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魚潰鳥散(어궤조산) 魚:물고기 어, 潰:흩어질 궤, 鳥:새 조, 散:흩을 산. 산산이 흩어짐을 이름.
◎ 魚頭鬼面之卒(어두귀면지졸) = 어두귀면 魚:고기 어, 頭:머리 두, 鬼:귀신 구, 面:낯 면, 之:갈 지, 卒:군사 졸. 고기 대가리에 귀신의 상판이라는 뜻으로, 되지 못한 잡살뱅이 사람들, 지지리도 못난 사람들.
◎ 魚頭肉尾(어두육미) 魚:물고기 어, 頭:머리 두, 肉:고기 육, 尾:꼬리 미. 물고기는 대가리쪽이 맛있고 짐승의 고기는 꼬리쪽이 맛있다는 말.
◎ 魚麗之陣(어려지진) 魚:물고기 어, 麗:고울 려, 陣:진칠 진. 진법(陣法)의 이름으로 둥글고도 조금 길게하여 마치 고기떼가 붙어서 가는 모양과 같은 것. -좌씨전-
◎ 魚魯不辨(어로불변) 어((魚)자와 노(魯)자를 구별하지 못한다 함이니, ①무식자의 뜻. ②글을 여러 번 옮겨 쓰면 착오가 생긴다는 뜻. ③책이 오래되면 알 수 없는 것이 많다는 뜻. -어로막변-
◎ 魚龍將化(어룡장화) 잉어가 용으로 화한다는 뜻으로,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여 입신(立身) 양명(揚名)함을 이르는 말.
◎ 魚鱗(어린) 魚:물고기 어, 鱗:비늘 린. 물고기 비늘같이 차례로 죽 늘어선 것. -여씨춘추-
◎ 魚網鴻離(어망홍리) 魚:고기 어, 網:그물 망, 鴻:큰 기러기 홍, 離:떠날 리. 고기를 잡으려고 그물을 쳤는데 기러기가 걸렸다는 뜻으로 구하는 것은 얻지 못하고 반대로 구하지 않을 것을 얻었다는 말. -시경-
◎ 魚目(어목) ①진주(眞珠) 비슷하지만 아니라는 뜻으로, '가짜가 진짜를 어지럽힘'을 빗대어 하는 말 ②물고기의 눈 ③손이나 발에 생기는 무사마귀 비슷한 굳은 살. 눌리면 속의 신경(神經)이 자극(刺戟)되어 아픔.
◎ 魚目燕石(어목연석) 魚;물고기 어, 目:눈 목, 燕:제비 연, 石:돌 석. 어목(魚目)은 물고기의 눈, 연석(燕石)은 연산(燕山)의 돌로서, 모두 옥(玉)과 비슷함, 허위(虛僞)를 진실로 현인(賢人)을 우인(愚人)으로 혼동하는 것의 비유. -한유의 문장-
◎ 魚目混珠(어목혼주) 물고기 눈알을 진주로 가장한다는 뜻으로, 가짜를 진짜로 가장하거나 나쁜 것을 좋은 것으로 속이는 행위를 일컫는 말. -한시외전-
◎ 語無倫脊(어무윤척) 語:말씀 어, 無:없을 무, 倫:인륜 윤, 脊:등성마루 척. 말이 순서와 줄거리가 없음.
◎ 魚變成龍(어변성용) 물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었다 함이니, 어릴 적에는 신통치 못하던 자가 자란 후 훌륭하게 됨을 이름. -송남잡식-
◎ 漁父之利(어부지리) 둘이 다투는 사이에 제 삼자가 이익을 보다. -전국책- (古事) 도요새가 무명조개를 먹으려다 주둥이를 조개껍질에 집혀 서로 다투는 것을 어부가 지나가다 보고 둘 다 잡고 말았다는 이야기에서 나온말.
◎ 漁夫之勇(어부지용) 어부(漁夫)는 물 속에서는 무서워하지 않는 데서, '오랜 체험(體驗)에서 얻은 용기(勇氣)'를 이르는 말.
◎ 於分足矣(어분족의)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만족(滿足)함.
◎ 魚不可以無餌釣(어불가이무이조) 魚:물고기 어, 不:아닐 불, 可:옳을 가, 以:써 이, 無:없을 무, 餌:먹이 이, 釣:낚시 조. 고기를 낚으려면 반드시 맛좋은 먹이를 필요(必要)로 하는 것과 같이 무슨 일이든지 밑천과 노력이 없어서는 안된다는 말. -준남자-
◎ 魚不見水(어불견수) 중요한 것인데도 너무도 가깝기 때문에 도리어 그것을 깨닫지 못함을 비유. -비아,석어-
◎ 語不成說(어불성설) 語:말씀 어, 不:아닐 불, 成:이룰 성, 說:말씀 설. 하는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아니함, 말이 안됨.
◎ 御史雨(어사우) 御:어거할 어, 史:역사 사, 雨:비 우. ①당(唐)나라의 안진경(顔眞卿)이 어사(御史)가 되어 옥(獄)의 죄수를 다스렸는데 때마침 오랫동안 가뭄이 심하던 중 별안간 비가 내려 백성이 즐거워하여 어사의 비라고 일컬었음. 자우(慈雨)의 비유, 또 억울한 누명을 벗는 것, 어사는 벼슬아치의 부정을 다스리는 벼슬. ②명(明)나라의 진세정(秦世禎)의 고사故事)도 사실은 ①과 같음. -당서-
◎ 魚色(어색) 魚;물고기 어, 色:빛 색. 여색(女色)을 탐함.
◎ 魚水之親(어수지친) = 수어지교 魚:물고기 어, 水:물 수, 之:갈 지, 親:친할 친. ①임금과 백성이 친밀한 것, ②부부(夫婦)가 서로 사랑하는 것.
◎ 魚菽之祭(어숙지제) 魚:물고기 어, 菽:콩 숙, 之:갈 지, 祭:제사 제. 물고기와 콩을 차려 놓고 지내는 제사, 제수(祭需)가 변변치 못한 제사.
◎ 魚乘水(어승수) 물고기는 물에 의지하여 살듯이 모든 것은 다 각기 믿고 의지하는 곳이 있다는 뜻. -설원-
◎ 魚豕之惑(어시지혹) 魚:물고기 어, 豕:돼지 시, 之:갈 지, 惑:미혹할 혹. 글자가 잘못 씌어졌다는 뜻으로, 여러번 옮겨 쓰면 반드시 오자가 생긴다는 말. -십팔사략(십팔사략)-
◎ 語言無味(어언무미) 語:말씀 어, 言:말씀 언, 無:없을 무, 味:맛 미. 독서하지 않는 사람은 언어에도 맛이 없다는 말.
