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투후(秺侯) 김일제(金日磾)의 가계도(家系圖)와 계보(系譜)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삼국사기를 편찬한 고려시기의 김부식은 김씨의 조상을 김알지(金閼智)로 기록하고 있으나 신라 당대의 금석문인
문무왕 비문, 김인문 비문, 대당김씨부인묘 등은 김씨의 시조를 모두 흉노 출신인 김일제(金日磾)의 후손으로 신라의 태조를 성한왕(星漢王), 한왕(漢王)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秺侯祭天之胤 傳七葉 以〇〇焉. 十五代祖星漢王 降質圓穹
투후(秺侯) (김일제)는 제천(祭天)의 후손으로 7대를 전하여, 15대 선조 성한왕(星漢王)은 그 바탕이 하늘에서 내려오고..
『신라 문무왕릉 비문』
太祖漢王啓千齡之 聖臨百谷之
태조한왕(太祖漢王)은 천년의 ▨을 열고, ▨성(▨聖)은 백곡(百谷)의 ▨에 임하셨다.
『김인문 비문』
遠祖諱日磾自龍庭歸命西漢仕武帝
먼 조상 이름은 일제(日磾)시니 흉노 조정에 몸담고 계시다가 서한(西漢)에 투항하시어 무제(武帝) 아래서 벼슬하셨다.
『대당고김씨부인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
하대로 내려와 흥덕대왕능비 편에서도 태조성한(太祖星漢)이라는 표현이 보이며, 신라말~고려초를 살다간 두 승려 중 진철대사 보월승공탑에서는 그를 일러 성한(星漢)의 후예라 하고, 비로암 진공대사보법탑에서는 그의 선조를 성한(聖韓)이라 하였습니다.
역사 사료는 후대의 역사가의 사관에 의해서 왜곡될 수 있으나 금석문(金石文)은 당대 인물들의 직접적인 기록으로 사료적 가치로 금석문을 더 높게 보고 있는 것이 학계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따라서 이런 기록을 통해 신라인들이 태조(太祖)로 생각한 인물은 김일제의 후손인 성한왕(星漢王)이라는 것이 실제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김일제의 계보에 있는 태조 성한왕(星漢王)이 누구 일까요? 『한서』 김일제 전의 내용을 보면 김일제의 가계도를 알수 있는데 아래 내용은 이를 근거로 한 바이두백과(百度百科)에서 정리한 김일제 계보입니다.
흉노 우현왕인 휴도왕은 두아들 김일제와 김윤이 있었으며 김일제 및 후손들이 투후(秺侯)의 관직, 김윤의 후손들은 성도후(成都侯)로 관직을 받습니다. 계보 상에서는 투후는 3명으로 표시되어 있고, 성도후는 4명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투후, 성도후는 제후의 관직이기도 하며 지역을 뜻하기도 합니다. 투후로 추정되는 지역은 산동성 하택시이며 성도후의 지역은 사천성입니다. 그런데 우연히도 산동성(山東省)은 김씨(金氏)의 조상으로 알려진 소호금천씨(少昊金天氏)의 활동지역이며, 사천성(四川省)은 허황옥과도 관련이 깊은 지역입니다.
이 계보는 한서의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인데 투후를 지낸 인물들을 보면 직계는 김상(金賞, 金赏)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방계는 김당(金當, 金当)까지 기록되어 있습니다. 즉 투후의 관직이 직계에서 방계로 계승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내용은 한서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当曾祖父日磾传子节侯赏,而钦祖父安上传子夷侯常,皆亡子,国绝,故莽封钦、当奉其后。
김당의 증조부 김일제는 아들이 절한 후에 (투후 관직이)김상(金賞)으로 전해지고, 김흠의 조부 김안상은(성도후 관직이) 아들 이후 김상(金常)으로 전해지고, 모두 아들이 죽어 나라가 끊기자 왕망이 김흠(金欽)을 (성도후에)봉하고 김당(金當)이 그 후(투후)를 받들었다.
