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에 다녀도 무슨 나무인지 알려고 하지도 않다보니 몇년간 다녔어도 소나무 외엔 별로 아는게 없다
그래서 침엽수 몇가지를 인터넷에서 발췌해 공유한다
전나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자료 발췌
이칭별칭 젓나무
유형 동식물
성격 식물, 나무
학명 Abies holophylla MAX.
생물학적 분류 소나무과
외형(크기, 길이, 높이) 높이 40m
출산/개화시기 4월 하순
정의 :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
내용 : 젓나무라고도 한다. 학명은 Abies holophylla MAX.이다. 높이는 40m에 달하고 작은 나뭇가지는 털이 없거나
약간 있으며 겨울눈에는 털이 없으며 수지가 약간 묻었다.
잎은 침형이며 길이 4㎝로서 뒷면에 흰 기공선(氣孔線)이 있다. 꽃은 4월 하순에 피고, 열매는 원통형이며 길이
10∼12㎝로서 위를 향하고 10월 초에 익는다. 실편(實片)은 둥글고 성숙하면 축에서 떨어지고 포는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나라 전국의 심산에서 자생하는 나무로 추위에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월동이 가능하다. 생육적지는 토양습도가
높고 공중습도도 높은 곳이다.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어려서는 강한 나무그늘 속에서도 잘 자라는 음수이다.
재식한 뒤 7, 8년까지는 매우 느리게 자라지만 그 이상이 되면 생장속도가 빨라진다. 보통 번식은 가을에 열리는
종자를 채종하였다가 2월 중에 모래와 섞어서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4월에 흩어 뿌리면 잘 발아한다.
발아한 어린모는 반드시 그늘망을 만들어서 음지에서 보호를 받도록 한 뒤에 묘포에서 3, 4년간 길러져야 한다.
묘포에서 길러진 모는 나무그늘 아래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기존 나무숲을 일렬로 잘라내고, 그 자리에 심어서
키워야 한다.
전나무는 나무에서 종자가 달린 뒤 저절로 떨어져 야생상태에서 번식하는 천연 갱신작업이 잘된다. 재질이 우수하여
펄프원료나 건축용재·가구재료로 고급시된다.
나무 모양이 아름다워서 도시 정원의 정원수나 크리스마스트리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공해와 에틸렌·
아황산가스에 약하여 도시에서 점점 사라지는 수종이다.









가문비나무 -------------------------------------------------------------------------------------------------
특징적 분류 상록침엽교목
자생지 해발 500~2,300m사이, 습도가 높고 한냉한 지역
분포지역 한국(지리산, 덕유산, 설악산)
크기와 너비 크기 40m
꽃색깔 (수꽃)황갈색, (암꽃)연한 자줏빛
꽃말 성실, 정직
파종 및 수확시기 - 수확 9월
소나무과에 속하는 고산성 상록침엽수. 감비나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는 가문비(假紋榧)·당회(唐檜)·어린송(魚鱗松)·
삼송(杉松)·사송(沙松)·가목송(?木松) 등으로 쓴다. 어린송이란 이름은 나무껍질이 고기비늘 모양을 한 데서 얻어진
것이다. 학명은 Picea jezoensis CARR.이다.
높이는 40m, 지름은 1m에 달하고 수피는 비늘처럼 벗겨지며 수관은 원추형이다. 잎은 1, 2㎝ 길이로 편평한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수꽃은 황갈색이며, 암꽃은 자줏빛으로, 그 길이는 15㎜ 정도이다. 열매는 황록색의 타원체로서 밑으로
처진다. 길이는 4∼7.5㎝로 실편이 떨어지지 않는다.
높고 추운 곳이 아니면 좀처럼 살기 힘든 식물로, 500∼2,300m까지의 산지에서 자생한다. 전나무·잣나무와 함께 북쪽의
상록침엽수림을 구성하는 나무로, 민족항일기 이전에는 풍부한 목재자원을 이루고 있었으나, 일본의 수탈로 많이 벌채
되었다. 남쪽지방에서는 지리산을 비롯한 덕유산·설악산 등에서 볼 수 있다. 우리 나라뿐 아니라 일본의 북해도와 중국·
만주·우수리에도 분포한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밀봉, 저장하였다가 3월초에 습사층적하여 4월초에 산파(散播)한다. 입고병에 매우
약하여 생태적으로 추운 곳이 아니면 양묘에 성공할 수 없다. 잎이 작고 치밀하여 분재로 많이 사용한다. 또한, 목재의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결이 곱기 때문에, 산촌에서는 토막집을 짓고 문틀을 만드는 데 많이 사용한다.
평가
나무의 형태는 원뿔모양으로 자라며 수피는 흑갈색이며 벗겨진다. 잎은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길이는 2cm
정도이다. 약간 구부러지며 가지둘레에 촘촘하게 아래로 자란다. 뒷면에는 흰색의 기공선이 발달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구멍이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이다. 수꽃은 원통모양으로 황갈색이고 암꽃은 타원형이며 연한
자주빛을 띤다. 열매는 구과이고 9월에 익으며 가지끝에 달리고 아래쪽을 향한다. 종자에는 날개가 있다.
해발 500-2,300m사이에 자생하며 습도가 높고 한냉한 지역에 서식한다. 우리나라에는 지리산, 덕유산, 설악산
등지에 분포한다. 상록침엽교목으로 40m까지 생장한다.
꽃생김새암수한그루. 수꽃은 원통모양으로 황갈색이고 암꽃은 타원형이며 연한 자주빛을 띰.
집필/감수 : 경남산림환경연구소 신현탁, 신재성






