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바자브 세렝게 전몽골녹색당 당수는 18일서울통인동환경운동연합 사무실에서 열린기자간담회에서 현재 몽골의원자력문제를 이야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라그바자브 세렝게 전 당수는 지난 14~15일일본요코하마에서 열린 '탈원전세계회의'에 참석했다 환경운동연합, 탈핵교수모임 등의초청으로한국을 방문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몽골의 우라늄매장량을 150만t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우라늄 채굴권을 두고미국,러시아, 일본 ,프랑스등 각국에서 경쟁을 벌이고 있고 한국 역시 몽골 정부와 정상회담에서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 때문에 몽골은 안팎으로 원자력 발전을 두고 몸살을 겪고 있다. 우라늄 채굴, 원자력 발전소건설, 핵 폐기장 건설 등의 원자력이슈가 한꺼번에 얽혀 있고 몽골을 둘러싸고 있는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 등도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현재 녹색당이집중하는 이슈 역시 △우라늄 채굴 반대 △원전 건설 반대 △핵 폐기장 건설 반대 등 원자력에 집중되어 있다.
▲라그바자브 세렝게 전 당수는. ⓒ프레시안(채은하)
라그바자브 세렝게 전 당수는 "핵 발전 반대를 위한 동아시아 연대, 국제 연대'를 강조했다. 그는 최근 논란이 된 핵 폐기장 건설 문제를 '국제 연대의 힘'을 보여준 사례로 들었다. 지난 5월 <마이니치신문>은 미국과 일본이 몽골에 사용후 핵연료를 저장·가공하는 '국제 핵폐기물 처리장'을 짓는 계획을 추진해왔다고보도했다. 막바지에는 한국이 원전을수출한 아랍 에미리에이트에서도협상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국제적인 비난 여론이 일었음은 물론 몽골 내에서도 반대 여론이 높았다. 라그바자브 세렝게 전 당수는 "애초에 정부에서는 비밀로 했지만언론보도와인터넷등을 통해 국민들에게도 알려졌다"며 "녹색당이 주도한 반대 서명운동에 6000명의 사람들이 동참하고 반대 운동 자체가 몽골 내언론에서도 크게 다뤄지는 등 몽골 내에서 반대 여론이 크게 일었다"고 밝혔다.
국민들의 반대 여론에 부딪힌 몽골 정부는 일단 핵폐기물 저장소 협상을 중단한다고 밝힌 상태다. 몽골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외국이나국제기구와 핵 폐기물 저장과 관련한 협상을 금지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고, 미국과 일본을 상대로 협상을 진행했던대사를 파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