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마음은 리를 체로 가짐과 동시에 기질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질의 상태에 따라 리와 일 체가 되어 작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주희는 마음의 기질을 바로 잡는 것을 공부의 핵심 과제로 설정한다. 주희에 의하면 마음의 기질을 바로 잡는 공부의 본 질은 마음의 사욕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공부란 기질을 바로 잡아 사욕을 제거함으로써 리가 완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입시교육은 기 질을 바로잡아 사욕을 제거함으로써 리가 완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인가?
일단 입시교육은 기 질을 바로잡아 사욕을 제거함으로써 리가 완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인가? 에는 동의하지 못한다.
오늘날의 입시교육은 부모가 자식에게, 더 좋은 대학에 가도록 하는 일종의 투자라고 생각한다
투자엔 사욕이 들어있지 않을 수 없음으로 입시교육에 사욕을 제거한다는 말은 맞지 않는다
그리고 입시 교육에서 하는 공부는 시험에서 더욱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 하는 것이고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입시 교육이 있다고 보기에
입시교육은 발현의 발판이 될 수 없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