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Router)
(01)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과 WAN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네트워킹 장비로서, 임의의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시켜 준다.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팅 기능이 존재하는 곳은 OSI 3 계층이고 인터넷을 전용선을 통해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장비이다. 라우터는 브리지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데이터 패킷을 한 네트워크에서 다음 네트워크로 넘기기 위해서는 또 하나의 계층을 필요로 한다. 로컬 컴퓨터 네트워크(LAN)에서 전화선으로 이어진 장거리선까지 데이터 루트를 정한다. 라우터는 통행 경찰의 역할을 하여 사용 권한이 있는 컴퓨터에게만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락한다. 그러므로 개인적인 정보는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이얼 인과 전용선 방식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에러를 처리하고 네트워크 사용 통계를 유지하고 보안 문제를 담당한다.
(02) 네트워크 구성 방식이나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을 말한다. 인터넷 연결을 위한 필수장비로, 둘 혹은 그 이상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최적 경로를 설정해 주며, 데이터를 해당 경로를 따라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넷 접속장비이다. 네트워크상에서 전송한 디지털신호를 송신정보(패킷)에 담긴 수신처 주소에 맞게 최적의 경로를 찾아 통신망에 전송해 준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해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로, 전화국의 교환기와 비슷한 개념이다. 패킷(packet)이란 통신망에서 주고받는 메시지의 조각을 지칭하며, 패킷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목적지 주소까지 포함하고 있다.
내부 네트워크는 사용하는 컴퓨터 기종이나 OS, 프로토콜 등을 확실히 알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내부 네트워크를 외부와 연결할 때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컴퓨터 기종 등의 정보를 알 수 없다. 이러한 알 수 없는 임의의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가 바로 라우터이다. 패킷(packet)을 전송하는 일을 전담하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상의 경로를 지정하고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킨다. 또 다른 인터넷 접속장비인 브리지(bridge)는 단순히 데이터를 통과시킬 것인가의 여부만을 판단하지만, 라우터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토콜을 해석하고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출한다. 그러나 라우터는 그 기종에 따라서 대응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한정되어 있다.
그리고 라우터는 다른 기종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프로토콜에서 전송되는 패킷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받아들인 패킷을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보내며 흐름제어를 한다. 예를 들어, A란 정보를 전달하고자 할 때 라우터는 일단 이 정보를 A-1, A-2, A-3 식으로 쪼갠다. 쪼개진 정보는 최적의 경로를 찾아 상대방 서버를 찾아가고 상대방에 붙은 라우터는 이 쪼개진 정보(A-1, A-2, A-3)들을 다시 A라는 원래의 모습으로 조합한다. 따라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보낼 수 있으며 용량이 큰 동영상이나 음성 정보도 인터넷을 통해 무리 없이 주고받을 수 있다.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웍을 연결하는 장치로 네트웍 계층간을 서로 연결한다. 라우터는 브리지가 가지는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네트웍 또는 자신의 네트웍 내의 노드를 결정한다. 그리고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라우터는 흐름제어를 하며, 인터네트웍 내부에서 여러 서브네트웍을 구성하고, 다양한 네트웍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라우터(Router) (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 2011.1.20, 일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