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故事成語고사성어 365/
적심귀상민(糴甚貴傷民),
적심천상농(糴甚賤傷農).
* 飛龍비룡 辛鐘洙신종수 總務총무님 提供제공.
김영수 Apr 05. 2024
고사성어 365
4월 5일: 적심귀상민(糴甚貴傷民), 적심천상농(糴甚賤傷農).
4월 5일의 고사성어(96)
적심귀상민(糴甚貴傷民), 적심천상농(糴甚賤傷農).
* 식량 값이 너무 비싸면 인민을 상하게 하고, 식량 값이 너무 싸면 농민을 상하게 한다. * 반고(班固)의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 |
눈으로 읽으며 낭독하기
이 대목은 전국시대(戰國時代) 초기(初期) 위(魏) 나라의 개혁가(改革家)이자 경제(經濟) 전문가(專門家)인 이괴(李悝, 기원전紀元前 455~기원전紀元前 395)의 명언(名言) 中 일부(一部)다.(기록記錄에 따라 이괴李悝는 이극李克으로도 쓴다.) 이괴(李悝)는 법가사상(法家思想)으로 무장(武將)한 개혁가(改革家)로서 엄격(嚴格)한 법치(法治), 특(特)히 백성(百姓)들의 적극성(積極性)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귀천(貴賤)을 가리지 않는 상벌(賞罰)이 분명(分明)한 법치(法治)를 강조(強調)했다. 관련(關聯) 대목을 함께 소개(紹介)하면 다음과 같다.
“식량(食量) 값이 너무 비싸면 인민(人民)을 상(傷)하게 하고, 식량(食量) 값이 너무 싸면 농민(農民)을 상(傷)하게 한다. 인민(人民)이 상(傷)하면 흩어지고, 농민(農民)이 상(傷)하면 나라가 가난(家難)해진다. 따라서 너무 비싸거나 너무 싸면 어느 한쪽이 상(傷)한다. 나라를 잘 다스리는 者는 인민(人民)을 상(傷)하게 하지 않으면서 농민(農民)을 좋은 쪽으로 이끈다.”
어느 시대(時代)를 막론(莫論)하고 기초(基礎) 산업(產業)의 안정(安定)이 가장 중요(重要)하다. 농업(農業) 위주 (爲主)의 경제체제(經制體制)에서는 주식(主食)의 가격(價格), 즉 곡식(穀食)의 값이 관건(關鍵)이었다. 이 点을 정확(正確)하게 인식(認識)했던 이괴(李悝)는 ‘토지(土地)를 최대(最大)한 활용(活用)하여’ 생산력(生產力)을 높이고, 생산(生產)과 소비(所費)에 맞추어 곡식(穀食)의 값을 적절(適切)하게 안정(安定)시키는 평적법(平糴法)을 시행(施行)했다. 이괴(李悝)가 실시(實施)했던 이 물가(物價) 안정책(安定策)은 훗날 상평법(常平法)의 효시(嚆矢)가 되었다. 우리의 경우(境遇) 고려시대(高麗時代)에 상평창(常平倉)이란 물가(物價)를 조절(調節)하는 기관(器官)이 설치(設置)되어 조선시대(朝鮮時代)에도 유지(維持)되었다.
이괴(李悝)의 ‘평적법(平糴法)’의 본질(本質)은 오늘날로 보자면 물가안정(物價安定)에 비유(比喩)할 수 있다. 즉, 주식(主食)을 비롯한 서민(庶民)들의 생필품(生必品) 가격(價格)이 경제 상황(經濟 狀況)과 관계(關係)없이 적정선(適正線)에서 안정(安定)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야만 불안(不安)에 떨지 않고 생업(生業)에 종사(從事)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래야만 고용(雇用)도 창출(創出)되고 경제 전반(經濟 全般)이 활기(活氣)를 띨 수 있다.
