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사천시 소규모사업장 노동환경 실태조사 결과
사천시 비정규직근로자 지원센터에서는
사천지역 50인 미만(주 20인 미만)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15세 이상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부터 11월까지(약 5주)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합니다.
➊ 조사 목적
○ 사천지역 소규모 사업장 노동환경 실태 파악
○ 조사 결과 공유로 여론환기, 노동처우 개선의 기초데이터 마련
○ 소규모 사업장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마련 등
➋ 조사 범위
○ 사업기간 : 2023. 9. ~ 2023. 12.
○ 조사기간 : 2023.10.06. ~ 2023.11.10.(약 5주)
○ 조사대상 : 사천시 소재 50인 미만(20인 미만 위주) 사업장 노동자. 만15세 이상.
○ 조사업종 : 제조업·도소매업·숙박 및 음식점업·교육서비스업·사회복지서비스업 위주
➌ 조사문항
대분류 | 세부문항 | 문항수 |
A. 기본정보 | - 성별, 연령, 거주지, 가구원 수, 소득 가구원 수, 업종, 담당업무, 사업장 규모, 고용형태, 임금명세서 교부, 근속기간 | 12 |
B. 노동조건 및 임금 | - 근로계약서 교부 여부 - 노동시간, 임금, 휴가 등 노동조건 - 사회보험 가입 여부 | 10 |
C. 복지제도 및 노동안전 | - 사내 복지제도 종류, 휴게시설 설치 여부 - 법정 휴가‧휴직 보장 - 상병휴가, 산업재해 경험 여부 | 10 |
D. 직장 만족도 | - 취업경로, 지원동기 - 취업규칙 유무, 직장내괴롭힘 경험여부 - 이직의사 - 노동단체 유무 및 근로자대표 선출방식 | 9 |
E. 노동권익 및 정책 | - 노동단체 유무 - 소규모 사업장 노동처우 개선 우선순위 - 지방자체단체 정책마련 우선순위 | 6 |
합 | | 47 |
❹ 조사 및 분석 방법
○ 문항 설계 : 기존 조사지 및 각종 노동환경 실태조사지를 토대로 문항 설계
사천지역 소규모 사업장 현황 통계자료를 토대로 설문 대상 설계
○ 조사 방법 : 온·오프라인 참여를 통한 직접기입
○ 분석 방법 : 네이버 폼 이용한 설문취합, 기본자료 추출. 사례 검토 후 유효자료 재분류
조사 내용의 빈도 및 비율을 분석,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응답 분석함.
- 성별, 연령, 업종, 고용형태, 사업장 규모, 근속기간
■ 사천지역 소규모 사업장 노동자 노동환경 실태조사에 참여한 104명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남성 41명(84.92%), 여성 63명(60.6%)이 참여하였고, 연령대는 40대(48.1%)가 가장 많았으며 사업장의 업종으로는 제조업(28.8%)이, 수행 업무로는 사무직(34.6%)이 많이 참여함.
■ 5인 미만 사업장(34.6%)이 가장 많았고 30명~49명 이하 사업장(26.9%)이 그 다음 순이었음. 참가자의 10명 중 6명 정도(56.7%)가 20명 미만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고용형태는 비정규직(기간제 39.4%, 파견·용역 9.6%)이 49.0%이고, 정규직이 51.0%이었음. 이들의 현 직장에서의 근속기간 중 5년 이내 근속자 위주로 살펴보았을 때 1년 미만으로 근무하고 있는 경우(30.8%)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2년~3년 미만(10.6%), 3년~4년 미만(9.6%), 1년~2년 미만(7.7%) 순이었음. 10명 중 3명(30.8%)이상이 1년 미만 근속, 3명 이상(31.7%%)이 1년(12개월)이상~5년 미만 근속, 10명 중 2명 이상(24.0%)이 10년 이상 장기근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근로계약기간이 정함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 절반이상(51.9%)이었고 다음으로 12개월(24.0%), 3개월~1년 미만(18.3%), 3개월 미만(5.8%) 순으로 나타남. 근로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은 경우 1년 미만(24.0%)과 12개월(24.0%)이 동수였음.
■ 이들 10명 중 3명 이상(63.4%)이 1주 평균 40시간(31.7%) 또는 40시간 초과~52시간(31.7%) 근무하고 있었으며 전체 10명 중 4명 정도(39.4%)가 법정 노동시간인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한편, 주15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경우도 10명 중 1명(10.6%)이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