◎ 語言無味面目可憎(어언무미면목가증) 語:말씀 어, 言:말씀 언, 無:없을 무, 味:맛 미, 面:낯 면, 目:눈 목, 可:옳을 가, 憎:미워할 증. 말씨도 곱지 못하거니와 생김새도 가증스럽다는 뜻으로, 극히 저속한 태도나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당대문인 한유-
◎ 語言如馬(어언여마) 사람을 부리는 것이 말을 부리듯 노련(老鍊)함.
◎ 語焉而不詳(어언이불상) 상세히 말하지를 않는다. 자신의 견해를 말하기는 하지만, 하나하나 소상한 점에 대해서까지 밝히지는 않는다. -한유. 원도-
◎ 漁翁之利(어옹지리) 고기 잡는 어르신의 이익(利益)이란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 魚遊釜中(어유부중) = 釜中之魚(부중지어) 고기가 솥 속에서 논다 함이니 목숨이 붙어 있다 할지라도 오래가지 못할 것을 비유하는 말. -통감-
◎ 語音相通(어음상통) 語:말씀 어, 音:소리 음, 相:서로 상, 通:통할 통. (양쪽의 거리가 가까워서) 말소리가 서로 들림.
◎ 於異阿異(어이아이) 어 다르고 아 다르다라는 뜻으로, 같은 내용의 말이라도 말하기에 따라 사뭇 달라짐.
◎ 漁人得利(어인득리) 고기 잡는 사람이 이익(利益)을 얻음을 뜻하는 말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 御人如馬(어인여마) 사람을 부리는 것이 말을 부리듯 노련(老鍊)함.
◎ 漁人之功(어인지공) 조개와 황새가 서로 싸우는 판에 어부(漁夫)가 두 놈을 쉽게 잡아서 이를 보았다는 뜻으로, '두 사람이 다툼질한 결과(結果) 아무 관계(關係)도 없는 사람이 이를 얻게 됨'을 빗대어 하는 말.
◎ 漁人之利(어인지리) 고기 잡는 사람의 이익(利益)이란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 魚質龍文(어질용문) 용과 같이 위엄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나 실은 물고기라는 말로 일에 있어서 비슷하면서도 아닌 것을 비유한 말. -포박자-
◎ 漁焦閑話(어초한화) 어부(漁夫)와 나무꾼의 한가(閑暇)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 漁兄漁弟(어형어제) 낚시 친구(親舊)들 두고 이르는 말.
◎ 魚懸由甘餌(어현유감이) 물고기는 맛난 먹이를 먹으려다가 낚시에 걸려드는데 사람이 이익을 위하여 생명을 잃는 것도 그와 같다는 뜻의 비유. -진서-
◎ 抑强扶弱(억강부약) 강한 자를 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주는 것. -후한서-
◎ 億萬之心(억만지심) 億:억 억, 萬:일만 만, 之:갈 지, 心:마음 심. 억만(億萬)이나 되는 백성들이 각각 마음은 달라 한 사람도 나라를 위하는 마음이 없음을 이름. -서경-
◎ 憶昔當年(억석당년) 憶:생각할 억, 昔:옛 석, 當:마땅할 당, 年:해 년. 오래 전에 지나간 그 시절을 추억함.
◎ 抑弱扶强(억약부강) 抑;누를 억, 弱:약할 약, 扶:도울 부, 强:굳셀 강. 약한자를 억누르고 강한자를 붙잡아 도와 줌.
◎ 抑揚反覆(억양반복) 抑:누를 억, 揚:날릴 양, 反:되돌릴 반, 覆:뒤집힐 복. 혹은 억누르고, 혹은 찬양하기를 여러 번 뒤집음.
◎ 億千萬劫(억천만겁) 무한(無限)한 시간(時間). 영원(永遠)한 세월(歲月).
◎ 億吹簫樂(억취소악) 億:억 억, 吹:불 취, 簫:퉁소 소, 樂:풍류 악. 제 생각만으로 일을 추측하는 것을 이름.
◎ 憶吹簫樂(억취소악) 제가 보아서 아는 대로 제 생각만으로 추측(推測). 어림치고 하는 생각. 억지 추측(推測).
◎ 抑何心情(억하심정) = 抑何心腸(억하심장) 대체 무슨 심정으로 그런 짓을 하는지 그 마음을 알 수 없다는 뜻.
◎ 焉敢生心(언감생심) 감히 어찌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으랴의 뜻.
◎ 言去言來(언거언래) 言:말씀 언, 去:갈 거, 來:올 래. ①여러 말이 서로 오고 감, = 언삼언사(言三言四), 설왕설래. ②말다툼.
◎ 言過其實(언과기실) 말만 크게 내놓고 실행이 부족함. -삼국지-
◎ 言近而旨遠(언근이지원언) 말은 천근(淺近)한 것 같으나 뜻은 深遠(심원)함. -맹자-
◎ 言近旨遠(언근지원) 言:말씀 언, 近:가까울 근, 旨:뜻 지, 遠:멀 원. 말은 알아듣기 쉬우나 내용은 깊고 오묘함.
◎ 偃旗息鼓(언기식고) 偃:쓰러질 언, 旗:기 기, 息;숨쉴 식, 鼓:북 고. 전쟁터에서 군기(軍旗)를 누이고 북을 쉰다는 뜻으로, 휴전(休戰)함을 이르는 말.
◎ 言多語失皆因酒(언다어실개언주) 말이 많고 실언을 하는 것은 다 술 때문이다. -명심보감-
◎ 言大非誇(언대비과) 言:말씀 언, 大:큰 대, 非;아닐 비, 誇:자랑할 과. 큰소리라고 해서 모두가 과장(誇張)한 말이 아님. -소식의 시-
◎ 偃武(언무) 偃:쓰러질 언, 武;굳셀 무. 무기를 보관하고 쓰지 않음 , 곧 전쟁이 끝이 남.
◎ 偃武修文(언무수문) 偃:쓰러질 언, 武:굳셀 무, 修:닦을 수, 文;글월 문. 전쟁이 끝나고 평화롭게 됨의 비유, 문(文)은 무(武)에 대한 말로 정치 학문 예술 및 외교 등을 가리킨다. -서경-
◎ 言無二價(언무이가) 두 가지 값을 부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에누리하지 아니함.
◎ 言無足而千里(언무족이천리) = 言飛千里(언비천리) 言:말씀 언, 無:없을 무, 足:발 족, 而:말이을 이, 千:일천 천, 里:마을 리. 발없는 말이 천 리를 간다는 뜻,
◎ 言不中理(언불중리)면 不如不信(불여불신)이니라.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 안 하는 것만 못하니라. -명심보감-
◎ 言不盡意(언불진의) 言:말씀 언, 不:아닐 불, 盡:다할 진, 意:뜻 의. 말로는 충분히 그 마음을 다 나타내지 못함.
◎ 言飛千里(언비천리) 言:말슴 언, 飛:날 비, 千:일천 천, 里:마을 리. 말의 전하여 짐이 매우 빠르고도 멀리 퍼진다는 뜻.
