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판사판(理 判 事 判)
조선시대 불교 승려의 두 부류인 사판승과
이판승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며
'막다른 궁지'또는'끝장'을 뜻하고 뾰족한
묘안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한자말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붙어서 된 말이다.
그리고 이 이판과 사판은 불교 용어로서
조선시대에 생성된 말이다.
조선은 건국 이념으로 억불숭유(抑佛崇儒)를 표방하였다.
이것은 고려의 지배세력이 불교를 지지했기 때문에
그들을 척결하기 위해서는 불교를 탄압했어야 했다.
또한 고려의 숭불정책으로 막강한 정치세력으로
등장한 불교의 폐해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한편으로는 조선의 건국에 신흥 유학자 사대부
세력이 대거 참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불교는 조선의 건국과 함께
하루 아침에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천민 계급으로 전락한 승려들 또한
활로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 되었는데,
그 하나는 사찰(寺刹)을 존속시키는 것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불법(佛法)의 맥(脈)을 잇는 것이었다.
그래서 일부는 폐사(廢寺)를 막기 위해 기름이나 종이,
신발을 만드는 제반 잡역(雜役)에 종사하면서
사원을 유지하였다.
특히 관가나 유생들이 승려들에게 종이 만드는 일을
시켰는데 조선시대에 사용된 종이는 거의 대부분이
사찰에서 만들어졌다.
또한 산성을 축조하면 그 성의 수비를
승려들에게 분담하였다.
이런 잡역에 종사하는 승려를
사판승(事判僧)이라고 불렀다.
한편으로 이와는 달리 깊은 산속에 은둔(隱遁)하여
참선 등을 통한 수행으로 불법을 잇는 승려들이 있었다.
이를 두고 이판승(理判僧)이라 하였다.
결국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의 현대 불교가 융성한 것도
이 두 부류의 승려들이 자신들의 소임을
다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그런데 이 이판사판의 뜻이 전이되어 부정적
의미로 쓰이게 된 데에는 시대적 상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의 억불정책은 불교에 있어서는 최악의 상태였다.
승려는 최하 계층의 신분이었으며,도성(都城)에서
모두 쫓겨나고 출입도 금지되어 있었다.
자연히 당시에 승려가 된다는 것은 인생의
막다른 마지막 선택이었다.
그래서 이판이나 사판은 그 자체로'끝장'을
의미하는 말로 전이되고 말았다.
조선뿐만 아니라 일제와 8·15광복 후의 건국
초기에도 불교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면서
더욱 부정적 이미지로 몰아갔다.
이 두 부류를 정치적으로 이용,서로 분열 반목케 하여
이판사판의 면목을 그대로 대중(大衆)에게 심어주었다.
그래서 지금도 아무것도 모르는 대중은 뾰족한 대안이
없을 때 무의식으로 이판사판이라는 말을 쓴다.
야단법석 (野壇法席)
《불교대사전》에 나오는 말이다.
‘야단(野壇)’이란 ‘야외에 세운 단’이란 뜻이고,
‘법석(法席)’은 ‘불법을 펴는 자리’라는 뜻이다.
즉, ‘야외에 자리를 마련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자리’라는 뜻이다.
법당이 좁아 많은 사람들을 다 수용할 수 없으므로
야외에 단을 펴고 설법을 듣고자 하는 것이다.
그만큼 말씀을 듣고자 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석가가 야외에 단을 펴고 설법을 할 때 최대 규모의 사람이 모인 것은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했을 때로 무려 3백만 명이나 모였다고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다 보니 질서가 없고 시끌벅적하고 어수선하게 된다.
이처럼 경황이 없고 시끌벅적한 상태를 가리켜 비유적으로 쓰이던 말이
일반화되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게 되었다.
다반사 (茶飯事)
늘 있는 예사로운 일.
항다반(恒茶飯) 또는 항다반사(恒茶飯事)라고도 한다.
본래 불교용어로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을 의미한다.
극히 일반적이고도 당연한 일로서 불교 중에서도 선종(禪宗)에서 유래했다.
참선 수행을 하는 데는 유별난 방법이 있는 것이 아니고,
차를 마시고 밥을 먹듯이 일상생활이 곧 선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상징한다.
삼매(三昧)
삼매(三昧) : 산스크리트어로는 ‘사마디(sama-dhi)’라고 한다.
정신 집중. 또는 몰입, 올인(All In)을 뜻한다.
곧 산란한 마음을 하나의 생각, 하나의 대상에 집중시켜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삼매를 통하여 마음의 산란을 막고 평정을 얻는다.
잡념을 떠나서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한다.
이 경지에서 바른 지혜를 얻고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흔히 어느 하나에 몰입해 있는 상태를 ‘삼매경(三昧境)에 빠지다’라고 하는데,
이때의 ‘삼매’란 산란한 마음을 한 곳에 모아 흩어지지 않게 하여 망념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완전히 하나에 몰두하여 깊은 명상에 잠긴 상태로서,
불교에서는 삼매를 정신활동의 절정으로 간주한다.
삼매는 염불, 간화선, 위빠사나 등 모든 수행법의 기본이 된다.
바쁜 일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데도 매우 유익하다.
당간지주 幢竿支柱 --> 당간(幢竿)을 받쳐 세우는 기둥
통일신라시대부터 사찰 앞에 설치했던 건축물로서 그 주변지역이 사찰이라는
신성한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돌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지만 철·금동·나무로도 만든다.
2개의 기둥을 60~100㎝ 간격으로 양쪽에 세우고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간(杆)을 설치하기 위한
간구(杆溝)나 간공(杆孔)을 두고 아래에는 간대(竿臺)나 기단부를 설치했다.
간구는 반드시 안쪽 상단에 있으며 그 아래의 간공은 구멍수가 일정하지 않다.
이러한 시원(始源) 형식은 시대에 따른 변화가 없으며,
각면에 장식된 문양과 지주의 치석수법(治石手法)만이 시대적 특징을 보일 뿐이다.
당간 : 당(幢)을 달아두는 장대.사찰 입구에 세우는 깃대의 일종으로
찰간(刹竿)·장간(長竿)·정간(旌竿)·기간(旗竿)·치간(幟竿)·번간(幡竿)·범장(帆檣)이라고도 한다.
형태는 간두(竿頭)에 용머리를...
당 : 불·보살의 위신과 공덕을 표시하는 장엄용 불구의 하나인 깃발
현관 玄關
현관은 대부분의 집에서 첫 번째로 만나는 문이다.
현관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 건물의 주된 출입구에 달아서 만들거나 방처럼 만든 문간' 이라고 되어있다.
그러나 현관이란 용어는 불교의 선종에서 먼저 유래한 것으로 그뜻은
' 깊고 묘한 이치에 드는 관문'
'참선으로 들어서는 어귀' 등을 나타내는 말이다.
깊고 묘한 도에 들어가는 시작의 문, 참선을 위해 들어가야 하는 관문을 일컫는 말이
오늘날 집으로 들어서는 입구를 가리키는 용어로 발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