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상20:1
지구촌 곳곳에서 분쟁과 전쟁이 끊이질 않습니다. 인류 역사에 지울 수
없는 상처와 오점이 새겨지는데도 힘자랑하는 권력자들의 오만과 야욕이
생명을 경시하고 파괴하는 방향으로 치우칩니다. 명분 없는 전쟁은 없지만
펼쳐보면 명분이 아니라 탐욕이 죽음을 부를 뿐입니다.
Conflicts and wars continue throughout the world. Although indelible
wounds and stains are engraved in human history, the arrogance and
ambition of those in power who boast of their power tend to neglect and
destroy life. There is no war without justification, but when you unfold it,
greed, not justification, only causes death.
-
친명배금 정책은 고려 후기 신 사대부들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통설입니다. 광해의 일대기를 다룬 드라마 ‘화정‘을 보면서 적어도 광해는
명과 후금 사이에서 균형 감각을 유지하려 나름 노력했다고 생각합니다.
당근 후금은 조선이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이중 플레이를 한다는 걸
인지하였고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명분을 삼은 것으로 보입니다.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policy of being close to the Ming Dynasty
and rejecting the latter began with the godfathers in the late Goryeo
Dynasty. Watching the drama Hwajeong, which deals with the life story
of Gwanghae, I think at least Gwanghae tried to maintain a sense of
balance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Later Jin. The carrot hugeum
recognized that Joseon played a double role between Ming and hugeum,
and seems to have taken the cause of the Jeongmyo Horan and
Byeongja Horan.
-
광해에 대한 재평가의 움직임이 어떻든지 간에 저는 연산군 같은 왕을 제외
하고는 그 왕이 그 왕이고 하나같이 50 보 100라고 생각합니다. 솔로몬의
화려함 뒤에 성전 건축 공사가 있었듯이 공민왕의 노국공주를 위한 불당
건축과 광해의 무리한 토목 공사는 결국 파국으로 치 닿게 됩니다.
Whatever the movement of the revaluation of Gwanghaegun, I think the
king is 50 steps and 100 steps altogether, except for a king like Yeonsan.
Just as there was construction of the temple behind Solomon's splendor,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ist temple for King Gongmin's old princess
and the excessive civil engineering of the Gwanghae eventually led to
catastrophe.
-
오늘 본문은 아람의 벤하단 왕이 사마라아 성을 포위하고 사신을 두 차례
보내어 겁을 주다가 기어이 공격할 것을 명령한다는 이야기로, 이스라엘
아합 왕은 처음에는 아람의 청을 들어주다가 나중엔 마음을 바꾸어 일사
항전을 결의한다는 내용입니다.
Today's text tells the story that King Benhadad of Aram surrounds Samaraa
Castle, sends an envoy twice to scare him, and then orders him to attack.
King Ahab of Israel first listens to Aram's request, then later changes his
mind and decides to fight against Japan.
-
광해 때 누르하치가 명나라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공격하자 수세에 몰린 명은
조선에 소총수 7000명을 지원하라고 요구하였고 누르하치는 파병하지 말라고
조선 조정에 강력히 요구한 일이 있습니다. 당시 조선 조정은 광해군과 그의
즉위를 도운 대북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었는데 이 신료들은 조선이 국내 수비에
치중하는 것이 후방 수비라는 차원에서 유익하다며 명이 한 요구에 미적지근한
태도를 보였으나 임진왜란 때 명이 원군을 파견해 도운 일을 감안하면 원병을
보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When Nurhachi declared war on Ming and attacked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Ming, who was on the defensive, provided 7,000 riflemen to
Joseon I asked for it, and Nurhachi strongly asked the Joseon government not
to send troops. At that time, the Joseon government was controlled by
Gwanghaegun and North Korea, which helped him to ascend the throne, and
these ministers said that Joseon focused on domestic defense He showed a
lukewarm attitude to Myeong's demand, saying it was beneficial in terms of rear
defense,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Myeong dispatched Won troops to help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had to send Won soldiers.
