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03월10일(일요일) 해파랑길 21코스(영덕 블루로드 B코스) 탐방일정
회비 48,000원 1월29일 송금 완료, 24번 좌석 예약
탐방지 : 해파랑길 21코스(영덕 블루로드 B코스)
탐방코스 : 영덕 해맞이공원~(2.1Km)~오보해변~(5.6Km)~경정리대게마을~(3.7Km)~죽도산전망대~(1.3Km)~축산항
[길이 12.7km, 소요시간 5시간, 난이도 보통]
시점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산 1-5 (영덕해맞이공원/영덕블루로드 빛의거리 입구)
종점 :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216-3 (축산항 내 축산리정류장 옆)
코스 개요
- 해파랑길의 21번째 코스이자 영덕 구간으로 블루로드 B구간
- 영덕 해맞이공원에서 오보해변과 경정리 대게탑을 지나 축산항에 이르는 구간
- 작은 숲길과 끝없이 이어진 해안길로 어촌마을과 해변을 지나는 조용한 코스
관광 포인트
- 바위 구간과 백사장으로 조성된 작은 경정해수욕장
- 영덕대게의 진가를 알 수 있는 맛집이 모여있는 대게원조마을
- 축산항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죽도산 정상 죽도산 전망대
- 영덕의 대표적인 어항이자 대게 위판장으로 유명한 축산항
여행자 정보
- 영덕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영덕-축산]행 버스 탑승 후 대탄 하차하여 도보이동(약 700m)
- 5월에서 11월까지가 대게철
- 해뜨는 무렵 축산항 위판장에서 갓 잡은 대게 직접 구매 가능
- 마을과 마을 사이에는 매점이 없으므로 식음료를 미리 준비해야 함 ]
탐방코스: [영덕 해맞이공원~(341m)~창포말 등대~(1.5km)~대탄 해수욕장~(0.6km)~오보 해변~(1.1km)~노물항~(2.5km)~석동방파제~(2.8km)~경정해수욕장~(1.5km)~영덕대게원조마을(경정리 대게마을)~(3.4km)~죽도산 전망대~(1.1km)~축산항] [길이 14.9km, 소요시간 5시간, 난이도 보통]
탐방일 : 2024년03월10일(일요일)
탐방코스 및 탐방구간별 탐방 소요시간 (총 탐방시간 4시간25분 소요)
06:55~11:00 "좋은사람들" 버스로 서울 상일동역 4번 출구 앞에서 출발하여 경북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산5-5 번지에 있는 영덕 해맞이공원(영덕 블루로드 빛의거리 입구)으로 이동 (315km) [4시간5분 소요]
[영덕 해맞이공원
전국 제일의 청정해역과 울창한 해송림으로 둘러쌓여 있던 창포리 동해안 일대가 1997년 2월 대형 산불로 폐허가 되어 방치되다 4년간의 노력으로 수려한 해안절경과 무인등대를 활용한 인공공원으로 조성되었다. 산불피해목으로 침목계단을 만들어 산책로를 조성하였으며, 사진촬영과 시원한 조망을 위한 전망데크와 휴식공간을 위해 파고라를 만들었고, 어류조각품 18종을 실시간 방송되는 음악과 어우러지도록 조성하였으며, 야생화와 향토수종으로 자연학습장을 조성하였는데, 수선화·해국·벌개미취 등 야생화 15종 30만본을 식재하였고, 해당화·동백·모감주나무 등 향토수종 8종 7만 본을 식재하였다.
64km 청정해역이 펼쳐지는 강축도로변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전면의 푸른 바다와 뒷면 넓은 초 지, 해송조림지로 열린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해맞이공원 전면에는 야생꽃 2만 3천여 포기와 향토수종 꽃나무 900여 그루가 심어져 아름다움을 더하고 1천 500여개의 나무계단이 파고라와 파고라를, 해안도로와 바다를 얼기 설기 엮어 멋진 산책로를 이루고 있다.