◎ 言辭安定(언사안정) 태도(態度)만 침착(沈着)할 뿐 아니라 말도 안정(安定)케 하며 쓸데없는 말을 삼감.
◎ 言思必忠事思必敬(언사필충사사필경) 말은 반드시 충직(忠直)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일은 반드시 공경(恭敬)의 자세(姿勢)로 할 것을 생각함.
◎ 言三語四(언삼어사) 서로 변론(辯論)하느라고 말이 옥신각신함 .
◎ 偃鼠之望(언서지망) 쥐는 작은 동물(動物)이라서 강물을 마신대야 자기(自己) 배 하나 가득히밖에 더 못 마신다는 뜻으로, 자기(自己) 정(定)한 분수(分數)가 있으니 안분(安分)하라는 말.
◎ 言笑自若(언소자약) = 담소작약(談笑自若) 놀라거나 근심걱정이 있을 때도 평시와 같이 말하고 웃으며 아무일도 없다는 듯이 태연함.
◎ 言順理直(언순이직) = 언정이순(言正理順) 言:말씀 언, 順:순할 순, 理:다스릴 이, 直;곧을 직.
◎ 言身之文也(언신지문야) 말이 내 몸의 무뉘라 함은 말을 잘 함은 자기를 장식하는 것이라는 뜻. -좌천-
◎ 偃仰(언앙) 偃:쓰러질 언, 仰:우러를 앙. ①(누웠다 일어났다 한다는 뜻으로, 부침(浮沈). 진퇴(進退). 부앙(俯仰) 가거를 자기 마음대로 함. ②편안(便安)하게 한가로이 쉼. 언식(偃息).
◎ 偃仰屈伸(언앙굴신) 偃:쓰러질 언, 仰:우러를 앙, 屈:굽을 굴, 伸:펼 신. 몸을 자유로이 굴신함, 몸을 마음대로 움직임.
◎ 言往설래(언왕설래) = 설왕설래 言:말씀 언, 往:갈 왕, 說:말씀 설, 來:올 래.
◎ 言語道斷(언어도단) 言:말씀 언, 語:말씀 어, 道:길 도, 斷:끊을 단. 말문이 막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 이루 말로 나타낼 수 없음을 이르는 말. 본래의 의미는 털어 놓고 말하지 못할 깊은 진리나 도리를 말한다. 도(道)는 설(說)하는 것.
◎ 焉烏(언오) 어(魚)와 노(魯)처럼 글자가 서로 닮아 틀리기 쉬운 것. -송기-
◎ 言外之意(언외지의) 言:말씀 언, 外:바깥 외, 之:갈 지, 意:뜻 의. 말에 나타난 뜻 이외에 숨어있는 딴 뜻.
◎ 言猶在耳(언유재이) 들은 말이 아직도 귀에 쟁쟁(琤琤)하다는 뜻으로 여러가지 들은 말을 귓속에 담아두고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말. -좌전-
◎ 言而不信非直之友(언이불신비직지우) 말을 하되 미덥지 아니하면 정직(正直)하지 아니한 벗임.
◎ 言才(언재) 言:말씀 언, 才:재주 재. 말을 잘하는 재주.
◎ 言正理順(언정이순) = 어순이정, 어순이직. 言:말씀 언, 正:바를 정, 理:다스릴 이, 順;순할 순. 말이나 이치가 사리에 닿아서 바르고 옳음.
◎ 言足以飾非(언족이식비) 言:말씀 언, 足:발 족, 以:써 이, 飾:꾸밀 식, 非:아닐 비. 말이 아주 교묘해서 잘못한 것을 옳은 것처럼 꾸미기에는 능히 족함.
◎ 言中有骨(언중유골) = 언중유언(言中有言), 언중유향(言中有響) 말 속에 뼈가 있다.즉 온순한 표현속에 만만치 않은 뜻이 들었다는 말.
◎ 言中有言(언중유언) 言:말씀 언, 中:가운데 중, 有:있을 유. 예사로운 말 속에 다른 말이 들어 있음을 이름.
◎ 言中有響(언중유향) = 언중유언 言:말씀 언, 中:가운데 중, 有:있을 유, 響:울릴 향. 말하는 내용에 말 이상의 깊은 뜻이 있는 것.
◎ 言卽是也(언즉시야) 言:말씀 언, 卽:곧 즉, 是:바를 시, 也:어조사 야. 말인즉 사리에 맞으나 실제로 행함에 있어서는 지장이 있을 때를 이름.
◎ 言之無益(언지무익) 言:말슴 언, 之:갈 지, 無:없을 무, 益:더할 익. 일을 그르치거나 실패한 후에 이를 말하여도 이로움이 없음.
◎ 言之易行之難(언지이행지난) 입으로 말하기는 간단하지만, 말한 것을 실행하기는 어려움을 일컫는 말. -염철론-
◎ 言泉會九流(언천회구류) 言:말씀 언, 泉:샘 천, 會:모을 회, 九:아홉 구, 流:흐를 류. 말하는 것이 샘물이 솟듯 박식하고 달변임.
◎ 言聽計從(언청계종) 남의 인격(人格)이나 계책(計策)을 깊이 믿어서 그를 따라 하자는 대로 함.
◎ 言必稱堯舜(언필칭요순) 言:말씀 언, 必:반드시 필, 稱:저울대 칭, 堯:요임금 요, 舜:순임금 순. 말을 할 때면 반드시 요순을 일컫는다는 뜻으로, 언제나 같은 소리를 할 때 또 그 소리냐고 핀잔을 주는 말, 또는 항상 성현(聖賢)의 말만 들추어 혼자 고고한 체한다는 말.
◎ 言行君子之樞機(언행군자지추기) 말과 행동은 군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함이니, 훌륭한 사람일수록 또 사람이면 누구나 언행(言行)을 조심해야 한다는 뜻. -주역-
◎ 言行相反(언행상반) 言:말씀 언, 行:다닐 행, 相:서로 상, 反:되돌릴 반. 말과 행동하는 것이 서로 반대 됨. -순자-
◎ 鶂鶂之肉(얼얼지육) 鶂:거위 역,예 마음에 꺼림직한 선물이라는 뜻.