-
이에 광해군은 명에 원군을 보내되 싸움이 시작될 때 항복해 조선이 부득이
파병한 실정을 설명하게끔 하였다는 야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파병된
인원의 80%가 전사했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항복을 하려면 그전에
했어야지 이미 군이 궤멸 후에 항복이라는 건 밀지가 없어도 당연한 조치입니다.
사실 남의 전쟁참가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미 너무 늦은 조취이지요.
In response, there is a story that Gwanghaegun sent troops to Myeongnana,
but surrendered at the beginning of the fight, allowing Joseon to explain the
situation in which it was inevitably. However, this is not credible in that 80% of
the troops sent were killed. If you want to surrender, you should have done it
before then. Surrender after the army is destroyed is a natural measure even
if there is no pushback. In fact, considering that it's someone else's participation
in the war, it's too late.
-
아무튼 항복이냐 결사항전이냐가 본문의 키워드입니다. 아람의 벤하닷 왕은 벤하닷
2세로, 지중해 무역 로의 패권을 놓고 아합의 아버지 오므리와 전쟁을 했던 벤하닷
1세의 아들입니다. 그는 자기 아버지같이 대 이스라엘 전을 계획하였는데 학자들에
의하면 그 원인은, 이스라엘을 점령하기 보다는 옆의 강대국 앗수르의 공격에 대비
하기 위해 주변나라를 규합하여 연합군을 형성하려는 의도였다고 합니다.
Anyway, surrender or do or die is the keyword of the text. King Benhadad of Aram
was Benhadad II, the son of Benhadad I, who fought against Omri, the father of Ahab,
over the hegemony of the Mediterranean trade route. Like his father, he planned the
war against Israel, which scholars say was to form an alliance by rallying the
surrounding countries to prepare for the attack of the next great power, Athur, rather
than occupying Israel
-
당시 앗수르의 살만에셀 3세가 서서히 아람을 위협하고 있었습니다. 벳하단과 대동한
32명의 왕들은 큰 나라의 왕들이 아니라 아람(시리아)의 조그만 도시 국가나 부족의
왕들입니다. 당시 아람은 여러 개의 작은 지역 국가들로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벤허닷은 아람 다메섹의 왕이었으나 아람의 작은 국가들을 합병하는데 성공했습니다.
At that time Salmansel III of Athur was slowly threatening Aram. The 32 kings that are
accompanied by Beth Hadan are not the kings of the big country, but the kings of the
small city of Aram (Syria), the state or tribe. At that time, Aram was formed of several
small regional countries. Benhuddat was the king of Aram Damesek but succeeded
in annexing the small states of Aram.
-
그런 그가 첫 번째로 아합에게‘네 은금은 내 것이요 네 아내들과 네 자녀들도 다 내
것이니라’고 합니다. 은금은 이스라엘의 국력을 말하는 것이고, 아내들은 아합 왕권의
상징이고,자녀들을 원한 것은 인질을 요구한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이스라엘이 패전
국으로서 바쳐야 할 배상과 조공을 요구한 셈입니다.
He said to Ahab, "Yes, the gold is mine Your wives and your children are all mine.'
Silver gold refers to Israel's national power, wives are symbols of the king's power,
and what you want your children for is a hostage. So he demanded compensation
and tributes that Israel should pay as a loser.
-
하지만 두 번째는 말을 바꾸어 그의 신하들을 보내어 모든 집을 수색하여 좋은 것들을
갖고 가겠다고 합니다. 그 말은 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 성을 정식으로 접수 하겠다는
말입니다. 궁궐뿐만 아니라 모든 백성들의 집안까지 샅샅이 뒤져 약탈하겠다고 했기
때문입니다. 아합은 장로들에게 벤하닷의 지나친 요구를 수용해야 할지를 물었고 이에
장로들이 발끈하며 반대를 했습니다.
The second, however, changed his words and said he would send his servants to search
all the houses and take the good things with him. That means that we will officially accept
the castle of Samaria, the capital of Israel. This is because he said he would search not
only the palace but also the homes of all the people and loot them. Ahab asked the elders
if they should accept Benhadad's excessive demands, and the elders were furious and
opposed.