산책로를 따라 걷는 도중에는 전망테크가 두 군데 설치돼 동해바다를 한눈에 관망하면서 사진을 촬영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며, 자연경관과 조화롭게 랜드마크적인 등대(창포말 조형등대)가 1개소 있고, 특히 가장 선명 하고 멋진 일출 광경을 볼 수 있다는 매력 때문에 새해에는 물론 평일에도 일출의 장관을 보려는 사람들과 여유로운 휴식을 취하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의 발길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11:00~11:05 경북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산5-5 번지에 있는 영덕 해맞이공원(해파랑길 21코스 시점)에서 탐방 출발하여 경북 영덕군 영덕읍 창포리 산 5-5 번지에 있는 창포말 등대로 이동
[영덕 해맞이공원의 남쪽에 위치한 창포말등대는 1984년 6월 영덕읍 창포리 창포말(菖蒲末)에 세워졌다.
매일 42㎞ 떨어진 바다에 6초에 한 번씩 불빛을 비추며 동해안을 항해하는 선박들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
창포말등대는 당초 원통형 모양의 흰색 콘크리트 등대로 평범하게 지어졌으나 2006년 해수부가 실시한 '조형 등대 현상 공모전'을 거쳐 지금 모습으로 새로 단장했다.
영덕의 상징인 대게의 집게발이 24m 높이의 등탑을 감싸고 올라가 태양을 상징하는 붉은색 등롱(燈籠)을 잡으려는 모습으로 디자인됐다. 통영 도남항의 연필등대,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고래입표 등도 이때 모습이 새롭게 바뀌었다.]
11:05~11:10 창포말 등대를 사진촬영
11:10~11:32 경북 영덕군 영덕읍 대탄리에 있는 대탄 해수욕장으로 이동
[몽돌과 모래가 섞인 간이 해수욕장이지만 조용하고 맑은 물이 매력적인 곳이다.]
11:32~11:42 경북 영덕군 영덕읍 오보리에 있는 오보 해변으로 이동
[대탄·오보해수욕장(大灘·烏保海水浴場)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대탄리·오보리에 있는 해수욕장으로, 전형적인 갯마을 어촌의 간이 해수욕장이다.
백사장이 규사질 성분의 왕모래로 이루어져 있는데, 몸에 잘 달라붙지 않아 모래찜질을 하기에 더없이 좋다. 백사장 길이는 600m 정도로 그리 길지 않으나 폭은 30m 정도로 넓다. 강구-축산 간 해안도로변에 있어 찾기 쉬우며, 가족 단위 해수욕을 하기에 적당하다.
주변의 갯바위들은 감성돔, 광어, 가자미, 우럭, 보리멸치 등이 잘 잡히는 바다낚시터로 유명하다. 주변에 해맞이공원, 칠보산자연휴양림, 옥계계곡, 삼사해상공원 등의 관광지가 있다.]
11:42~12:00 간식 후 휴식
12:00~12:15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580 번지에 있는 노물항으로 이동
[노물항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 있는 어항이다. 1972년 2월 7일 지방어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설관리자는 영덕군수이다.]
12:15~12:55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 14-4 번지에 있는 석동방파제로 이동
[석동방파제 안쪽의 바다는 스노쿨링 하기 좋은 장소로 입소문이 난 핫플레이스이다. 방파제가 둥그렇게 원을 그리고 있어서 아이들이 놀다가 떠내려가거나 휩쓸려갈 위험이 낮아서 가족단위로 아이들과 오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석동 방파제 주변은 실속 있는 낚시터로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높은 곳이기도 하다. 방파제 주변으로 갯바위가 잘 발달해 있으며 방파제 외항권을 중심으로 연중 다양한 어종이 선보인다.
인근 구계방파제와 더불어 벵에돔 포인트로도 널리 각광받고 있으며 7월부터 본격 시즌에 들어가 9월까지 꾸준한 조황을 보인다. 벵에돔 씨알은 30~35㎝급으로 준수한 편이다.]