손으로 써보며 생각하기
* 적심귀상민(糴甚貴傷民), 적심천상농(糴甚賤傷農)
* 평적법(平糴法)/상평법(常平法)/상평창(常平倉)
도면. 백성(百姓)들의 물가안정(物價安定)의 중요성(重要性)을 인식(認識)하여
중국(中國) 역사상(歷史上) 최초(最初)의 물가안정(物價安定) 정책(政策)인
‘평적법(平糴法)’을 비롯하여 강력(強力)한 개혁정책(改革政策)을 시행(施行)하여
위(魏)나라를 일약(一躍) 강국(強國)으로 끌어올린 이괴(李悝).
* 유튜브 ‘김영수의 좀 알자 중국’: 하루 명언공부 4월 5일
- 인재난득(人才難得), 이차난지(而且難知)
- 인재는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알기도 어렵다.
https://youtu.be/b4WjcbbU_yw
명구 출전 : [상평장찰랍이공서(上平章扎拉爾公書)] 명구 해설 : 명(명나라)나라 때 사람 왕위(王位)가 평장(平章) 벼슬에 있는 찰랍이(札拉爾)에게 보낸 편지의 한 대목이다. 그러면서 왕위(王位)는 널리 두루 인재(人才)를 구해서 평소 많이 비축(備蓄)해두지 않으면 천하(天下)의 인재(人才)를 다 얻을 수 없다고 지적한다. 인재(人才)가 중요하고 모든 일을 성사시키는 관건이라고 말들은 하면서 정작 인재(人才)를 두루 구하고 후하게 대접하는 일에는 소홀(疏忽)하다. 인재(人才)란 좀 남다른 사람이다. 그래서 왕위(王位)는 얻기도 어렵지만 인재(人才)를 제대로 이해(理解)하기도 어렵다고 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재(人才)의 언행(言行)을 흔쾌(欣快)히 받아 줄 수 있는 마음이 열려 있어야 하고, 사심(私心)이 개입(介入)되지 않아야만 제대로 된 인재(人才)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김영수 한국사마천학회 교수
간신: 간신학저자 김영수의 브런치스토리입니다. 위대한 역사가 사마천과 그가 남긴 최초의 본격적인 역사서이자 3천 년 통사 '사기'를 평생 연구하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
낚시꾼으로 알려진 강태공은 실존 인물입니다. 천하를 돌며 자신의 능력을 펼칠 기회와 리더를 찾다가 60이 넘은 나이에 주 문왕을 만나 천하를 경영합니다. 문왕의 아들 무왕 때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세우는데 가장 큰 공을 세웁니다. 이 공으로 강태공은 산동성 지역을 봉지로 받아 제나라를 건국하여 그 시조가 됩니다. 강태공에 대해 공부합니다. 지난 제9강은 간단하게 강태공의 공부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 10강은 강태공의 일생을 비교적 상세히 살핍니다. |
*****(2024.10.27.)
첫댓글
시사저널/취임 8일 만에 던진 ‘조기 총선’ 승부수. 이시바의 ‘자충수’ 되나
https://v.daum.net/v/20241027224845067
한겨레/이시바, 투표 내내 굳은 얼굴…야당 “뒷돈 정치 자민당 심판”
https://v.daum.net/v/20241027223502984
한국경제TV/"전쟁 끝나야 새 대통령 선거 치른다“
https://v.daum.net/v/20241027222020888
한국경제/'임금 삭감' 없이 주 4일제 실시했더니…'뜻밖의 결과’
https://v.daum.net/v/20241027215603692
YTN/이스라엘 모사드 본부 근처에서 버스가 행인 덮쳐...33명 부상
https://v.daum.net/v/20241027214501573
세계일보/日 자민, 수권정당 강조했지만… 위기감 커져
https://v.daum.net/v/20241027214332556
경향신문/“김정은 측근 김영복 부총참모장, 러시아 입국”
https://v.daum.net/v/20241027212600434
경향신문/“북한군, 러 격전지 도착”…‘남북 대리전’으로 번지나
https://v.daum.net/v/20241027212531430
뉴스1/日 중의원 선거, '자민 4연속 단독 과반 의석 신화' 깨질 듯
https://v.daum.net/v/20241027211651382
KBS미 대선 D-9 미시간주서 격돌 “여러분을 위해 투표하라”
https://v.daum.net/v/20241027211600375
https://tv.kakao.com/v/450499975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