낙엽송 ------------------------------------------------------------------------------------------------------
계 식물
문 겉씨식물
강 구과식물목
크기 높이 30m, 잎 길이 2~3cm
일본잎갈나무 / 소나무과의 낙엽침엽 교목.
요약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소나무과의 낙엽침엽 교목으로 낙엽송(落葉松)이라고도 하며 높이 30m에 달하는데
조림수이며 목재는 건축 ·갱목(坑木) ·침목 ·펄프 ·선박 ·토공용재 등으로 쓰인다.
본문
낙엽송(落葉松)이라고도 한다. 높이 30m에 달한다. 잎은 줄 모양이며 40~50개씩 짧은 가지에 모여나고 길이
2∼3cm이다. 꽃은 자웅 1가화(雌雄一家花)로 수꽃이삭은 긴 타원형이고 암꽃이삭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5월에
꽃이 핀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넓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 2~3.5cm로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잎갈나무에 비해 1년된
가지는 약간 가늘고 적갈색을 띠며, 구과의 비늘조각은 끝 쪽이 반전(反轉)한다. 조림수이며 목재는 건축 ·
갱목(坑木) ·침목 ·펄프 ·선박 ·토공용재 등으로 쓰인다.
[출처] 일본잎갈나무 | 네이버 백과사전
특징
우리나라에 지금까지 인공조림 된 나무들 중에서 낙엽송은 면적으로 볼 때 엄청난 양이라고 할 수 있다. 빨리 크면서도
수간이 통직하고 짧은 기간 내에 많은 목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병충해에 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단일수종, 대단위 조림으로 인해 조화로운 숲을 만들거나 목재의 이용적 측면에서 문제가 있기도
하지만 그것을 탓할 때가 아니고 이 나무가 가지고 있는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서 우리나라 목재
자급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일본이 원산지인 낙엽송은 1904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굽는 일이 없이 시원스럽게 위로 뻗어 가는 극양수로 공해에는
비교적 약한 나무다. 금강산 이북지방에 자생하는 이깔나무와는 구분이 쉽지 않지만 이 수종보다 따뜻한 곳에서 잘
자라는 것이 낙엽송의 특성이다.
나무들의 적응력이 강하다 약하다는 잣대는 그들 자손이 번창할 수 있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달려 있는데, 낙엽송은
후자에 속해서 사람이 심어주고 살펴주지 않으면 스스로 그들 사회를 만들어 나가기가 어렵다. 꽉 들어찬 낙엽송 숲
밑에서는 어떤 어린나무도 클 수가 없고 특히 자신이 극양수이기 때문에 더더욱 자손을 번창시키기 힘들다.
초봄에 연두색 신록이 아름답고 가을에 단풍 또한 어느 수종 못지않아서 해가 서산을 넘으려는 저녁나절 넓은 낙엽송
숲의 스카이라인은 그 색채와 함께 우리들의 마음을 평화롭게 해준다. 목재는 강하고 결이 세어서 갈라지며 못이 잘
안 들어가므로 갱목, 전신주, 공사장의 받침목으로 쓰여 왔는데 최근에는 철제 대용품이 나와서 낙엽송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목재가공 기술이 발달되어 날로 쓰임새가 더하고 80년 이상 된 큰 나무는 그와 같은 결점이 없어지므로
오래 길러서 귀중한 목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거에 심어 놓은 나무들을 잘 살펴 적절한 육림과 이용처의
개발로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은 새로운 조림 못지않게 중요하며 낙엽송이야말로 우리의 빈약한 목재 자급률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독특한 수형과 새로 나오는 잎과 가을의 단풍은 우리 강산을 아름답게 꾸미는 데 큰 역할을
해준다.



그밖에...
소나무,잎갈나무,잣나무,향나무,개비자나무,삼나무, 메타세쿼이아 , 삼나무, 아라우카리아, 가문비나무,소철,
비자나무 , 주목, 나한백 , 측백나무 , 분비나무, 종비나무,잎갈나무, 주목, 구상나무, 풍산가문비, 편백,
개잎갈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