에 조금도 부끄러운 일이 없으면 외형(外形)도 역시 화색이 돈다는 말. -대학-
▣ 心氣妄想(심기망상) 자기(自己)가 중병에 걸렸다고 생각하는 망상(妄想). ▣ 審己以度人(심기이탁인) 자기를 먼저 돌아보고 후에 남을 헤아림을 이름. -조조-
▣ 心機一轉(심기일전) 어떤 동기에 의하여 이제까지 먹었던 마음을 뒤집듯이 근본적으로 바꿈.
▣ 深根固柢(심근고저) 柢:뿌리 저. 뿌리가 깊고 단단하게 박혀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토대가 튼튼한 것, 또는 사물의 근본이 뚜렷함을 이르는 말. -노자-
▣ 深根固蔕(심근고체) 深:깊을 심, 根:뿌리 근, 固:굳을 고, 蔕:꼭지 체. 근본(根本)을 튼튼하게 함을 이르는 말. -노자-
▣ 心念口稱(심념구칭) 마음속에 불덕(佛德)을 새기면서 말로 일컬음.
▣ 深到(심도) 깊은 곳에 닿음의 뜻으로, '깊은 도리(道理)를 깨침'을 일컫는 말.
▣ 心道之工宰(심도지공재) 心:마음 심, 道:길 도, 之:갈 지, 工:장인 공, 宰:재상 재. 마음은 도(道)를 좌우하여 이를 행하거나 안하거나 자유임을 공인(工人)과 재상(宰相)에 비유한 말. -순자-
▣ 心動神疲(심동신피) 마음이 움직이면 신기(身氣)가 피곤(疲困)하니 마음이 불안(不安)하면 신기(身氣)가 불편(不便)함.
▣ 心頭滅却(심두멸각) 心:마음 심, 頭:머리 두, 滅:멸망할 멸, 却:물리칠 각. 심두는 마음, 심중(心中), 멸각은 없애버리다. "심두를 멸각하면 불 또한 시원하다" 는 뜻으로, 기분상으로 어떤 고난도 참고 견디어 내는 마음가짐, 잡념을 떨쳐버리고 무념무상의 경지에 도달하면 뜨거운 불 속에 있어도 뜨거움을 느끼지 않고 오히려 시원함을 느끼는 것이다. -두순학-
▣ 深謨遠慮(심모원려) 深:깊을 심, 謨:꾀 모, 遠:멀 원, 慮:생각할 려. 깊이 계략을 짜내고 먼 장래를 염려하고 생각하는 것. 또는 그런 계획.
▣ 心煩意亂(심번의란) 마음이 번거롭고, 뜻이 어지럽다는 뜻으로, 의지(意志)가 뒤흔들려 마음이 안정(安定)되지 않음.
▣ 心腹之人(심복지인) 썩 가까워 마음놓고 믿을 수 있는 사람. 주(主)로 아랫사람을 두고 쓰는 말임.
▣ 心腹之疾(심복지질) 병이 심복에 있는 것은 고치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물리치기 어려운 적(敵)을 비유한 말. -좌전-
▣ 心腹之患(심복지환) 心:마음 심, 腹:배 복, 심장과 위장병으로 받는 고통.
▣ 心不在焉視而不見(심부재언시이불견) ☞ 사이불견 心:마음 신, 不:아닐 부, 在:있을 재, 焉:어찌 언, 視:볼 시, 而:말이을 이. 見:볼 견. 마음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는다. 즉 하고자 하는 의식이 없으면 아무리 권하고 이끌어도 선뜻 따르지 않는다는 말이다. -대학 정심장-
▣ 沈思默考(심사묵고) = 심사숙고(沈思熟考) 沈:가라앉을 심, 思:생각할 사, 默:잠잠할 묵, 考:상고할 고. 고요이 깊이 생각함, 침묵해서 차분히 생각하는 모양,
▣ 深山窮谷(심산궁곡) = 심산유곡(深山幽谷) 深:깊을 심, 山:뫼 산, 窮:다할 궁, 谷:골 곡. 깊은 산속의 험하고 가파른 골짜기.