◎ 掩目捕雀(엄목포작) 무슨 일에나 성실을 다해서 해야지 얕은 수를 써서는 안된다는 말. -후한서-
◎ 嚴父(엄부)는 出孝子(출효자)하고, 嚴母(엄모)는 出孝女(출효녀)니라. 엄한 아버지는 효자를 길러내고, 엄한 어머니는 효녀를 길러낸다. -명심보감-
◎ 掩耳盜鈴(엄이도령) 제 귀를 가리고 방울(鈴)을 훔친다. 저만 듣지 않으면 남도 듣지 않는 줄 아는 어리석은 행동을 말함. [고사] 옛날 범(范)씨가 망하매 종(鐘)을 얻은 자가 있어 이것을 짊어지고 달아나려 하나 커서 지지 못하겠으므로 망치로 깨뜨려 가져가려 하였는데 이번에는 소리가 날까 두려워 스스로 제 귀를 막았다는 이야기가 있음. -여씨춘추 불구론 자지론-
◎ 掩耳盜鐘(엄이도종) ☞ 엄이도령 귀를 막고 종을 훔친다라는 뜻으로, ①자기(自己)만 듣지 않으면 남도 듣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행동(行動) ②또는 결코 넘어가지 않을 얕은 수로 남을 속이려 한다는 말. -여씨춘추-
◎ 掩耳偸鈴(엄이투령) 제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①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②방울 소리가 제 귀에 들리지 않으면 남의 귀에도 들리지 않으리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이름.
◎ 嚴妻侍下(엄처시하) '아내의 주장(主將) 밑에서 쥐여 사는 남편(男便)'을 조롱(嘲弄)하는 말.
◎ 嚴親(엄친) ①엄하게 길러 주는 어버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버지'를 일컫는 말 ②주로 밖의 일을 보는 어버이란 뜻으로, 아버지를 일컫는 말.
◎ 奄宅曲阜(엄택곡부) 주공이 큰 공이 있는 고로 노곡(勞穀)을 봉(封)한 후(後) 곡부(曲阜)에다 궁전(宮殿)을 세움.
◎ 嚴刑得情(엄형득정) 엄하게 벌(罰)을 주어 범죄(犯罪)를 밝혀 냄.
◎ 業感緣起(업감연기) 일체(一切) 만상의 선하고 악(惡)한 업인(業因)으로 일어나는 모든 연기(緣起).
◎ 業果起始(업과기시) 탐애(貪愛)로 일어나는 태생(胎生), 난생(卵生), 습생(濕生), 화생(火生)의 업과(業果).
◎ 餘皆倣此(여개방차) 餘:남을 여, 皆:다 개, 倣:본들 방, 此:이를 차. 이.미 있는 사실에 근거를 두어 다른 나머지도 다 이와 다름없음.
◎ 如鼓琴瑟(여고금슬) 如:같을 여, 鼓:북 고, 琴:거문고 금, 瑟:거문고 슬 부부(夫婦)가 서로 화합(和合)함을 이름.
◎ 如恐不及(여공불급) 如:같을 여, 恐:두려울 공, 不;아닐 불, 及:미칠 급. 시키는 대로 실행되지 못할까 하여 마음 졸이며 두려워 함.
◎ 藜藿(여곽) 명아주 잎과 콩잎이라는 뜻으로, 아주 변변치 못한 음식(飮食)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 如光如醉(여광여취) 如:같을 여, 光:빛 광, 醉:술 취할 취 기뻐서 미친 듯도 하고 취한 듯도 함.
◎ 黎邱奇鬼(여구기귀) 黎:검을 여, 邱:땅 이름 구, 奇:기이할 기, 鬼:귀신 귀. 거짓으로 진실을 해침의 비유.
◎ 如狗食藥果(여구식약과) 如;같을 여, 狗:개 구, 食;밥 식, 藥:약 약, 果:열매 과. 참맛도 모르고 빨리 먹어 치움을 이르는 말.
◎ 與國家同休戚(여국가동휴척) 與:줄 여, 國:나라 국, 家:집 가, 同:한가지 동, 休:쉴 휴, 戚:겨레 척. 국가와 함께 고락(苦樂)을 같이 하는 일.
◎ 歸市(여귀시) 사람이 떼지어 모여듦의 비유, 시장에 많은 사람이 모여들 듯이, 훌륭한 인물에게는 많은 사람이 모여든다는 말. -맹자-
◎ 如見心肺(여견심폐) = 如見肺肝(여견폐간) 남의 마음 속을 꿰뚫어 보는 듯이 환하게 앎.
◎ 沴氣所鐘(여기소종) 沴:해칠 여, 氣:기운 기, 所:바 소, 鐘:쇠북 종. 요악스러운 사람을 가리키는 말.
◎ 如斷手足(여단수족) 如:같을 여, 斷:끊을 단, 手:손 수, 足:발 족. 손발이 끊어진 것처럼 의지할 곳이 없어짐.
◎ 如踏平地(여답평지) 如:같을 여, 踏:밟을 답, 平:평평할 평, 地:땅 지. 지세가 썩 높고도 가파른 곳을 평지를 가듯 거침없이 쉽게 다님.
◎ 與德爲隣(여덕위린) '덕으로써 이웃한다'는 뜻으로, '덕이 있으면 모두가 친할 수 있다'는 말.
◎餘桃啗君(여도담군)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인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좋게 보여 사랑 받던 것이 나중에는 도리어 화근(禍根)이 됨을 이르는 말.
◎ 如渡得船(여도득선) 강을 건너려 하는 데 마침 나루터에서 배를 얻었다는 뜻으로, 필요(必要)한 것이나 상황(狀況)이 바라는 대로 됨이나 부처의 자비(慈悲)를 입음을 이르는 말.
◎ 餘桃罪(여도죄) 餘:남을 여, 桃:복숭아나무 도, 罪;허물 죄. 임금의 총애가 덧없어 믿을 수 없음을 비유한 말. [고사]위(衛)나라의 미자하(彌子瑕)는 제가 먹던 복숭아를 위군에게 바쳐도 죄가 되지 않을 만큼 위군에게 사랑을 받고 있었으나 그 사랑이 식자 먹던 복숭아를 바쳤다는 이유로 벌을 받았다는 옛 일에서 온 말.
◎ 餘桃之罪(여도지죄) 餘:남을 여, 桃:복숭아나무 도, 之:갈 지, 罪:허물 죄. 먹던 복숭아 드린 죄. 사랑을 받는 것은 죄를 받게 되는 원인도 된다는 것. -한비자 세난편-
◎如得千金(여득천금) (비록 얼마 안 되는 것일지라도)무엇을 얻었거나 생겼을 때, 천금을 얻은 것과 같이 마음에 흡족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膂力過人(여력과인) 膂:등골뼈 여, 力:힘 력, 過:지날 과, 人:사람 인. 육체적인 힘이 남보다 뛰어남.
