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6.2 지방선거때 진알시에 벌였던 투표독려 캠페인을 다시 시작하기로 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은 목적과 배경으로 오늘부터 진행하기 위해 진알시에서 세 분이
원주를 시작으로 춘천, 강릉, 동해등 강원도의 주요도시를 순회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번 23,24일에는 김해에서 부산경남 진알시 회원과 시민광장회원들이 연대하여 풍선나눠주면서
투표독려캠페인을 진행하기로 하였구요
25,26일에는 분당 오리역부근에서 강원도팀과 합류하여 캠페인을 할 것입니다.
부근에 계시는 분들이나 참여 가능하신 분들은 모두 함께 해주시면
우리가 바라는 세상이 빨리 오리라 믿습니다.
어려운 진알시의 재정에도 불구하고 몇몇 뜻있는 분들의 후원금과
지역팀들의 후원금을 모아 비용을 충당하고 있습니다.
개 요
1, 목 적
4,27 보궐선거에 즈음하여 여,야 박빙으로 예상하는 강원 일부지역의 젊은 층 투표율을 향상 시킴으로써 야권후보의 지원효과 기대.
2, 배 경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선거운동기간 전부터 투표독려캠페인(no vote no kiss)을 전국적으로 진행 하여 젊은 세대의 참정권에 대한 인식을 새롭 게 고취시키며 투표율 향상에 상당한 역할을 하였음.
박빙의 접전이 예상되는 지역 일수록 실시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
각종 여론조사를 통해 나오는 통계가 증명하듯 현재 대한민국의 20~30대 젊은 유권자는 대부분 야권지지 성향을 가지고 있어 이들의 투표율이 당 락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
실행 계획
1, 방 향
여러 통계자료와 지표를 분석 활용하여 젊은층의 유권자가 집중적으로 분 포된 지역을 선별적으로 공략 이슈화 한다.
젊은층의 유동인구가 많은 다운타운가와 학원가를 중심으로 하나의 유사 문화행사로 인식시킨다.(2010년 행사를 진행하면서 경험에 비추어 보면 서울중심의 문화행사로 인해 지방은 상대적으로 행사에 대한 갈증이 심해 소규모의 이벤트성 유사행사에도 참여도가 서울, 수도권보다 높았음)
2, 준 비
• 행사기간 - 2011년 4월20일부터 4월26일까지
• 행사시간 - 1개 지점 1일 행사를 실시하며 오전 11시부터 일몰 전까지
• 인원 - 최소 2명(사진사 1명, 서포터 1명)
• 사전준비물 - 포토존 설치를 위한 스크린 1 조
카메라 및 삼각대 1 조
포토프린터 1 대
인화지 - 1일 1box(120매/1box) ⨯ 행사 일수
발전기 - 1 대
기타 - 촬영시 모델이 휴대하게 되는 피켓 다수
(2010년 no vote no kiss 사진자료 참조)
3, 진 행
• 포토존 설치 (스크린 거치 및 피켓 준비)
• 카메라 와 포토프린터 세팅
• 서포터의 멘트와 펌보드 등으로 시민유도(바람잡기용 모델필요)
• 촬영과 함께 사진출력(촬영에서 인화까지 3분정도 소요)
• 출력된 사진을 주면서 선거일과 투표여부 다짐
(사진뒷면에 선거일을 기재 해 줄 수 도 있음)
• 대기자들은 회원가입 권유 및 서명으로 자연스럽게 연결
(2010년의 경우 kbs 수신료 거부 서명을 받았음)
4, 비 용
• 인건비 - 해당사항없음(자원봉사)
• 스크린 - 2010년 지방선거때 사용하던 것 재사용 가능
• 카메라 및 삼각대 - 개인 소유분 활용
• 포토프린터 - 개인 소유분 활용
• 발전기 - 국민의 명령 소유분 활용(연료비 1일 10,000원 이내)
• 인화지 - 1박스(120매) 시가 45,000원(2010년 구입단가기준)
(sony svm-f120p 4⨯6 size color)
• 피켓 - 캐치프레이즈만 선정되면 단시간에 제작 가능 (비용은 미미하며 컬러프린터로 출력하여 펌보드에 부착하여 완성)
5, 기 타
• 2010년 “진알시” 중심의 투표독려캠페인 슬로건은 no vote no kiss 였으며 여전히 유효함.
• 동시에 포토존 설치를 위한 스크린도 새로운 슬로건을 삽입하여 재구성.
• 피켓에 넣을 캐치프레이즈도 회원들의 다양한 의사와 아이디어를 수렴, 반영하여 새롭게 제작 하는 것이 바람직 함.
• 실제 현장에서는 먹거리를 나눠 주는 행사를 함께 진행하면 효과가 큼.
<아래는 캠페인에 쓰일 손피켓과 판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