▣ 深山大澤生龍蛇(심산대택생용사) 沈:깊을, 가라앉을 심,澤:못 택. 蛇:뱀 사. 깊은 산속과 큰 습지에는 용사(龍蛇)가 난다는 듯으로, 보통이 아닌 곳에는 비상한 것이 생긴다는 말이다. -좌전-
▣ 深山幽谷(심산유곡) 深:깊을 심, 山:뫼 산, 幽:그윽할 유, 谷:골 곡. 깊은 산의 으슥한 골짜기. -열자-
▣ 尋常之溝無呑舟之魚(심상지구무탄주지어) 尋:찾을 심, 常:항상 상, 之:갈 지, 溝:붓도랑 구, 無:없을 무, 呑:삼킬 탄, 舟:배 주, 之:갈 지, 魚:물고기 어. 협소(狹小)한 지방에는 대호걸(大豪傑)이 없다는 비유. -준남자-
▣ 心誠求之(심성구지) 心:마음 심, 誠:정성 성, 求:구할 구, 之:갈 지, 마음을 다하여 정성껒 구함. -서경-
▣ 心心相印(심심상인)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뜻으로, 묵묵한 가운데 서로 마음이 통(通)함.
▣ 深深藏之(심심장지) 深:깊을 심, 藏:감출 장, 之:갈 지. 물건을 깊이깊이 감추어 보관함.
▣ 心悅誠服(심열성복) 心:마음 심, 悅:기쁠 열, 誠:정성 성, 服:옷 복. 충심으로 기뻐하며 성심을 다하여 순종함.
▣ 心猿意馬(심원의마) 心:마음 심, 猿;원숭이 원, 意:뜻 의, 마음은 원숭이, 생각은 말 같다. 마음이 안정이 안 되고 이랬다 저랬다 하며 생각이 한 곳에 있지 못하는 것. -당 석두대사 참동계-
▣ 心外無別法(심외무별법) 心:마음 심, 外:바같 외, 無:없을 무, 別:다를 별, 法:법 법, 우주의 모든 법(法)은 마음에 있는 것이지 마음밖에는 별로 법이 없다는 것을 이름,
▣ 尋章摘句(심장적구) 옛 사람의 글귀를 여기저기서 뽑아서 시문(詩文)을 짓는 일.
▣ 心齋坐忘(심재좌망) 心:마음 심, 齋:재계할 재, 坐:앉을 좌, 忘:잊을 망. 심신일체(心身一體)의 경지에서 마음의 일체의 더러움을 씻고 온갖 것을 잊음으로써 허(虛)의 상태에서 도(道)와 일체가 되는 일.
▣ 心在鴻鵠(심재홍곡) 바둑을 두면서 마음은 기러기나 고니가 날아오면 쏘아 맞출 것만 생각한다면 어찌되겠느냐는 맹자(孟子)의 언질에서 비롯된 말로, 학업(學業)을 닦으면서 마음은 다른 곳에 씀을 일컫는 말. -맹자-
▣ 心正卽筆正(심정즉필정) 마음이 바른 사람은 붓의 씀씀이도 바르다. -당서. 유공권전-
▣ 深造自得(심조자득) 深:깊을 심, 造:지을 조, 自:스스로 자, 得:얻을 득. 조(造)는 예(詣)의 뜻, 깊이 도(道)를 닦아 스스로 깨닫는 것을 이름. -맹자-
▣ 深中隱厚(심중은후) 深:깊을 심, 中:가운데 중, 隱:숨을 은, 厚:두터울 후. 연민(憐憫)의 정이 깊고, 순수한 성질을 이름, 은(隱)은 측은지심(惻隱之心)의 은(隱) 임. -사기-
▣ 心地(심지) 心:마음 심, 地:땅 지. ①마음의 본 바탕, ②마음 먹음이 선악의 행위를 낳게 함이 땅에서 과일이나 곡물이 낳는 것과 같으므로 이름. -석씨요람-
▣ 深淺移動(심천이동) 물고기가 물 속의 깊은 곳과 얕은 곳을 옮겨 다니는 일.