◎ 厲憐王(여련왕) 厲:갈 여(려), 憐:불쌍히 여길 련, 王:임금 왕. 조건이 불리하여 보통은 남의 동정을 받을 사람이 거꾸로 압도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있는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것, 여는 문둥병, 문둥병을 앓는 사람이 권력을 함부로 휘두르고 있으면서도 언제 목숨을 빼앗길지 전전긍긍하고 있는 왕을 불쌍히 여긴다는 데서 나온 말. -한비지-
◎ 如履薄氷(여리박빙) 언제 깨질지모르는 얼음판 위로 걸어가듯이 신중을 기하는 것, 또는 매우 위험하여 긴장된 장면에 임하는 것을 말한다. -시경-
◎ 如臨深淵(여림심연) 깊은 웅덩이를 들여다볼 때처럼 신중하게 몸가짐을 삼가는 것, 또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있음의 비유. -시경-
◎ 如萬頃陂(여만경피) 如;같을 여, 萬:일만 만, 頃:잠깐 경, 陂:비탈 피. 넓은 못에 물이 가득 고인 것과 같은 것을 말함. -남사-
◎ 麗末三隱(여말삼은) 고려(高麗) 말기(末期) 성리(性理) 학자(學者)이며 충절(忠節)이 높았던, 목은 이색(李穡), 포은 정몽주(鄭夢周), 야은 길재(吉再) 세 사람을, 호의 같은 글자 '은'을 따서 일컫는 말. 야은 대신(代身) 도은 이승인을 넣기도 함.
◎ 驪鳴犬吠(여명견폐) 가라말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들을 가치(價値)가 없는 이야기나 보잘것없는 문장(文章)을 이르는 말.
◎ 女慕貞烈(여모정렬) 여자(女子)는 정조(貞操)를 굳게 지키고 행실(行實)을 단정(端正)하게 해야 함을 말함.
◎ 廬無所不到(여무소부도) 모든 일에 생각이 미치지 않은 데가 없이 아주 자세하게 함.
◎ 餘無可論(여무가론) 餘:남을 여, 無:없을 무, 可:옳을 가, 論;논의할 논. 이미 본 것에 기초해서 대강이 결정됐으므로 나머지는 의론(議論)할 여지가 없음.
◎ 如物在喉(여물재후) 음식(飮食)이 목에 걸려 있듯이, 마음에 거리끼는 것이 있음.
◎ 與民同樂(여민동락) = 여민해락(與民偕樂) 백성과 더불어 함께 즐거워 함. -맹자.양혜왕 하-
◎ 與民由之(여민유지) 與:줄 여, 民:백성 민, 由:말미암을 유, 공직에 있으면서 백성들에게 봉사해야 하고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당당하게 맞서는 사람을 말한다. 모든 일을 백성들과 함께 공유할 줄 알 때 대장부라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맹자 등문공장구 하편-
◎ 如反掌(여반장) 如:같을 여, 反:되돌릴 반, 掌:손바닥 장. 손바닥 뒤집듯 하다는 뜻으로, 일이 썩 쉬움의 비유. -설원-
◎ 如拔痛齒(여발통치)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는 뜻으로, 고민거리가 제거되어 시원함을 이르는 말.
◎ 與白駒過隙(여백구과극) 與:줄 여, 白:흰 백, 駒:망아지 구, 過:지날 과, 隙:틈 극. 백마(白馬)가 바람격 틈을 지나가는 것과 같다는 뜻.
◎ 與凡人同(여범인동) 與:줄 여, 凡:무릇 범, 人:사람 인, 同:한가지 동. 별로 다른 데가 없이 보통 사람과 같음.
◎ 厲兵秣마(여병말마) 厲;갈 여(려), 兵:군사 병, 秣:꼴 말, 馬:말 마. 병장기를 갈고 군마를 살찌게 먹이다. 전쟁준비를 완벽하게 갖추는 것을 비유하는 말. -죄전 희공33년 조-
◎ 如夫人(여부인) 如:같을 여, 夫:사내 부, 人:사람 인. 정실(正室)대우를 받는 애첩(愛妾), 또는 남의 첩을 높여서 이르는 말.
◎ 餘不備禮(여불비례) 餘:남을 여, 不:아닐 불, 備:갖출 비, 禮:예절 례. 나머지는 예를 갖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편지의 본문 귀에 쓰는 상투어, 여불비.
◎ 慮不先定不可以應卒(여불선정불가이응졸) 慮:생각할 려, 不:아닐 불, 先:먼저 선, 定:정할 정, 可:옳을 가, 以:써 이, 應:응할 응, 卒:군사 졸. 사려(思慮)는 애초에 해놓지 않으면 뜻밖의 일에 응하지 못한다는 말. -사기-
◎ 如臂使指(여비사지) 如:같을 여, 臂:팔 비, 使:부릴 사, 指:손가락 지. 팔이 손가락부림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 餘事作詩人(여사작시인) 餘:맘을 여, 事:일 사, 作:지을 작, 詩:시 시, 人:사람 인. 학업을 닦는 한편 여기(餘技)로 시를 짓는 사람.
◎ 餘事風景(여사풍경) 필요치 않아 생각에 두지 않는 일이란 말.
◎ 如山若海(여산약해) 如;같을 여, 山:뫼 산, 若:같을 약, 海:바다 해. 정의, 은헤, 수복 다위가 산과 같고 바다와 같음, 매우 크고 넓음.
◎ 如山積峙(여산적치) 如;같을 여, 山;뫼 산, 積:쌓을 적, 峙:산 우뚝할 치. 매우 많이 쌓여 있음을 이름.
◎ 廬山眞面目(여산진면목) 廬:오두막집 여, 眞:참 진, 面:낯 면, 目;눈 목. 여산의 참 된 모습. -소식 제서림벽-
◎ 厲世摩鈍(여세마둔) 세상(世上) 사람을 격려(激勵)하여 인재(人材)를 진작(振作)함.
◎ 與世無涉(여세무섭) 與:줄 여, 世:대 세, 無:없을 무, 涉:건널 섭. 세상과 상관함이 없음.
◎ 與世推移(여세추이) 세상풍조를 따라 살아가는 것. 형편이 되어가는 대로 몸을 맡기는 것. -초사,어부-
◎ 如松之盛(여송지성) 솔 나무같이 푸르러 성(盛)함은 군자(君子)의 절개(節槪)를 말한 것임.
◎ 與受同罪(여수동죄) 與:줄 여, 受:받을 수, 同:한가지 동, 罪:허물 죄. 장물을 주는 것과 받는 것은 둘 다 죄가 같음.
◎ 如水投水(여수투수) 如:같을 여, 水:물 수, 投:던질 투. 물에 물을 탄다는 뜻으로, 흐리멍텅함을 이름, "물에 물탄 듯 술에 술탄 듯" 과 같은 말.
◎ 如是我聞(여시아문) 如:같을 여, 是:바를 시, 我:나 아, 聞:들을 문.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는 뜻, 부처님의 지교(指敎)에 따라 제자 아난(阿難)이 불경을 편찬할 때 모든 경(經)의 모두(冒頭)에 붙인 말. -불지경론-
◎ 如失一臂(여실일비) 如:같을 여, 失:잃을 실, 一:한 일, 臂:팔 비. 한쪽 팔을 잃었다는 뜻으로, 가장 믿고 힘이 되는 사람을 잃는 것을 비유하는 말.
