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밑줄 친 단어가 바르게 쓰인 것은? ① 시험지 네 장만 더 주세요. ② 의사와 약사에게 상의하십시오. ③ 좋은 식단은 이렇게 실시합니다. ④ 이 종소리 때문에 귀가 먹었어요. [정답] ④ ① 네 → 넉 '표준어 규정 제17항'에서는 '돈, 말, 발, 푼'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과 결합할 때는 '서, 너'로 쓰고, '냥, 되, 섬, 자'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과 결합할 때는 '석, 넉'으로 쓴다고 규정합니다. 그러나, 이 외의 단위를 나타내는 표현은 보편적인 쓰임을 따르므로, '~냥, ~되, ~섬, ~자'와 같은 특정 수량 단위를 제외하면 '석/넉'보다 '세, 네'가 많이 쓰입니다. ‘중매를 잘 서면 술이 석 잔이요, 잘못 서면 뺨이 석 대’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내 코가 석 자[尺]’라는 관용적 표현도 있습니다. ‘이름 석 자(字)’라는 표현도 흔히 들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석’이 붙는 명사들은 수가 넷일 경우 ‘넉’이 됩니다. 그래서 ‘넉 잔’ ‘넉 대’ ‘넉 자’같이 씁니다. 이 밖에 ‘석/넉’을 붙이는 명사들은 ‘쌀 석/넉 되’ ‘보리 석/넉 섬’ ‘금 석/넉 냥’ ‘종이 석/넉 장’ ‘석/넉 달’ ‘차 석/넉 대’ ‘바둑돌 석/넉 점’ ‘(바둑에서)석/넉 집’…. 등이 있습니다. 한편 ‘세/네’가 ‘서/너’로 쓰이는 경우는 ‘콩 서/너 말’ ‘금 서/너 돈’ ‘새끼 서/너 발’ ‘엽전 서/너 푼’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석/넉’에 비하면 쓰임의 범위가 매우 좁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 ‘석/넉’이 되고 어떤 경우에 ‘서/너’가 되느냐 하는 기준과 관련해 일정한 원칙이 없습니다. ‘석/넉’이 붙는 명사들을 보면 첫소리가 ‘ㄴ’ ‘ㄷ’ ‘ㅅ’ ‘ㅈ’ 등으로 일정한 규칙이 없고, ‘서/너’의 경우도 ‘ㄷ’ ‘ㅁ’ ‘ㅂ’ ‘ㅍ’ 등으로 갈피를 잡을 수가 없습니다. 더구나 같은 곡식이라도 ‘되’나 ‘섬’에는 ‘석/넉’이 붙고 ‘말’에는 ‘서/너’가 붙습니다. 단위가 더 작아져서 ‘홉’이 되면 다른 명사들처럼 ‘세/네’를 붙입니다. ‘서/너/석/넉’의 이런 용법이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1) 석+ '냥', '되', '섬', '자'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예) 석 냥/석 달/석 섬/석 자. 2) 서+ '돈', '말', '발', '푼'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예) 금 서 돈 /쌀 서 말/서 푼 /서 발 장대. 3) 세+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예) 책 세 권/양복 세 벌/장정 세 사람/간장 세 숟가락. 4) 네+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예) 연필 네 자루/물 네 컵 /네 마리/네 명/네 시간. 5) 넉+ '냥', '되', '섬', '자'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예) 금 넉 냥/콩 넉 되 /보리 넉 섬/삼베 넉 자넉 달치 6) 넉+ '냥', '되', '섬', '자' 따위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예) 금 넉 냥/콩 넉 되/보리 넉 섬/삼베 넉 자/넉 달치 7) 네+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예) 연필 네 자루/물 네 컵/네 마리/네 명/네 시간. 8) 넷 : 셋에 하나를 더한 수. 예) 그 집은 딸만 넷이다./장정 넷만 ② 약사에게 → 약사와 서술어 ‘상의하다’는 서로 의논한다는 뜻이므로 앞 체언에 붙은 부사격 조사는 ‘-와’를 써야 합니다. 만일 조사 ‘-에게’를 쓴다면 뒤에 오는 서술어로는 ‘문의하다’와 같은 동사를 써야 어울립니다.l ③ 삭단은 → 식단제는 주어 ‘식단은’과 서술어 ‘실시합니다’의 호응 관계가 어색하다. 주어를 ‘식단제는’으로 고치든지, 주어 ‘식단은’을 살린다면 서술어로는 ‘차립니다’와 같은 동사를 취해야 자연스럽습니다. ④ 먹었어요(○)←멀었어요(×) ‘귀먹다’로 써야 할 말을 ‘눈멀다’의 ‘-멀다’로 쓰면 안 됩니다. 올바른 표현입니다. 2. 조사의 쓰임이 적절한 것은? ① 외국인들은 한국에서의 특별한 체험을 하기 원한다. ② 그렇다고 해서 나에게서 자존심이 없는 것은 아니다.(나에게) ③ 이 질환은 주로 30 40대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④ 운동장에서 축구 경기가 진행되는 가운데 관중석에는 관중들로 꽉 차 있었다. [해설] ③ ① ‘-에서의’는 일본어 번역투의 표현입니다. ‘한국에서’가 바른 표현입니다. ② 나에게서→ 나에게/내게 ③ ‘-에게서’는 유정 체언 뒤에 붙어 행동의 출발점이나 행동이 비롯되는 대상임을 나타냅니다. 예) 형에게서(←에게) 책을 물려받았다 언니에게서(←에게) 바느질을 배웠다. 그들은 용돈이 다 떨어지자 지나가는 중학생한테서(←한테) 돈을 빼앗았다. 그것이 누구에게서(←에게) 나온 이야기냐? 이 질환은 주로 30 40대 남성에게서(←에게/에서) 많이 발생한다. ④ ‘-로’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는 부사격 조사로서 움직임의 방향이나 경로, 변화의 결과,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 어떤 일의 수단·도구 등을 나타냅니다. be located는 ‘~에 위치해 있다’, ‘~에 있다’로 해석합니다. 이것은 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인데 국어에는 전치사가 없습니다. 위 문장은 주어+서술어의 호응이 맞지 않은 문장입니다. 주어(관중들이)+서술어(‘꽉 차 있었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3. 헤매이다(×). 헤매다(○). ‘헤매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흔히 기본형을 잘못알고 있는 표현들로는 개다(←개이다), 설레다(←설레이다) 등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