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보성군 미력면 . 겸백면 .조성면
대룡산(大龍山) 해발(438m) . 방장산 해발(535m) . 주월산 해발(557m)
산행일:2016년 10월 23일 나홀로 산행
산행 코스:기러기재-임도-묘지-대룡산-능선-오도재-호동재-방장산-배거리재-능선-배거리재-
주월산-무넘이재-수남주차장 하산 거리 12km 산행 시간
5시산 소요 된다.
네비:전남 보성군 보성읍 "기러기재"
*** 산행 들머리 기러기재 ***
*** 편백나무 숲길 ***
*** 생태탐방로 ***
*** 순천-보성간 국도 2호선 ***
*** 대룡산 ***
대룡산은
전남 보성군 미력면 겸백면과
조성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대룡산 해발
(438m)로 강원도 춘천 대룡산도 있지만 보성의
대룡산은 북으로는 보성강 댐과 광양-목포간 고속도로가
동으로는 845번 지방도로가 남으로는 2번 국도가 서쪽으로는
18번 국도가 사면을 싸고 있는 사각형의 지형 중앙에 우뚝 솟
아 있으며 또한 호남정맥이 지나가는 길목에 있으며 정상에
서는 오봉산 방장산 주월산 존재산 등이 손에 잡힐듯 하고
멀리 남해 득량만도 시야에 들어오는 그런대로 조망권이
뛰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는 대룡산이다.
*** 광양-목포간 고속도로 ***
*** 하동정씨 4선생 시비 ***
*** 멀리 보성 읍내가 조망되는 조망처 ***
*** 방장산 주월산 등산 안내도 ***
***오도재 ***
오도재는
보성군 겸백면과 득량면을
이어주는 고갯마루로 일명 겸백고개
라고도 하며 방장산에서 흘러내리는 산세가
마치 다섯마리 돼지가 내려오는 모습과 같다
하여 '오돗치'라 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한자로 음차되어 오도치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 겸백면 수남리 농촌마을 전경 ***
*** 오도재에서 방장산 방향으로 가는 등산로 주변에 편백숲 ***
*** 방장산 능선에서 내려다 본 득량면 예당리 들녁 ***
*** 방장산 ***
방장산은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예당리
송곡리와 겸백면 수남리 그리고
조성면 덕신리에 걸쳐 있는 산으로 방
장산 해발(535m)로 불가(佛家)에서는 깨
달음을 얻는 덕 높은 스님의 처소를 '방장'이
라 하지만 전설에 의하면 신선이 노는 방장산이
라는 전설에 의해 방장산 또는 놀기 좋은 산이라
하여 '예당산'이라 부르기도 한다고 하며 정상에
는 방장산 중계소가 자리를 잡고 있으며 조망권
이 전무하고 다만 정상 직전에 남해바다 득량
만을 조망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산의 매력
포인트라고 여겨지고 여기도 호남정맥
이 지나가는 길목으로 알려져 있다.
*** 돌무덤 (고인돌) ***
*** 주월산 ***
주월산은
전남 보성군 겸백면과
조성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주월산 해발(557m)로 한자의
뜻과 같이 큰 홍수로 물이 넘쳐
배가 넘어갔기 때문에 붙여진 이
름이라 하며 예당 앞 평야가 간척
되기 전에는 주월산 밑까지 바닷물
이였으며 그런 탓에 배넘이산이란
뜻의 "주월산(舟越山) 배를 매어
놓는다는 '배걸이재'란 지명을
얻은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
으며 조망권은 사방으로
막힘이 없이 좋은 전망
대 같은 산이다.
*** 광양-목포간 고속도로와 대곡재 저수지 풍경 ***
*** 남해바다 득량만과 예당 간척지 ***
*** 주월산 활공장 ***