◎ 如實知自心(여실지자심) 如:같을 여, 實:열매 실, 知:알 지, 自:스스로 자, 心:마음 심. 진실하게 자기를 아는 마음.
◎ 如蛾赴火(여아부화) 如:같을 여, 蛾:나방 아, 赴:나아갈 부, 火:불 화. 불나방이 불에 날아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탐욕으로 인해 몸을 망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與羊謨肉(여양모육) 양에게 양고기를 내어 놓으라고 꾀다는 뜻으로, 근본적으로 이룰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
◎ 如養虎(여양호) 如;같을 여, 養:기를 양, 虎:범 호. 간악한 사람을 부릴 때에는 급여(給與)를 충분히 주지 않으면 자기가 그 때문에 해를 입는다는 것을 이름. -후한서-
◎ 如魚得水(여어득수) 如;같을 여, 魚;물고기 어, 得;얻을 득, 水:물 수. 고기가 물을 만난 듯하다. 사람을 제대로 만났거나, 환경이 자기에게 알맞은 것을 의미한다. -삼국지 촉지 제갈량전-
◎ 如魚失水(여어실수) 如:같을 여, 魚:물고기 어, 失:잃을 실, 水:물 수.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 곤궁한 사람이 의탁할 곳이 없어 기가 막힌다는 말. -장자-
◎ 如魚遊釜中(여어유부중) 솥 안에서 노는 물고기와 같다는 뜻으로, 살았다고는 하나 목숨이 오래 가지 못함을 이르는 말.
◎ 如椽之筆(여연지필) 如:같을 여, 椽:서까래 연, 筆:붓 필. 서까래 같은 필력, 곧 글재주가 뛰어남을 일컬음. -진서-
◎ 如蓮花出水(여연화출수) 연꽃이 진흙 속에서 피어도 흙이 묻지 않음과 같이, 사람도 세상 악풍에 물들지 않음을 이르는 말. -법화경-
◎ 如玉其人(여옥기인) 如:같을 여, 玉:구슬 옥, 其:그 기, 人:사람 인. 얼굴 생김새나 성품이 옥과 같이 깨끗하고 아름다운 사람.
◎ 呂翁枕(여옹침) = 한단몽, 일취지몽. 呂:음률 여, 翁:어르신네 옹, 枕:베개 침.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榮華)의 헛됨을 뜻하는 말. [고사] 당(唐)의 개원(開元)19년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잤더니 기장밥을 짓는 동안에 80년 간 영화로운 꿈을 꾸었다는 옛일에서 온 말.
◎ 如怨如慕(여원여모) 如:같을 여, 怨:원망할 원, 慕:사모할 모. 원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 사모하는 것 같기도 함.
◎ 如月之恒(여월지항) 如:같을 여, 月:달 월, 之:갈 지, 恒:항상 항. 사물이 날로 성해져 가는 것, 또 좋은 상황으로 진전해 가는 것, 초승달이 밤마다 커지는 모습에 비유한다. -시경-
◎ 女爲說己者容(여위설기자용) 여자는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을 위하여 더욱 아름다워지려고 한다. -사기. 자객열전-
◎ 餘裕綽綽(여유작작) = 작유여지, 작작유여. 餘;남을 여, 裕:넉넉할 유, 綽:너그러울 작. 빠듯하지 않고 아주 넉넉함.
◎ 如泣如笑(여읍여소) 如:같을 여, 泣:소리없이 울 읍, 笑:웃을 소. 우는 것 같기도 하고 웃는 것 같기도 함.
◎ 如意珠(여의주) 如:같을 여, 意;뜻 의, 珠:구슬 주. [불교]①영묘(靈妙)한 구슬, 이것에 빌면 만사가 뜻대로 된다고 하며, 여의관음(如意觀音)은 이 구슬을 두 손에 가지고 있다 함. ②용의 턱밑에 있다고 하는 구슬, 사람이 얻으면 갖은 조화를 부린다고 함. 如意寶珠(여의보주), 마니(摩尼), 驪珠(여주).
◎ 如蟻偸垤(여의투질) 如:같을 여, 蟻;개미 의, 偸:훔칠 투, 垤:개밋둑 질. 개미 금탑을 모으듯 한다와 같은 뜻, 근검하여 재산을 축적함을 이름 -순오지-
◎ 女以男爲家(여이남위가) 女:계집 여, 以:써 이, 男:사내 남, 爲:할 위, 家:집 가. 여자에게는 남편의 집에 몸을 붙여 사는 곳이라는 뜻.
◎ 與人同樂(여인동락) 與:줄 여, 人:사람 인, 同:한가지 동, 樂;풍류 락. 다른 사람과 더불어 함께 즐김.
◎ 與人善言煖於布帛(여인선언난어포백) 與:줄 여, 人:사람 인, 善:착할 선, 言:말씀 언, 煖:따뜻할 난, 於:어조사 어, 布:베 포, 帛:비단 백. 남에게 착한 말을 해주는 것은 비단옷을 입혀주는 것보다도 더 따뜻하다는 뜻. -순자-
◎ 與人言(여인언) 其言甘者(기언감자) 絶勿輕信(절물경신) 다른 사람과 말을 할 때 그 말이 달콤한 것은 절대로 가벼이 믿지 말라.
◎ 如印一板(여인일판) 如:같을 여, 印:도장 인, 一:한 일, 板:널조각 판. 한 판에 찍어낸 듯이 꼭 같다는 말.
◎ 與日月爭光(여일월쟁광) 도덕과 공적이 높아 일월(日月)의 빛과 대등(對等)하다는 것. -준남왕안-
◎ 如日月之食(여일월지식) 如:같을 여, 日:날 일, 月:달 월, 食:밥 식. 일식과 월식이 같다는 뜻으로, 군자의 어진 덕이 세상에 끼치는 영향을 말한 것이다. -논어 자장편-
◎ 如入芝蘭之室(여입지란지실) 如:같을 여, 入:들 입, 芝:지초 지, 蘭:난초 란, 室:집 실. 선량(善良)한 사람과 교우(交友)하면 모르는 사이에 감화되어 선량하게 됨을 이름. -공자가어-
◎ 與子同袍(여자동포) 與:줄 여, 子:아들 자, 同:한가지 동, 袍:핫옷 포. 자네와 두루마기를 같이 입자는 뜻으로 친구 사이에 서로 무관하여 하는 말. -시경-
◎ 女子有行遠父母兄弟(여자유행원부모형제) 有:있을 유, 行:다닐 행, 遠:멀 원, 여자는 시집가기 때문에 친정의 부모형제와는 멀어진다는 말.
◎ 如嚼鷄肋(여작계륵) 如:같을 여, 嚼:씹을 작, 鷄:닭 계, 肋;갈비 륵. 닭의 갈비뼈를 씹는 듯 하다. 맛이 없다. 흥미기 없다. 또는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후한서 양수전-
◎ 汝牆折角(여장절각) 汝:너 여, 牆:담 장, 折:꺾을 절, 角:뿔 각. 다른 사람 때문에 공연히 손해를 입었음을 이르는 말.