▣ 心淸師白水言重學靑山(심청사백수언중학청산) 마음의 맑음은 흰 물을 스승으로 삼고, 말의 신중(愼重)함은 푸른 산을 배움.
▣ 心行消滅(심행소멸) = 心行處滅(심행처멸) 사람의 생각이 미치지 못하는 경지(境地).
▣ 深行數墨(심행수묵) 深:깊을 심, 行:다닐 행, 數:셀 수, 墨:먹 묵. 행(行)은 글의 한 줄. 묵(墨)은 글자, 독서하는데 다만 자면(字面)에 구애되어 글의 참듯은 개닫지 못함을 이름. -주희의 시-
▣ 心許(심허) 心:마음 심, 許:허락할 허. 마음속으로 허락하다. 묵인하다. -사기 오태백세가-
▣ 甚囂塵上(심효진상) 甚:심할 심, 囂:들렐,시끄러울 효, 塵:티끌 진, 上:위 상. 몹시 시끄럽고 먼지 뿌옇게 일어나다. 원래는 전투 준비에 바쁜 병영의 모습을 묘사한 말이었는데 나중에는 의논이 분분하거나 여론이 떠들썩한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좌전 성공16년 조-
▣ 十經(십경) 유가(儒家)의 열 가지 경서. 곧 주역(周易), 상서(尙書), 모시(毛詩), 예기(禮記), 주례(周禮), 의례(儀禮),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공양전公羊傳), 곡량전(穀梁傳), 및 논어(論語), 효경(孝經)을 합친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十苦(십고) 十:열 십, 苦:괴로울 고. 사람이 받는 열 가지 고통, 곧 생(生), 병(病), 노(老), 사(死), 수(愁), 원(怨), 고수(苦受), 우(憂), 통뇌(通惱), 생사유전고(生死流轉苦)를 말함.
▣ 十瞽一相(십고일상) = 십맹일장 十:열 십, 瞽:소경 고, 一:한 일, 相:서로 상, 장님 옆에 인도하는 이는 하나라 함이니 매우 중요하다는 듯. -송남잡식-
▣ 十年減壽(십년감수) 수명(壽命)에서 열 해가 줄어든다는 뜻으로, 몹시 위험(危險)하거나 놀랐을 때 쓰는 말.
▣ 十年燈下苦三日馬頭榮(십년등하고삼일마두영) 십 년 간의 등잔(燈盞) 아래 고통(苦痛)은 삼 일 간의 말머리의 영화(榮華)임.
▣ 十年磨一劍(십년마일검) 십 년을 두고 칼 한 자루를 간다는 뜻으로, 원래는 불의를 무찔러 없애기 위한 원대한 계획과 결심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었는데, 지금은 어던 목적을 위해 때를 기다리며 준비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가도, 오언고시 검객-
▣ 十年樹木百年樹人(십년수목백년수인) 십 년 뒤를 내다보며 나무를 심고, 백 년 뒤를 내다보고 사람을 심는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볼 때 어던 일보다도 인재를 양성하는 일이 가장 중요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관자-
▣ 十年一得(십년일득) 十:열 십, 年:해 년, 一:한 일, 得:얻을 득. 수해(水害)나 한재(旱災)로 피해를 받기 쉬운 논밭이 어쩌다가 한 번 풍작일 때 이르는 말.
▣ 十年一日(십년일일) 긴 세월 작은 변화도 없이 똑같은 상태로 있는 것, 느릿느릿해서 유유자적한 모양.
▣ 十年之計(십년지계) 十:열 십, 年:해 년, 之:갈 지, 計:셈할 계. 앞으로 10년을 목표로 한 원대한 계획.
