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시장의 목재(기본 가격 20) 전체 수요(매수 주문)는 3000, 공급(매도 주문)은 2200
- 조선 시장 내 주 경기도의 목재 수요는 200, 공급은 50
- 경기도의 시장 접근성 가격 영향은 75%
일단 목재의 시장 가격을 알아내야 한다. 시장 가격은 수요량과 공급량 중 높은 쪽에서 낮은 쪽을 나눈 다음 그 비율차의 75%만큼 계산된다. 3000 ÷ 2200 = 1.363에서 1보다 큰 값인 0.363에 0.75를 곱하면 0.272다. 따라서 조선에서 목재의 시장 가격은 +27%(25.4)가 된다.
- 같은 방식으로 경기도의 목재 지역 가격을 구하면 +225%가 되는데, 모드를 쓰지 않는다면 물품 가격의 상한선은 75%, 하한선은 -75% 까지로 정해져있으므로 경기도의 목재 지역 가격은 +75%(35)가 된다.
- 목재의 현지 가격은 시장 가격과 지역 가격의 시장 접근성 가격 영향의 비율에 따라 정해진다. 가령 시장 접근성 가격 영향이 60%면 시장 가격의 60%, 지역 가격의 40%가 현지 가격에 반영된다.
예시에서는 시장 접근성 가격 영향이 75%이므로 시장 가격의 75%, 지역 가격의 25%가 반영된다. 따라서 127 × 0.75 + 175 × 0.25 = 139 → 139%. 즉, 경기도의 목재 가격은 27.8이 된다.
|
시장 접근성 이란 개념은 설정해야 한다. 여기서 75%가 주어졌다.
시장 접근성은 비례 계산에서 1번 전체와 현지 가격에서 1번 사용돼 2번 사용되므로 1번과 3번의 밑줄 친 부분은 같은 대상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75% 효과를 주는 다른 2개의 요소가 아니라 시장접근성 1개가 2곳에 쓰인다.)
목재 가격 20.
1. 수요 ÷ 공급 = 비례 격차 -> 1.362 중 나(1) 빼고 비율 (1.362 -> 0.362에 0.75를 곱한다. 27%) -> 20 × 1.27 = 25.4
2. 수요 ÷ 공급 = 비례 격차 -> 4중 나(1) 빼고 비율 (4 -> 3에 0.75를 곱한다. 225%) -> 45 -> 상한선 +75와 -75% 까지 225%가 아닌 175% 둘 간의 차 50%가 있다. -> 35
3. 시장 접근성이란 전체1(1, 1은 백분율 100%를 의미) 중 시장 가격의 60%라면 지역 가격은 40%, 100%라면 지역 가격은 0%)
(아무래도 다른 시장으로 접근이 어렵다면 현지 가격에 영향을 받는다. 시장 접근성이 100%면 현지 가격은 0%다.)
※ 주의 : 전체 물량이 아니다. '현지 물량이 적으니 가격 방영이 작겠지' 하는 것과 아예 결이 다르다.
시장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현지에서도 현지에서 사용되는 원재료는 필요한 만큼 구비 해놔야 한다는 뜻이다.
접근성 75%에서 지역 공급이 수요의 절반이라면 나무를 소비하는 건물 2에서 1 빼고 0.75를 곱해 75% -> 175%가 되어 35가 된다.(100 ÷ 50 = 2 비례 격차 -> 1 빼고 남은 1에서 0.75(75%) -> 20 × 1.75 = 35)
이전에는 현지 가격이란 옵션이 없고 전체 가격이란 것만 있었다고 하던데 만약 상한선, 하한선 175%, -75%(25%) 없이 했으면 공급 100에다가 수요를 1로 맞춰서 현지 가격을 1% 미만으로 만들면 다른 가격들도 거의 한 자리 수에 처박혀서 게임이 망가졌다.
나무 가격이 3배거나 나무 가격이 1%가 영향을 미쳐서 다른 가격도 1자리 %로 떨어지는 엄청난 광경을 목도하면서 버그가 심했을 것이고 현지 가격이란 개념은 사라졌을 것이다. (예시 상한선과 시장접근성을 75%로 맞춘 것을 보니 수식 유도해서 공식화 찾아내라고 준듯.?)
말이 안돼는 과정이기는한데 재미있는 점은 35를 주고도 20을 유지하고 성장을 못한 것 보다 이득이라면 좋은 선택이지만 그 결과가 성장 차이가 기존 대비 1.75(+75%)배 벌어야 한다는 말인데 그냥 천천히 성장해서 1->2(2배)원이 된 것 보다 1-> 3.5(3.5배)원이 된 것 이상에서 이득이다.(초 슈퍼사이야진의 전투력을 비교하는 느낌의 공상인가.?)
2원 대비 3.5원으로 75% 증가한 수치를 벌면 기존에 들었던 75% 소비와 상쇄되어 기존과 같다. 이 때 원재료 값만 정상으로 만들면 돈이 들어온다.(2 보다 75% 증가한 3.5배가 그려지냐. 그 수익 100% 보다 175%가 더 많냐. 더 많아서 175%가 아니다.)