12:55~13:35 경북 영덕군 축산면 영덕대게로 1749 번지에 있는 경정해수욕장으로 이동
[경정해수욕장(景汀海水浴場)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경정리에 있는 작은 해수욕장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항에서 강축해안도로(918번 지방도로)를 따라 북상하며 하저해수욕장·영덕해맞이공원·오보해수욕장을 차례로 거치면 해안도로변에 있는 작은 해수욕장인 경정해수욕장이 나온다. 전형적인 어촌마을인 축산면 경정리마을 바로 앞에 있는 해수욕장으로 주민들은 이곳에서 미역·해삼·전복·멍게 등을 양식하고 있다.
모래가 곱고 파도가 잔잔한 곳으로 백사장 면적이 크지 않아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는 없지만 번잡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마을에 숙박시설이 몇 곳 있으며, 주차장·화장실·샤워실이 갖추어져 있다. 해변 남쪽으로 갯바위가 많고, 해수욕장 한쪽으로 길게 뻗은 방파제에는 작은 포구가 형성되어 있다. 해수욕과 함께 낚시를 즐기기에 적당한 곳으로 낚시포인트는 방파제와 갯바위이며 보리멸과 벵에돔이 잘 낚인다. 경정해수욕장 근처에 영덕대게원조마을로 알려진 차유마을과 대게잡이로 유명한 어항(漁港)인 축산항이 있다.]
13:35~13:57 경북 영덕군 축산면 경정2리에 있는 영덕대게원조마을(경정리 대게 마을)로 이동
[경북 영덕군에서 인정한 영덕대게 원조 마을인 차유마을은 영덕대게축제의 기원제가 열리는 축산면 경정2리 어촌이다.
태조 왕건이 차유마을에서 대게를 처음 먹었다는 역사가 있고, 이곳에서 잡은 게의 다리 모양이 대나무와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 영덕대게라고 한다.
바다를 눈 아래에 두고 자리 잡은 아담한 이곳은 대게잡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갖춘 어촌체험 마을이다. 마을 입구에 영덕대게원조마을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차유마을에는 주민이 작은 배를 이용해 직접 그물로 잡은 싱싱한 대게를 집에서 쪄 먹는 현지인 맛집 10여 곳이 있다.
식당 대부분은 대게잡이 배 이름을 딴 간판을 걸고 부부가 운영하기에 거품을 충분히 뺀 가격으로 영덕대게를 맛볼 수 있다.
친구끼리 가족끼리 모여 바닷가 어부집의 찜솥에서 갓 건져낸 대게의 맛을 실속 있게 즐길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차유마을은 블루로드 B 구간의 해안도로 옆에 있어 교통이 편하고 마을 앞에는 축산항 죽도산의 아름다운 전경이 한 장의 사진처럼 펼쳐져 있다.]
[차유어촌체험마을은 영덕대게원조마을에 조성된 체험마을로 어촌생활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차유어촌체험마을은 축산면 경정2리에 자리하고 있다. 경정리는 흰빛 모래밭이 길고 넓게 펼쳐져 있어 ‘백불(白沙)’이라고 불리다가 ‘뱃불’로 변한 것으로 이후 ‘경정(景汀)’으로 불리기 시작하였다. 한편 1789년에 발간된 『호구총수』에 ‘차유진경정육리’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체험마을이 자리한 경정2리는 전설에 의하면 고려 충목왕 2년(1346) 예주부사 정방필이 임지를 순시할 때 소수레(牛車)를 타고 마미산(馬尾山)을 넘어 이 마을에 와서 대게를 비롯한 후한 대접을 받았다고 해서 수레 ‘차(車)’와 넘을 ‘유(踰)’ 자를 따서 ‘차유동(車踰洞)’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1895년 지방관제 개편 당시 영해군에 속하였으며 1914년 오매동과 차유동의 일부와 경정동을 합하여 영덕군 축산면에 편입하였다. 1945년 자연부락별로 뱃불은 경정1구, 차유를 경정2구, 지경과 오매를 경정3구로 하였다. 이후 차유는 1950년 경정2동, 1988년 경정2리로 개칭되었다. 한편 이 마을은 오래전부터 대게의 원조마을이라고 전해지고 있어 영덕대게축제의 현장이 되면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국토해양부에서 시행하는 2003년 어촌체험마을 조성사업에 선정되었다.