-
그리고 첫 번째 요구는 몰라도 그 이상의 요구는 즉, 두 번째의 요구는 들어 줄 수 없다는
답변을 보냈습니다. 그러자 벤하단이 격노하여 ‘사마리아의 부스러진 것이 내 부하들의
손에 채우기에 족하다면 신들이 자기에게 벌을 내릴 것이다’고 했습니다. 그 말은
사마리아를 철저히 파괴하겠다는 뜻입니다.
And I sent a reply that I could not accept the first request, but the second request, that
is, the second demand more than that is, the second request. Then Ben-Hadha became
furious and said, "If the crumbs of Samaria are enough to fill my men's hands, the gods
will punish him." That means we're going to destroy Samaria completely.
-
그래서 부하들이 전리품 하나도 챙길 것이 없게 말입니다. 그 말에 아합은 ‘’갑옷 입는
자가 갑옷 벗는 자같이 자랑하지 못할 것이라’고 응수했습니다. 갑옷을 입는 사람이
\갑옷을 벗은 사람처럼 자랑해서는 안 된다는 말입니다. 길고 짧은 건 대봐야 알지
싸우기도 전에 뭐 그리 장담하냐는 것입니다. 갑옷을 벗은 다음에 이야기해 보자는
것입니다.
So that your men don't have to take any spoils. Ahab responded, "Those who wear
armor cannot brag like those who take off their armor." It means that a person
\wearing armor shouldn't brag like a person taking off his armor. The long and short
thing is, you know, what are you so sure before you before you fight. Let's talk
about it after we take off our armor.
-
‘중과부적’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도저히 어찌해 볼 수 없는 전쟁 상황을 가리킬 때
사용되는 용어로, 자신의 능력으로 어쩔 수 없을 때 하늘만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인생에서 그런 위기가 있습니다. 가급적 없는 것이 좋겠지만 누구나 닥치는 것이
위기입니다. 그 때 어떻게 대처 하느냐가 관건일 것입니다.
There's a saying, "Moderate wealth." It's a term used to refer to a war situation
that you can't do anything about, which means you only look at the sky when you
can't help it. There is such a crisis in life. It would be better if there were none,
but it is a crisis that everyone faces. How to deal with that will be the key.
-
그 과정에서 반드시 드러나는 것이 있습니다. 그 사람의 속 모습입니다. 다급할 때
여실히 드러나는 것이 그 사람의 본질이라 그렇습니다. 그것은 그 사람이 평소에
어떻게 살았는지를 숨김없이 반영합니다. 사람 속에 있는 것이 나오는 것이지 없는
것이 나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평소 실력이 나오는 것이지요.
There is something that must be revealed in the process. It's his inner self. It's
the nature of that person that is clearly revealed in an urgent situation. It is a
candid reflection of how the person usually lived. Because what is in a person
comes out, not what is not. That's how you usually do it.
-
무역 관련 친미냐, 친 중이냐? 로 갑론을박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반미냐 반중 이냐?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을 떠난 세상 지도자들의
허풍과는 달리 전쟁은 아무에게도 승리를 가져다주지 못하니까요.
삶의 위기 앞에서 하나님을 찾는 바른 자세는 무엇인가?
그래도 나는 아내에게 항복을 하지 않을 것인가?
Pro-US or pro-China trade? We're arguing about it.
Is the question anti-U.S. or anti-China?It's because, unlike the bluster of
the world leaders who left God, war brings victory to no one. What is the
right attitude to find God in the face of a life crisis?
Still, I won't surrender to my wife?