▣ 十年之計莫如樹木(십년지계막여수목) 십 년의 계획은 나무를 심는 것만한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 十年窓下(십년창하) 십년동안 창문(窓門) 아래에 찾는 이가 없다는 뜻으로, 외부와 접촉(接觸)을 끊고 학문에 정진(精進)함을 비유하는 말.
▣ 十年寒窓(십년한창) 年;해 년, 寒:찰 한, 窓;창문 창. 오랜 세월동안 두문불출 하면서 머리를 싸매고 학업에 매진하여 마침내 성공을 거두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유기 귀잠지-
▣ 十讀不如一寫(십독불여일사) 책을 열 번 읽더라도 정신을 차리지 아니하면 곧 잊어버리게 되나 한 번 쓰는데는 정신을 차리게 되니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말. -학림옥로-
▣ 十洞之水會一洞(십동지수회일동) 十:열 십, 洞:마을 동, 之:갈 지, 水:물 수, 會:모을 회, 一:한 일, 열 골 물이 한 골로 모여든다는 뜻으로, '모든 화나 재난(災難)이 한 사람에게만 미침'을 비유(比喩)한 말.
▣ 十盲一杖(십맹일장) 十:열 십, 盲;소경 맹, 一:한 일, 杖:지팡이 장. 장님 열 사람에 지팡이 하나라는 뜻으로, 사물이 여러 곳에 다 같이 요긴하게 쓰임을 이르는 말.
▣ 十目所視(십목소시) 십목(十目)이란 열 사람의 눈이라는 말로서 많은 사람이 봄을 이름, 혼자 숨어서 하는 일도 세상사람은 이것을 다 안다는 뜻. -대학-
▣ 十飯一匙還成一飯(십반일시환성일반) 열 그릇의 밥에서 한 숟갈씩 덜면 한 그릇의 밥이 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힘을 내면, 비용은 적게 들고 혜택이 많아지는 것을 뜻함.
▣ 十伐之木(십벌지목) 열 번 찍어서 아니 넘어가는 나무가 없다는 말이니 아무리 마음이 굳은 사람도 여러 번 치근거리면 마음이 움직이게 된다는 뜻. -이담속찬-
▣ 十步芳草(십보방초) 步;걸음 보, 芳:꽃다울 방, 草;풀 초. 열 발자국 걸을 동안에 향기로운 풀이 있다는 말로 어느곳에나 인재는 있다는 뜻이다. -유화 설원담총편-
▣ 十不善業(십불선업) 몸, 입, 뜻의 세 가지에서 나는 열 가지의 악업(惡業). 곧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따위의 신업(身業)과 망어(妄語), 기어(綺語), 양설(兩舌), 악구(惡口) 따위의 구업(口業)과 탐욕(貪慾), 진에(嗔喪), 우치(愚癡)' 따위.
▣ 十生九死(십생구사) 生:날 생, 死:죽을 사, 위태한 지경을 겨우 벗어났을 때 이름.
▣ 什襲而藏(십습이장) 什:열 사람 십, 襲:염습할 습, 而:말이을 이, 藏:감출 장. 열 번이나 묶은 뒤에 갈무리하다. 조심스럽게 아주 소중하게 간직하는 것을 말한다. -태평어람 지부 석편 감자-
▣ 十匙一飯(십시일반) 十:열 십, 匙:숟가락 시, 飯:밥 반. 열 사람이 한 술씩 보태면 한 사람 먹을 분량이 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치면 한 사람을 돕기 쉽다는 비유,
▣ 十室九空(십실구공) 室:집 실, 空:빌 공. 열 개의 방에 아홉이 비어 있다는 뜻으로, 환란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이 뿔뿔이 흩어지거나 죽어 없어지는 일.