자연환경
동해와 연접한 전형적인 어촌마을이다. 일출 명소로 유명하며 해안선이 길다. 미역·전복 양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차유마을과 경정마을 사이의 해안가에는 경상북도 동해안 국가지질공원에 포함된 경정리 백악기 퇴적암이 형성되어 있다.
현황
차유어촌체험마을에는 통발체험장, 맨손잡이체험장, 따개비체험장, 풍등체험장, 산림욕체험장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가능한 구역을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2003년에 조성된 체험마을에 다양한 어촌관광 기반시설들이 들어서 있어 도시와 어촌의 교류 확대와 여가공간 제공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동해안 작은 마을 중 하나에 불과했던 경정리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명소로 부상하게 된 건 바로 케이팝(K-POP) 스타 방탄소년단(BTS) 때문이다. 경정항 입구에는 BTS의 화양연화 프롤로그 뮤직비디오 촬영 장소라는 안내판이 있다. 해당 시리즈를 기점으로 BTS 팬덤이 확장되는 동시에 경정리도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게 또 하나의 재미를 더한다.]
13:57~14:00 사진촬영
14:00~14:55 죽도산 블루로드 다리를 건너서 경북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산 106-2 번지에 있는 죽도산 전망대로 이동
[죽도산 블루로드 다리는 와우산과 죽도산을 연결해 주는 다리로서, 139m 길이의 보도현수교이다. 다리 중앙에 설치된 주탑은 높이가 25m이다.]
[죽도산 전망대에 오르면 북으로 뱀같이 구불구불한 해안 너머로 후포항이 보인다. 남으로는 오늘 걸어온 해안이 대게의 발처럼 이어지면서 멀리 영덕 해맞이 공원과 영덕 풍력발전단지의 바람개비가 아름답게 돌고 있다. 파란바다 초록의 산군,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돌아가는 환상적인 바람개비들은 절경 중의 절경이다. 서쪽 아래로는 소가 누워있는 모습과 닮은 동해의 미항인 축산항이 보이고, 그 너머 대소산 봉수대와 작은 산군이 길게 늘어져 있어 내륙도 그야말로 천혜의 비경이다. 죽도산 자락 대나무 숲 속에 조성된 데크길과 전망대도 예사로운 경치가 아니다.]
14:55~15:05 사진촬영 후 휴식
15:05~15:25 경북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145-1(축산항5길 5-1) 번지 부근에 있는 축산항(해파랑길 21코스 종점) 내 축산리 정류장 옆으로 이동하여 탐방 완료
[축산항은 1924년 3월 조성되어 영덕의 대표적인 어항으로 대게 위판이 열리는 전국 5개항 중 한 곳이다. 또한, 축산항은 태백산에서 뻗어 나온 산봉우리의 산세가 해안까지 밀려 내려와 만처럼 쌓인 아름다운 해안선을 이뤄낸 곳이다. 인근의 여러 항으로부터 배들이 유입, 집하, 고기의 입찰 등을 총괄하며, 대게원조마을과 함께 최고의 영덕대게 서식지를 자랑한다.
경북 영덕군 남정면 부경리에 있는 영덕 대게공원을 출발하여 축산항을 거쳐 경북 영덕군 병곡면 병곡리에 위치한 고래불 해수욕장에 이르는 약 64.6km의 해안길이 영덕 블루로드이고, 도보여행을 위한 영덕 블루로드는 A코스, B코스, C코스, D코스 등 4개 코스로 나뉘어져 있다.
축산항은 영덕 블루로드의 C코스(목은 사색의 길)과 B코스(푸른 대게의 길)의 접점이자 해파랑길 21코스와 22코스의 접점인 곳이다.]
15:20~16:00 휴식
16:00~20:00 "좋은사람들" 버스로 축산항을 출발하여 서울 양재역으로 귀경 (319km) [4시간 소요]
해파랑길 21코스 개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