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활 계란의 신앙적 의미
가톨릭 교회에서는 부활의 상징적 표시로 게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알"은 생명체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것은 그 안에 새로운 생명체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옛 부터 봄, 풍요, 다산 등 보이지 않는 생명을 상징하게 된 것입니다.
가톨릭 교회가 계란을 부활의 이미로 사용하게 된것은 예수그리스도가 십자가상의 죽음 당한 후 묻힌 돌무덤을 가장 적절하게 비유 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부활 대축일에 계란을 가족과 이웃에게 선물하는 풍습을 정확하지는 않지만 중세기 때 부터 사순시기 동안 희생과 절제의 의미로 고기와 생선, 그리고 우유, 계란조차 먹지 않고 지내다가 부활 대축일이 되어서 비로소 계란을 먹을 수 있었기에 부활의 기쁨을 나눈다는 취지에서 계란을 선물로 주고 받기 시작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나도 우리 이웃에 부활계란을 나누어 주었다.
부활게란은 본래 '죽음을 쳐 이긴 새 삶"을 뜻하여 붉은색으로 장식하고 또 계란 껍질에는 새 생명을 상징하는 병아리 모형을 붙혀 먹기도 하느데 단순히 주님의 부활을 축하 하면서 상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부활계란을 나눔의 잔치에 친교적 형태로만 생각하지 말고 우리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인으로써 주님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죽음에서 부활로 이어지는 영광스런 하느님의 신비를 묵상하고 그 의미를 가졌으면 합니다.
만약 주님의 죽음 및 부활이 없었더라면 오늘날의 그리스도교는 존재가치 조차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삶은 계란 껍질을 깨트리고, 새로운 생명이 짱 하고 부활한다는 의미를 가진다면 주님께서 죽어시고 묻히여서 부활 하셨을때 빈 무덤의 껍질만 앙상하게 남은 것을 연상하게 될것이고, 이미 죽었자만 부활 할 수 있었다는 그리스도의 신앙적인 무장은 더 없이 하느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는 게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이런 계란의 유래에 관한 몇가지 설을 알아 보자 ♣ 부활전 이전의 축제일의 상징은 계란이 아니라 이스터 여신의 상징인 토끼이였으나 미국의 남북 전쟁 이후 "모든 생명은 알에서부터 나온다"라는 뜻에서 부활절 축제에 계란을 사용 했다는 설 ♣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고 갈보리 까지 갈 때 십자가를 대신 져준 구레네 사람 시몬의 직업이 계란 장수였는데,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신 뒤에 그가 집으로 돌아와 보니 암닭들이 낳은 계란이 모두 무지게 빛으로 변헤 있었다고 한다. 그 이후 교회에서는 자연스럽게 계란을 부활의 상징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설 글쓴이 : 운로 지요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