소비는 -
수익은 +
로 -는 1 보다 줄어드는 것을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둘을 증가 추세로 역변환해 초점을 맞춰보자.
0.5714285714285714 × 1.75 = (1)
(1) ÷ 1.75 = 0.5714285714285714
3 ÷ 4 = 0.75 이다.
4 ÷ 3 = 1.333333이다.
(4 ÷ 3 = 1.333333) × (3 ÷ 4 = 0.75) 1이다.
4 × (1.75) = 7
7 × (0.5714285714285714) = 4
1 = 7
3 : 4 전체 7로 볼 때
(7 × 0.5714285714285714 = 4) -> 7중 4는 0.5714285714285714이고 4의 1.75배는 7이다.
0.75는 3이며 7을 1로 둘 때라면 3인 나와 4인 상대를 합쳤을 때 전체라는 뜻이다.(나와 상대의 비례를 알아야 하는 이유.)
넌센스 퀴즈다.
기존의 가치가 증가했다. 현재 시점으로 기존 가치가 전체 1중 0.5714285714285714가 되었다면 기존이 1.75배 증가한 것이다.
여기서 수익이 1, 소비가 -1이다. 매출 중 수익이 +1.75배 증가한 것과 소비가 증가하고 현재 시점으로 기존의 가치가 전체 1중 0.5714285714285714 가 되었다면 수익이 +1.75배된 결과 결국 기존과 다를 바가 없어졌다.
x와 y 교환법칙 이라고 할까.?
소수를 하나의 도형으로 인식하여 계산하면 결국엔 교환이 된다.
0.5714285714285714의 1.75배가 1이고 1.75의 약 57.14%가 1이란 소리.
여기서 0.5714285714285714를 x, 1.75를 y라고 하겠다.
소비 자금이 1.75 "증가" 했다는 것은 0.5714285714285714로 전체(1=(x × y)) 대비 0.4285714285714286 수익이 줄었다는 것이다. 다르게 설명하면 1.75 "증가" 했다는 것은 ( 0.5714285714285714 대 0.4285714285714286) 비율로 몇 대 몇 교환이 된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3 : 2 라면 전체 5중 (3은 0.6, 2는 0.4)로 3:2라고 할 수 있다.
3 ÷ 2 = 1.5로 3은 1.5배 크다. 2 ÷ 3 = 0.666...7로 2는 3에 비해 0.6667배 작다.
4 ÷ 3 = 1.333333 3 ÷ 4 = 0.75 이다. 0.5714285714285714 ÷ 0.4285714285714286 = 1.333333333333333...... = 0.75가 1.34배 시 1이 된다. 0.75 × 1.333333 = 1
여기서 일단 중요한 포인트는 매출이 1.33배 증가했다.
1.33.... ÷ 0.75 = 1( 0.5714285714285714 기존 크기) 1.33.... ÷ 0.75 = 0.5714285714285714 이다.
이걸 다시 3과 4로 비교하자.
4 ÷ 0.5714285714285714 = 7, 4 × 1.75 = 7
3+4=7(비례 오차가 없다는 말이다.)
0.5714285714285714 × 1.75 = 1 1.75 × 0.5714285714285714 = 1 로 서로가 가진 자연수의 법칙에 따라 교환법칙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전체 1중 0.5714285714285714과 1.75 둘은 1외에 어떤 수의 공약수라고 부를 수 있을까.?
답 : (7) 3과 4는 7의 공약수다. |
파운드나 킬로나 미터 등등. 여러 단위들은 서로 환산 기준을 가지고 있고 소수를 위에 플롯으로 계산하면 결국 루트 처럼 자연수가 아닌 공약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어떤 다른 단위들은 소수로 표현되는 1단위 대비 몇 %이니 기존 대비 얼마를 계산하면 소수들에 비를 구하고 루트로 표현이 될 것이다.
루트는 소수를 자연수의 교환법칙에 써먹도록 개발된 수 인건가.?
좀 우뇌로 형태를 잡고 계산을 한다는게 이해가 될런지 모르겠다.
(자연수의 비례가 아니여도 소수를 이렇게 계산하면 분배법칙이 닫히는 일은 없음.)
난 뭔가 좌뇌로 계산하고 우뇌로 한 번 각각 형태를 직감하고 비교해서 교차에 문제가 없으면 답을 함.
(이게 오차가 있다면 둘 중 하나는 틀렸다는 말이거든? 이게 일치가 되야해.)
4. (전체 수요과 공급)127(25.4)과 (현지 수요와 공급)175(35)이 있고 127에 75% 175에 25% 해서 127 × 0.75 + 175 × 0.25 = 139 → 139% 즉, 경기도의 목재 가격은 27.8이 된다.
(전체) 3000 ÷ 2200 = 1.362, 0.362 × 0.75 = 0.27, 20 × 1.27 = 25.4
(현지) 200 ÷ 50 = 4, 3 × 0.75 = 2.25(상한선 175%), 20 × 1.75 = 35
(전체 평균) (1.27(127%) × 0.75(75%)) + (1.75(175%) × 0.25(25%)) = 가격에 1.39(139%) = 20 × 1.39 =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