▣ 十惡大罪(십악대죄) 조선(朝鮮) 때 적용(適用)시킨, 대명률(大明律)에 정(定)한 열 가지의 큰 죄(罪). 곧 모반(謀反), 모대역(謨大逆), 모반(謀叛), 악역(惡逆), 부도(不道), 대불경, 불효(不孝), 불목(不睦), 불의(不義), 내란(內亂).
▣ 十羊九牧(십양구목) 양 열 마리에 목자는 아홉 명이나 된다는 뜻으로 국민에 비해 공무원이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十圍之木始生足可搔而絶(십위지목시생족가소이절) 圍:둘레 위, 木:나무 목, 始:비로소 시, 生:날 생, 足:발 족, 可:옳을 가, 搔:긁을 소, 絶:끊을 절. 열 아름이나 되는 큰 나무도 처음에 날 때는 발로 밟아 죽일 수 있다는 뜻으로, 화(禍)는 적을 때에 없애버리는 것이 퍽 쉬움을 비유한 말. -매승의 간오왕서-
▣ 什人守之不得察一賊(십인수지부득찰일적) 什:열사람 십, 人:사람 인, 守:지킬 수, 不;아닐 부, 得:얻을 득, 察:살필 찰, 賊:도둑 적. 열 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을 막지 못한다는 뜻으로, 열 사람이 지켜도 한 사람의 나쁜 짓을 막지 못한다는 말.
▣ 十人十色(십인십색) 사람이 즐겨함과 생각함이 저마다 다름을 이르는 말, 각인각색.
▣ 十二緣起(십이연기) =十二緣門(십이연문) =十二因緣(십이인연) 과거(過去)에 지은 업(業)을 따라서 현재(現在)의 과보(果報)를 받으며, 현재(現在)의 업을 따라 미래(未來)의 고통(苦痛)을 받는 열 두 인연(因緣). 곧 무명, 행, 식, 명색(名色), 육입, 촉, 수, 애, 취, 유, 생, 노사.
▣ 十日之菊(십일지국) 日:날 일, 菊:국화 국. 국화의 명절인 3월구일 다음날인 십일날의 국화는 벌써 때가 늦은 것이라는 뜻으로, 어떤 것이나 이미 때가 늦은 것을 말 함.
▣ 十顚九倒(십전구도) 열 번 엎어지고 아홉 번 거꾸러 졌다 함이니, 많은 괴로움을 당했다는 뜻.
▣ 十指不動(십지부동) 指:손가락 지, 不:아닐 불, 動:움직일 동. 열 손가락을 꼼짝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게을러서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는 말.
▣ 十指有長短(십지유장단) 열 손가락에는 제각기 길고 짧음이 있다는 뜻으로, 사물마다 각기 독특한 성질이 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
▣ 十八般武藝(십팔반무예) 般:돌릴 반, 武:굳셀 무, 藝:재주 예. 무예가 출중한 것을 일컫는 말이다 -수호전- 모든 일을 능란하게 처리하는 것을 일러 이런 말을 쓰기도 한다.
▣ 十風五雨(십풍오우) 風:바람 풍, 雨:비 우. 열흘에 한 번 바람이 불고, 닷새에 한 번 비가 온다는 뜻으로, 순조로운 날씨를 이름.
▣ 十寒一曝(십한일폭) 열흘 동안 춥다가 하루 볕이 쬔다는 뜻으로, 일이 꾸준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중간에 자주 끊김을 이르는 말.
▣ 十行俱下(십행구하) 열 줄의 글을 한 번에 읽어 내려간다는 뜻으로, '책 읽는 속도(速度)가 빠름'의 비유(比喩).
▣ 十玄緣起(십현연기) 화엄종(華嚴宗)에서 온갖 법이 서로 일정(一定)한 관계(關係)를 가지고 하나가 됨을 열 가지로 나누어 설명(說明)하는 법문(法門). 고십현(古十玄), 신십현(新十玄)의 두 가지가 있음.
|
*다음카페:손정섭의 자료를 일부 수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