『한서』 「권68 김일제전」
정리하면 김일제의 첫째 아들이 죽고 둘째 아들인 김상(金賞)이 투후가 되고 아들들이 모두 죽어서 방계인 김당(金當)에게 투후 관직이 계승되었다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계보에 없는 김일제의 첫째 아들이 있었다는 것은 『한서』 「김일제전」에 보면 첫째 아들은 김농아(金弄兒)이며 일찍 죽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계보를 보면
김일제(金日磾) - 김농아(金弄兒) - 김상(金賞) - (방계)김당(金當)
으로 문무왕 비문에 보면 투후(秺侯) (김일제)는 제천(祭天)의 후손으로 7대를 전한다고 되어 있는데 기록에는 4대 만 알수 있으며 나머지 3명과 성한(星漢)으로 추정되는 인물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런데 다른 구절을 보면
赏故国君
김상(金賞)은 김국(金国)의 부군(君)으로서
『한서』 「김일제전」
라는 구절이 보이며 김상(金賞)의 후손에 김국(金国)이라는 인물이 또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김당(金當)의 후손이 김성(金星) 즉 성한왕(星漢王)이라는 주장이 있는데요. 관련 내용을 섬서성(陝西省) 서안시(西安市) 경도김씨(京兆金氏) 계보에 김상(金賞)의 후손들과 김당의 아들로 김성(金星)이라는 인물이 모두 기록되어 있습니다.
김일제(金日磾) - 김상(金賞) - 김상(金尙) - 김국(金國)(절손絶孫) - 김당(金當) - 김성(金星)
그리고 이 기록을 통해 즉 『한서』 기록의 国绝은 나라가 망하다가 아니라 김국(金國)이 죽어서 절손(絶孫)이되었다는 뜻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김국(金國)에서 직계의 대가 끈어 졌으며, 투후의 계보가 방계인 김당(金當)과 김성(金星)으로 이어졌으며 김성(金星)이 바로 성한왕(星漢王)으로 추정되는 인물입니다. 정리하면 문무왕 비문의 "투후(秺侯) (김일제)는 제천(祭天)의 후손으로 7대를 전한다"는 내용은
김일제(金日磾) - 김농아(金弄兒) - 김상(金賞) - 김상(金尙) - 김국(金國) - 김당(金當) - 김성(金星)
의 7대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를 계보로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리하면 김성(金星)이 문무왕 비문의 신라의 태조 성한왕(星漢王)이고 같은 시기의 사천성 성도의 김탕(金湯)이 가야를 건국한 김수로왕(金首露王)으로 추정되는 인물입니다. 즉 신나라가 멸망하자 투후국(秺侯国)의 김성(金星)은 남하하여 양자강 부근 안위성(安徽省) 추저우시에 경착하고 사천성(四川省)의 성도후국(成都侯国)의 김탕(金湯)은 허씨(許氏)와 혼인 동맹을 맺고 먼저 한반도 남부로 이주해 세운 국가가 금관가야(金官伽倻)가 됩니다. 이러한 김일제의 김씨 계보 내용들을 반영하여 이동 경로를 보완하면 최종 이동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김알지(金閼智)에 대해서 알아 보기 위해 김당(金當)의 어머니와 왕망(王莽)과의 관계를 기록한 『한서』 「김일제전」의 기록을 보면
当母南即莽母功显君同产弟也。当上南大行为太夫人
김당(金當)의 모친 남씨는 곧 왕망(王莽)의 어머니로 임금과 같은 배에서 생산된 동생이라는 공이 드러난다. 김당(金當)이 남대행(南大行)을 태부인으로 올렸다.
『한서』 「김일제전」
김당과 왕망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같은 배에서 생산되었다 하며 남대행(南大行)을 어머니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기록들이 있어 논란은 되고 있으나 김알지는 1세기의 인물인 남대행 태부인(南大行 太夫人)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 이유로는 삼국사기에 보면 김알지로 시작하는 신라 계보가 기록되어 있는데
閼智生勢漢, 勢漢生阿道, 阿道生首留, 首留生郁甫, 郁甫生仇道, 仇道則味鄒之考也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고,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가 바로 미추의 아버지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미추이사금
김알지(金閼智)에 대해서는 1세기 탈해 이사금 시기에 신라로 들어온 인물이고 세한(勢漢)은 한나라시기의 인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김일제, 김윤과 같이 한나라로 들어온 휴도왕의 부인 알씨(閼氏) 부인은 서기 전 2세기의 인물입니다. 따라서 알지가 1세기에 신라로 들어 왔다면 알지가 알씨 부인일 가능성은 없습니다. 그런데 알씨(閼氏)는 흉노의 왕비를 칭하는 보통 명사로도 사용되므로 남대행 태부인(南大行 太夫人)으로 대표되는 세력이 바로 김알지(金閼智)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알지와 세한(勢漢)은 한(漢)시기의 남대행 태부인의 이동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첫댓글 다양한 설들을 하나로 잘 묶어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 주셨네요^^
이렇게 정리하기 쉽지 않는데~
동이선생님의 글 항상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족한 글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