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소멸지역에서 벗어나기
해운대구, 부산 16개 기초지자체 중 올해 처음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
청 · 장년 일자리 창출만이 해법
다양한 보도자료에서 광역시 중에서 소멸 1순위가 부산이라는 내용이 언급되고 있다. 부산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단어가 뭘까? 바로 ‘노인과 바다’이다.
부산이 광역시 중 처음으로 소멸 위험지역에 진입했고, 부산의 대표적인 도심지로 분류되는 해운대가 소멸 위험지역에 진입했다.
지역 소멸은 이제 현실이 되었다. 지역 소멸을 막고 청년을 다시 불러 모으고 ‘노인과 바다’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
해법은 하나다. ‘일자리 창출’
청년 일자리를 만들고 장년 일자리를 만드는 노력만이 지역 소멸을 막을 수 있다.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중 지역별 분포를 보면 수도권이 711개, 부산은 고작 28개, 매출 상위 100대 기업 지역별 분포는 수도권 90, 부산은 0이다.
공공기관 1~2개가 부산에 온다고 해도 청년 일자리에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렵다. 근본적인 청년 일자리 마련을 위한 구조적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첫째, 정부 및 공무원 주도의 청년 일자리 정책에서 기업 및 청년 주도의 청년 일자리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효율적인 일자리 예산이 집행되어야 한다.
셋째, 청년 창업시장 진입 장벽을 철폐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해운대 국회의원과 해운대 구청장은 해운대에 청년 일자리에 최적화 된 플랫폼 회사나 데이터센터 같은 기업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일자리를 만들어야 지역 소멸을 막을 수 있다.
하 정 태
전) 문재인대통령후보 직속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현) 동반성장포럼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