◎ 如鳥過目(여조과목) 如:같을 여, 鳥:새 조, 過:지날 과, 目:눈 목. 새가 눈앞을 스쳐 날아가는 것처럼 빨리 지나친다는 뜻으로, 빠른 세월을 이르는 말.
◎ 如鳥過日(여조과일) 시간이 빨리 지나가 버리는 것. 형편이 되어가는대로 몸을 맡기는 것. -초사,어부-
◎ 女足如手(여족여수) 형제의 의가 두터움의 비유, 또 우정의 깊은 듯. -이화,조고전장문-
◎ 如左右手(여좌우수) 서로 돕는 것의 비유. 가장 믿을 수 있는 보좌. -손자,구지-
◎ 如坐春風之中(여좌춘풍지중) 如:같을 여, 坐:앉을 좌, 春:봄 춘, 風:바람 풍, 之:갈 지, 中:가운데 중. 봄바람은 만물을 잘 발육시키므로 제자(弟子)가 스승을 떠나 장족(長足)의 진보를 함을 비유한 말. -송명신어록(宋名臣語錄)-
◎ 如坐針席(여좌침석) 如:같을 여, 坐:앉을 좌, 針:바늘 침, 席;자리 석, 바늘방석에 앉은 것과 같이 매우 불안함을 이름, 안절부절함.
◎ 與衆同好靡不成(여중동호미불성) 與:줄 여, 衆:무리 중, 同:한가지 동, 好:좋을 호, 靡:쓰러질 미, 不:아닐 불, 成:이룰 성. 대중과 즐기는 바를 같이 하면 무엇이든지 성취할 수 있다는 것. -삼략-
◎ 女中丈夫(여중장부) 女:계집 여, 中:가운데 중, 丈:어른 장, 夫:사내 부. 남자에 못지않은 여자라는 뜻. -오월춘추-
◎ 女中豪傑(여중호걸) 女:계집 여, 中:가운데 중, 豪;호걸 호, 傑;호걸 걸. 남달리 호협(豪俠)한 기상이 있는 여자.
◎ 旅進旅退(여진여퇴) 旅:군사 여, 進:나아갈 진, 退:물러날 퇴. 나란히 나아가고 나란히 물러선다는 뜻으로, 정견(定見)이나 절조(節操)가 없이 다만 남의 의견(意見)을 추종(追從)함을 이르는 말
◎ 女唱男隨(여창남수) 여자(女子)가 먼저 나서서 서두르고 남자(男子)는 따라만 함.
◎ 如天半雲(여천반운) 如:같을 여, 天:하늘 천, 半:반 반, 雲:구름 운. 우뚝 솟은 산이 중천(中天)의 구름 같음을 이름. -三秦記(삼진기)-
◎ 如天如海(여천여해) 하늘 같이 높고 바다 같이 깊음.
◎ 與天地無窮(여천지무궁) = 여천지해망(與天地偕亡) 與:줄 여, 天:하늘 천, 地:땅 지, 無:없을 무, 窮:다할 궁. 하늘과 땅처럼 끝이 없다는 뜻으로, 사물의 영구히 변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如出一口(여출일구) 如:같을 여, 出:날 출, 一:한 일, 口:입 구. 한 입에서 나온 듯하다 함이니, 여러 사람의 하는 말이 한 사람의 말처럼 다 꼭 같다는 뜻.
◎ 如則二心(여측이심) 如:같을 여, 則:범칙 측, 二:두 이, 心;마음 심. 뒷간에 갈 적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 다르다는 뜻으로, 자신에게 필요할 때는 급하게 굴다가 그 일이 끝나면 마음이 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與他自別(여타자별) 與:줄 여, 他:다를 타, 自:스스로 자, 別:다를 별. 남보다 사이가 유달리 가까움을 일컫는 말.
◎ 如脫弊屣(여탈폐사) 如:같을 여, 脫:벗을 탈, 弊:폐단 폐, 屣:신 사. 헌신짝 버리듯 아낌없이 버림.
◎ 豫探(여탐) 豫:미리 예, 探:찾을 탐. 무슨 일이 있을 때 웃어른의 뜻을 알기위하여 미리 여쭘. (원말:예탐)
◎ 麗澤之契(여택지계) 친구와 서로 논쟁을 하며 서로 도우면서 수양에 힘씀, 여택은 두 못이 서로 수맥을 통하고 서로 혜택을 주고 있다는 뜻. -역경-
◎ 如風過耳(여풍과이) 무관심함의 형용, 바람이 귓전을 지나가듯이 아무런 관심도 보이지 않음을 이르는 말. 남의 말을 조금도 귀담아 듣지 않는다는 뜻. -오월동주-
◎ 女必從夫(여필종부) 아내는 반드시 그 지아비를 따라야 한다는 말.
◎ 如合符節(여합부절) = 약합부절(若合符節) 如:같을 여, 合:합할 합, 符:부신 부, 節:마디 절. 조금도 틀리지 않고 꼭 들어 맞는다는 말.
◎ 如兄若弟(여형약제) 如:같을 여, 兄:맏 형, 若:같을 약, 弟:아우 제. 남남의 사이가 친하기가 형제와 같음.
◎ 如火如荼(여화여도) 如;같을 여, 火;불 화, 荼:씀바귀 도. 기세가 충천하다. 기세가 하늘을 찌를 듯이 높다. -국어 오어-
◎ 與狐謨皮(여호모피) 여우와 함께 여우가죽에 대하여 의논한다는 뜻으로, 상대방이 불리해지는 일에 대해서 의논해보았자 일이 잘 될리가 없음의 비유. -태평광기-
◎ 力貴實(역귀실) 力:힘 역, 貴:귀할 귀, 實:열매 실. 사람의 힘은 견실(堅實)해야 한다는 것.
◎ 逆旅乾坤(역려건곤) 逆:거스를 역, 旅:군사 려, 乾:하늘 건, 坤:땅 곤. 여관과 같은 세상이란 뜻으로, 덧없고 허무한 세상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逆旅過客(역려과객) 逆:거스를 역, 旅;군사 려, 過:지닐 과, 客:손 객. ①지나가는 길손과 같이 아무 관계(關係)도 없는 사람 ②세상(世上)은 여관(旅館)과 같고, 인생(人生)은 나그네와 같다는 말
◎ 逆鱗(역린) 逆:거스를 역, 鱗:비늘 린. 용의 가슴에 거꾸로 난 비늘이라는 뜻으로, ①건드리면 반드시 살해됨 ②임금님의 노여움을 비유(比喩)함 -한비자의 세난편-
◎ 櫪馬(역마) 외양간에 매여 있는 말이란 뜻으로, 얽매여 자유(自由)롭지 못한 신세(身世)의 비유(比喩).