-
사마리아를 침략한 벤하닷(1-3)
벤하닷의 요구를 승낙한 아합 왕(4-6)
벤하닷의 요구를 거절하기로 결정한 아합 왕(7-9)
사마리아의 성읍을 포위한 벤하닷(10-12)
-
아람의 벤하닷 왕이(1a)
그의 군대를 다 모으니(1b)
왕 삼십이 명이 그와 함께 있고(1c)
또 말과 병거들이 있더라(1d)
-
이에 올라가서 사마리아를 에워싸고(1e)
그곳을 치며(1f)
사자들을(2a)
성 안에 있는 이스라엘의 아합 왕에게 보내(2b)
-
이르기를 벤하닷이 그에게 이르되(2c)
네 은금은 내 것이요(3a)
네 아내들과 네 자녀들의 아름다운 자도(3b)
내 것이니라 하매(3c)
-
이스라엘의 왕이 대답하여 말하기를(4a)
내 주 왕이여 왕의 말씀 같이(4b)
나와 내 것은 다 왕의 것입니다. 하였더니(4c)
사신들이 다시 와서 이르되(5a)
-
벤하닷이 이르노라(5b)
내가 이미 네게 사람을 보내어 말하기를(5c)
너는 네 은금과 아내들과 자녀들을(5d)
내게 넘기라 하였거니와(5e)
-
내일 이맘때에(6a)
내가 내 신하들을 네게 보내리니(6b)
그들이 네 집과 네 신하들의 집을 수색하여(6c)
네 눈이 기뻐하는 것을(6d)
-
그들의 손으로 잡아 가져가리라 한지라(6e)
이에 이스라엘 왕이(7a)
나라의 장로를 다 불러 이르되(7b)
너희는 이 사람이(7c)
-
악을 도모하고 있는 줄을 자세히 알라(7d)
그가 내 아내들과 내 자녀들과(7e)
내 은금을 빼앗으려고(7f)
사람을 내게 보냈으나(7g)
-
내가 거절하지 못하였노라(7h)
모든 장로와 백성들이(8a)
다 왕께 아뢰되(8b)
왕은 듣지도 말고 허락하지도 마옵소서. 한지라(8c)
-
그러므로 왕이 벤하닷의 사신들에게 이르되(9a)
너희는 내 주 왕께 말하기를(9b)
왕이 처음에 보내 종에게 구하신 것은(9c)
내가 다 그대로 하려니와(9d)
-
이것은 내가 할 수 없나이다. 하라 하니(9e)
사자들이 돌아가서 보고하니라(9f)
그 때에 벤하닷이(10a)
다시 그에게 사람을 보내어 이르되(10b)
-
사마리아의 부스러진 것이(10c)
나를 따르는 백성의 무리의 손에(10d)
채우기에 족할 것 같으면(10e)
신들이 내게(10f)
-
벌 위에 벌을 내림이 마땅하니라 하매(10g)
이스라엘 왕이 대답하여 이르되(11a)
갑옷 입는 자가 갑옷 벗는 자 같이(11b)
자랑하지 못할 것이라 하라 하니라(11c)
-
그 때에 벤하닷이(12a)
왕들과 장막에서 마시다가(12b)
이 말을 듣고 그의 신하들에게 이르되(12c)
너희는 진영을 치라 하매(12d)
곧 성읍을 향하여 진영을 치니라(12e)
-
권력자의 굴복적 항복_ the submissive surrender of the powerful
권력자의 말 바꾸기_ a change of words from a person in power
권력자의 무모한 대결_ a reckless confrontation between the powerful
-
이스라엘을 벤하닷의 손에 붙이신 하나님,
제가 주제파악도 못하고 허풍을 떠는 아합이었나이다.
내 아내와 자녀를 내 힘으로 지키지도 못할 것이면서 사면초가의 상황 속으로
몰고 갔습니다. 더 이상 내 가정을 파국으로 치 닿게 하지 않으려면 지금은
항복하는 것이 순종일 것입니다. 주여, 불쌍히 여기시고 자비를 베푸소서.
God who has put Israel in Ben-Had's hands,
Was I Ahab who was bluffing without understanding the topic.
I drove my wife and children into a beleaguered situation, unable
to protect them on my own. Surrender would be submissive for now
if I no longer want to bring my family to a catastrophe. Lord, be pitied
and have mercy.
2023.10.22.sun.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