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6-11 국제신문
- 부지비용 뺀 이전비만 30억
- 민간사업 시비투입 특혜 지적
부산시가 부산진구 어린이대공원 내 자유회관의 이전을 본격 검토하고 있다. 내년 개장하는 동물원 더파크의 주차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민간사업으로 유발된 주차난을 해결하는 데 혈세를 투입해서는 안 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아 진통이 예상된다.
1979년 11월 개관한 자유회관은 지하 1층에 지상 3층 규모로 대지면적은 약 5740㎡(1739평). 당시 성금 5억4262만8000원을 모아 건립했다. 현재는 자유총연맹 부산시지부가 위탁관리하고 있다.
시가 34년 된 '반공의 아이콘' 건물을 옮기려는 이유는 내년 개장하는 '더파크'와 부산시민공원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현재 어린이대공원 입구에 있는 주차장은 총 307면. 2010년 더파크 사업자가 시행한 교통영향평가에 따라 시공사인 삼정기업은 더파크 개장 전까지 500면(총 807면)을 증설할 예정이다. 그러나 "동물원 규모를 볼 때 주차면적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주차부지를 물색하던 시는 자유회관 자리에 주차장을 증설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보고 있다. 대신 자유회관은 어린이대공원과 가까운 부산진구 연지동 연지공원(1597㎡·조성 중)으로 옮긴다는 구상이다. 자유회관 이전비용은 땅값을 빼고 25억~30억 원으로 추산된다. 시 관계자는 11일 "더파크를 이용하는 시민 편의를 위해 자유회관 이전을 타진하고 있다. 이전이 확정되면 비용은 세금으로 충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민간사업자를 위해 세금을 들여 자유회관을 옮기는 것은 옳지 않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부산시의회 손상용(북구2) 의원은 "동물원 주차난 우려 때문에 자유회관을 이전하려는 것 아니냐. 원인을 제공한 민간사업자가 이전 비용을 대는 것이 맞다. 주차장이 넓어지면 수익성도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공직사회 내부에서도 "자유회관 이전이 확정되면 비용 부담을 놓고 논란이 거셀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시는 지난달 부산발전연구원에 '어린이대공원 주차장 확충 계획 및 타당성 검토 용역'을 의뢰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