◎ 壢馬籠禽(역마농금) 마구간에 매인 말과 새장에 든 새라는 뜻으로, 속박(束縛)되어 자유롭지 않은 몸을 이르는 말.
◎ 驛馬直星(역마직성) 驛:정거장 역, 馬:말 마, 直:곧을 직, 星:별 성. 항상 여행(旅行)하기에 분망(奔忙)한 사람을 이르는 말.
◎ 易名之典(역명지전) 易:바꿀 역, 名:이름 명, 之:갈 지, 典:법 전. 임금으로 부터 시호(諡號)를 받는 은전.
◎ 力拔山氣蓋世(역발산기개세) 力:힘 역, 拔:뺄 발, 山:뫼 산, 氣:기운 기, 蓋:덮을 개, 世:대 세. 힘은 산을 뽑을 듯하고, 기상은 천하를 뒤덮을 만하다. 용기와 기상이 월등하게 뛰어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원래 초태왕 항우의 늠름한 기상을 비유하는 말인데, 오늘날에는 사람의 역량이 뛰어난 것을 말할 때 주로 쓰인다. -사기 항우본기-
◎ 亦步亦趨(역보역추) 남이 걸으면 나도 걷고, 남이 뒤면 나도 뛴다는 뜻으로, 남이 하는대로 덩달아 함. -장자-
◎ 役夫夢(역부몽) = 역부지몽 役:부릴 역, 夫;사내 부, 夢:꿈 몽. 하인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부귀영화는 꿈과 같은 것임을 이르는 말. -열자-
◎ 力不終心(역부종심) 힘이 부족(不足)하여 생각한대로 할 수 없음.
◎ 役夫之夢(역부지몽) 부(富)와 영화(榮華)는 꿈처럼 덧없는 것이라는 비유. -열자,주목왕-
◎ 역불급(역불급) = 역부족(力不足) 力:힘 역, 不:아닐 불, 及:미칠 급. 힘이 딸려 미치지 못함.
◎ 力不從心(역불종심) 힘이 부족하여 생각한 대로 할 수 없음. -후한서-
◎ 易姓革命(역성혁명) 易:바꿀 역, 姓:성 성, 革:가죽 혁, 命:목숨 명. 왕조가 바뀌는 일, 역성은 성을 바꾸는 것, 어떤 성을 가진 임금에서 다른 성을 가진 임금으로 교체하는 것."혁명은 하늘의 명을 받아서 임금이 된 자에게 덕이 없어져서 하늘이 명을 혁파(革罷)하여 다른 자에게 내리는 것. "성을 바꾸고 명을 혁파하다"의 뜻. -사기-
◎ 易世革命(역세혁명) 덕이 있으면 천명(天命)을 받아 나라를 다스리게 되지만 덕을 잃으면 다른 덕이 있는 이에게 천명(天命)이 옮으므로 혁명(革命)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왕조(王朝)가 바뀜'을 이르는 말
◎ 力勝貧(역승빈) 직무에 충실한 사람은 가난함을 이겨낸다는 뜻. -설원-
◎ 疫神媽媽(역신마마) 疫:염병 역, 神:귀신 신, 媽;어머니 마 역신을 높여서 이르는 말.
◎ 惄如調飢(역여조기) 如:같을 여, 調:고를 조, 飢:주릴 기. 사람을 아주 극진히 생각하는 것, 조(調)는 조(朝)와 통함, 조기(朝飢)는 아직 아침밥을 안먹어서 배고품을 이름. -시경-
◎ 逆耳之言(역이지언) 귀에거슬리는 말이란 뜻으로, 충고를 이르는 말. -사기-
◎ 易子敎之(역자교지) 내 자식과 남의 자식을 바꾸어서 가르친다는 뜻으로 자기 자식의 잘못을 꾸짖기 어렵다는 말. -맹자-
◎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 易:바꿀 역, 子:아들 자, 而:말이을 이, 敎:가르칠 교, 之:갈 지. 자기는 남의 자식을 가르치고 제 자식은 다른 사람에게 맡겨서 가르친다는 말.
◎ 易子而食(역자이식) 易:바꿀 역, 子:아들 자, 而:말이을 이, 食;밥 식. 먹을 것이 없어 자식을 서로 바꾸어 잡아먹는다는 말로, 극심한 기근이 든 것을 말한다. 역자식해(易子食骸)라고도 한다. -좌전 선공15년 조, 사기-
◎ 力田不如逢年(역전불여봉년) 力:힘 역, 田:밭 전, 不:아닐 불, 如:같을 여, 逢:맞이할 봉, 年:해 년. 힘을 다하여 농사를 지어도 일기가 순조롭지 못하면 오히려 풍년을 만난 것만 같지 못함을 이름. -사기-
◎ 易地皆然(역지개연) = 역지즉개연 易:바꿀 역, 地:땅 지, 皆:다 개, 然:그러할 연. 사람의 경우나 처지를 서로 바꾸어 놓으면 그 하는 것이 서로 같게 된다는 말. -맹자-
◎ 易地思之(역지사지)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라는 말.
◎ 易之憂患(역지우환) 易:바꿀 역, 之:갈 지, 憂:근심할 우, 患:근심 환. 역경(易經)을 지은 이는 근심 걱정이 있다는 말. -구양서의 서(書)-
◎ 易地卽皆然(역지즉개연) 사람은 그 입장이나 처지에 따라서 행동한다. 처지나 입장이 바뀌면 그에 따른 행동을 한다는 뜻. -맹자-
◎ 易簀(역책) 易:바꿀 역, 簀:살평상 책. 증자(曾子)가 죽을 때를 당해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옛일에서, 학식(學識)과 덕망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臨終)을 이르는 말. -예기 단궁 상편-
◎ 逆天者亡(역천자망)이요, 順天者存(순천자존)이라. 자연의 순리를 따르지 않고 거역하면 망하는 법이다. 자연의 순리를 따르면 흥한다. -명심보감. 천명 편-
◎ 亦聚群英(역취군영) 또한 여러 영웅(英雄)을 모으니, 분전(墳典)을 강론(講論)하여 치국(治國)하는 도(道)를 밝힘임
◎ 逆取順守(역취순수) 逆:거스를 역, 取:취할 취, 順:순헐 순, 守:지킬 수. 도리(道理)에거슬려 뺏고, 도리에 순종하여 지킨다는 말로, 탕무(湯武)가 그가 섬기던 임금을 몰아내고 천하를 얻어 인의의 정치로써 나라를 지킨 고사. -사기-
◎ 逆風逆水(역풍역수) 逆:거스를 역, 風:바람 풍, 水:물 수. ①거슬러 부는 바람과 거슬러 흐르는 물. ②바람을 안고 물결을 거슬러 감.
|
자료출처:다음카페손정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